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비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비판...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은 다양성의 존중과 공존의 실현이라는 다문화교육의 관점보다는 민족이나 전통문화의 파악과 같은 문화적 특수성의 파악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둘째, 교과서는 단일 민족의 이념 및 특정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고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바람직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으로는 첫째,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반영한 교육과정 구성의 질적 전환을 통해 문화적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을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민족 혹은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문화집단의 경험이나 문화유산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밖에도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해서는 형식보다는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다문화교육의 접근과 다문화적 학교문화의 형성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 direc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I analyz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on the view poin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 direc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I analyz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on the view poin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laid emphasis on understanding of cultural specificity. Therefore it is a necessary to keep a balance between cultural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through qualitative conversion of curriculum.
Second, the textbooks were fostered homogeneous nationalism and prejudice about cultural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eat experience or heritage of cultural groups on various viewpoint.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2005
2 강신임,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와 교육의 과제" 28 : 203-228, 1998
3 "한겨레신문 2006년 9월 7일 기사. “어린이들 ‘외국인 인식’ 왜곡 많다.”"
4 "한겨레신문 2006년 2월 13일 기사. “‘다문화 가정’ 편견 깨기 초등교과서에 실린다”"
5 "통계청(2005). 2004년 혼인 이혼 통계 결과. www.nso.go.kr"
6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Ⅰ)"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8
7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14 (14): 213-232, 2007
8 안혜영, "초·중등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별 편중성에 관한 연구" 141-142, 1997
9 김은숙, "제7차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장애관련 내용 보완자료" 국립특수교육원 2005
10 류현종, "재현의 정치: 우리가 지워버린 사람들: 어느 장애인 관련 사회과 수업 실천의 의미" 44 (44): 93-125, 2005
1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2005
2 강신임,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와 교육의 과제" 28 : 203-228, 1998
3 "한겨레신문 2006년 9월 7일 기사. “어린이들 ‘외국인 인식’ 왜곡 많다.”"
4 "한겨레신문 2006년 2월 13일 기사. “‘다문화 가정’ 편견 깨기 초등교과서에 실린다”"
5 "통계청(2005). 2004년 혼인 이혼 통계 결과. www.nso.go.kr"
6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Ⅰ)"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8
7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14 (14): 213-232, 2007
8 안혜영, "초·중등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별 편중성에 관한 연구" 141-142, 1997
9 김은숙, "제7차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장애관련 내용 보완자료" 국립특수교육원 2005
10 류현종, "재현의 정치: 우리가 지워버린 사람들: 어느 장애인 관련 사회과 수업 실천의 의미" 44 (44): 93-125, 2005
11 박재영, "음악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접근과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세계일보 2007년 5월 10일자 기사. “다문화 가정 지원한다고 해놓고선---대책 ‘공염불’”"
13 교육인적자원부, "사회,초등학교 6학년 1학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2
14 홍진주,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교 대학원 2004
15 교육인적자원부, "도덕,초등학교 6학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2
16 김한종, "다문화사회의 역사교육:캐나다 BC주의 경우" 4 : 7-46, 2007
17 이경호, "다문화사회의 대두와 시민교육의 과제: 관용성을 중심으로" 25 : 279-303, 1997
18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2 : 63-81, 2000
19 김혜연,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 3 : 220-237, 1997
20 장인실,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21 (21): 409-431, 2003
21 이선화, "다문화 음악교육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수업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2 박철희,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 기초한 초등 사회·도덕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17 (17): 109-129, 2007
23 정은희,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 환경" 13 (13): 33-52, 2004
24 보건복지부,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 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 방안" 보건복지부 2005
25 교육인적자원부, "국어,초등학교 5학년 2학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2
26 "교육인적자원부(2006). e-교육소식 5월 1일자 기사. “‘다문화가정’ 품어 안는 교육 지원 대책”(http://moe.news.go.kr)"
27 "江淵一公. (1994). 多文化?育の?念と??的展開-アメリカの場合を中心として-.?育??究、61(3"
28 桐谷正信, "多文化?育.日本社?科?育??編" きょうせい 2000
29 Selanders, S., "Towards a theory of pedagogic text analysis" 34 (34): 1990
30 Apple, M., "The politics of the textbook" Routledge 1991
31 "Ohio Department of Education.(2002). Social Studies Academic Content Standards"
32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1994).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33 Tiedt, P. L., "Multicultural teaching. A handbook of activities" Information and Resources 1990
34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Allyn and Bacon 1993
35 Ramsey, P. G.,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 Issues and advoc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llyn and Bacon 1990
36 Sleeter, C.,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form of resistance to oppression" 17 : 51-71, 1989
37 "Macmillan/McGraw-Hill(2003). People and Places"
38 Irwin, L. H., "Do rural and elementary schools" 70 (70): 38-44, 1999
39 Bennett, C. I.,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llyn and Bacon 1986
40 Banks, J. 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Allyn and Bacon 1994
지리 교과서 지역개발 단원에 나타난 개발이데올로기의 출현 형태: 개발과 환경·지역 관계를 중심으로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논쟁점과 과제 - 내용배열논리의 혼재와 통합수준을 중심으로-
기억의 충돌과 역사 교과서 : -「대안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의 대안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6-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7 | 1.87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41 | 2.432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