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논쟁점과 과제 - 내용배열논리의 혼재와 통합수준을 중심으로- = Controversial Issues in 2007's Revision Prim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1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discord of sequence logic and level of integration in 2007's Revision Prim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analyzing for process of 2007's Revis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re theme of each grade. Results indicated that identification of Primary Social Studies is not clear, instead, effected logics and aspects of secondary Social Studies.
      To solve this situation, We have to research about some themes like this. First, what are the identification of Primary Social Studies and grasp recognition of theorist and practitioner about this. Secondly, what is the reasonable level of integration in Primary Social Studies. Thirdly, study of vertical and horizontal about cognitive(concept) development of primary studen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discord of sequence logic and level of integration in 2007's Revision Prim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analyzing for process of 2007's Revis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re theme of each grade. Results ind...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discord of sequence logic and level of integration in 2007's Revision Prim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analyzing for process of 2007's Revis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re theme of each grade. Results indicated that identification of Primary Social Studies is not clear, instead, effected logics and aspects of secondary Social Studies.
      To solve this situation, We have to research about some themes like this. First, what are the identification of Primary Social Studies and grasp recognition of theorist and practitioner about this. Secondly, what is the reasonable level of integration in Primary Social Studies. Thirdly, study of vertical and horizontal about cognitive(concept) development of primary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개발과정과 그에 따른 특징을 정리하고 그 특징 속에서 나타난 여러 논쟁점 중 내용배열 논리의 혼재와 통합수준의 약화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이러한 문제 발생의 근원에는 중등사회과 삼분법 논리의 초등 이양이 있으며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초등사회과 정체성에 대한 이론가, 실천가 수준의 인식 파악, 초등에서 지향할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의 통합 수준과 효과성 검증, 그리고 사회과 내용 배열 논리의 혼재 상황을 극복할 아동 개념, 인지 발달에 대한 전국적, 종횡단적 연구, 특히 교사의 교수활동(Scaffolding)에 의한 아동 근접발달영역(ZPD)내의 인지변화와 발달 범위 관련 연구의 시급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개발과정과 그에 따른 특징을 정리하고 그 특징 속에서 나타난 여러 논쟁점 중 내용배열 논리의 혼재와 통합수준의 약화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이...

      이 논문은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개발과정과 그에 따른 특징을 정리하고 그 특징 속에서 나타난 여러 논쟁점 중 내용배열 논리의 혼재와 통합수준의 약화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이러한 문제 발생의 근원에는 중등사회과 삼분법 논리의 초등 이양이 있으며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초등사회과 정체성에 대한 이론가, 실천가 수준의 인식 파악, 초등에서 지향할 교육과정과 교과서 차원의 통합 수준과 효과성 검증, 그리고 사회과 내용 배열 논리의 혼재 상황을 극복할 아동 개념, 인지 발달에 대한 전국적, 종횡단적 연구, 특히 교사의 교수활동(Scaffolding)에 의한 아동 근접발달영역(ZPD)내의 인지변화와 발달 범위 관련 연구의 시급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석, "현행 국가교육과정체제의 문제점과 대안의 모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2006

      2 이동원, "한국초등사회과의 형성과 변화논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3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위원회(1998). 제7차 교육과정의 상세화를 통한 사회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1998년도 교육부 위탁과제 답신보고서"

      4 김종건, "통합교과의 교육과정?교과서 구조 개선 연구.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 96년 교육부 위탁 연구과제 답신보고"

      5 이동원, "초등사회과 역사내용 조직방법의 변화와 영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2006

      6 남상준, "초등사회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차기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5

      7 정광순, "초등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교육정책의 자율성과 공공성" 한국교육학회 2006

      8 허경철,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개정(시안) 연구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9 김영석, "제7차 교육과정의 구조적 문제와 사회과의 해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005

      10 박선미, "사회과내용의 통합수준과 구성방안"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2003

      1 김영석, "현행 국가교육과정체제의 문제점과 대안의 모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2006

      2 이동원, "한국초등사회과의 형성과 변화논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3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위원회(1998). 제7차 교육과정의 상세화를 통한 사회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1998년도 교육부 위탁과제 답신보고서"

      4 김종건, "통합교과의 교육과정?교과서 구조 개선 연구.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 96년 교육부 위탁 연구과제 답신보고"

      5 이동원, "초등사회과 역사내용 조직방법의 변화와 영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2006

      6 남상준, "초등사회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차기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5

      7 정광순, "초등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교육정책의 자율성과 공공성" 한국교육학회 2006

      8 허경철,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개정(시안) 연구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9 김영석, "제7차 교육과정의 구조적 문제와 사회과의 해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005

      10 박선미, "사회과내용의 통합수준과 구성방안"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2003

      11 권오정, "사회과교육학의 구조와 쟁점" 교육과학사 2003

      12 김정호, "사회과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개발. 2005년도 주5일 수업제 대비 교육과정 개정연구위탁과제 답신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3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

      14 박진동,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수정·보완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5 김영석, "미국초등사회과 Sequence 복합구조 변천과정(1940-1990)"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8

      16 이경섭, "교육과정 내용 조직에 있어서의 주요쟁점" 한국교육과정학회 14 (14): 1996

      17 황규호, "교과교육과정 구성의 폭과 깊이 문제"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2003

      18 Pollard A., "Reading for Reflective Teaching in Primary School" British Library Cataloguing in Publication Data 1996

      19 Farrell, M., "Key Issues for Primary Schools" Routledge 1981

      20 Stanley. W.B., "21세기 사회과교육연구의 핵심쟁점들" 교육과학사 2005

      21 정길용, "2007년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007

      22 교육인적자원부, ""초·중·고등학교 사회과·국사과 교육과정 기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1 2.43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