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등도 우울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iveness of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for moderate depressed college stu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70849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대구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80 판사항(6)

      • DDC

        15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 71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근향
        권말부록: 학교적응 간편 자가진단 도구 ; 활동-기분 기록지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도 우울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이 우울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960명에게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중등도(mo...

      본 연구는 중등도 우울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이 우울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960명에게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중등도(moderate) 우울 수준 이상에 해당하는 30명을 대상으로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에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치료 프로그램 종결 직후에는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추후검사는 종결 2주 뒤 시점에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은 우울 수준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활적응의 향상에 대한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제한된 대학교 환경 내에서 우울 대학생이 심리적 부적응 문제를 보일 때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실행 가능한 치료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행동활성화, 우울증, 대학생활적응, 대학생, 치료 프로그램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for depressed college students in depress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r this purpose, 960 college students were screened and 30 participants w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for depressed college students in depress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r this purpose, 960 college students were screened and 30 participants who were above the moderate depression were treated. Before the start of the program, pre-test was conducted and post-test was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ermination of the treatment program. Follow-up test was conducted two weeks after the program was o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reduction. Also, a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college life adjustment. Thus, this study showed that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can be an efficient and feasible treatment method when depressed college students show psychological maladjustment problem in a restricted college environ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Keywords: behavioral activation, depressi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college student, treatment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대학생의 우울증 6
      • 3.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 8
      • 4. 행동활성화치료 11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대학생의 우울증 6
      • 3.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 8
      • 4. 행동활성화치료 11
      • 1) 행동활성화의 정의 11
      • 2)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효능 및 효과 18
      • 3) 행동활성화의 치료 과정 및 기법 19
      • 4)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23
      • 5. 연구문제 및 가설 26
      • Ⅱ. 연구 방법 28
      • 1. 연구설계 28
      • 2. 연구대상 28
      • 3. 측정도구 29
      • 1) 한국판 Beck 우울 척도 29
      • 2)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 30
      • 3) 학교적응 간편 자가진단 도구 30
      • 4)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 31
      • 4. 연구절차 31
      • 5. 자료분석 36
      • Ⅲ. 결과 37
      • 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37
      • 2.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38
      • 1) 프로그램 참여 전후 비교 결과 38
      • 2) 프로그램 참여 추후 비교 결과 44
      • 3.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 참가자의 개별 결과 51
      • 4.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52
      • Ⅳ. 논의 54
      • 참고문헌 59
      • 영문초록 66
      • 부 록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