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Q‐5D로 측정된 소득 계층별 건강집중지수의 분해 = Decomposition of the Health Concentration Index by Health Dimensions Applied on EQ‐5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2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centration index has been widely used as a measure of income related inequality in heal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easure income related health inequality in the overall index of the EQ-5D which is on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The concentration index has been widely used as a measure of income
      related inequality in heal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easure income
      related health inequality in the overall index of the EQ-5D which is on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s as well as the contributions from each
      of its 6 dimensions included dimension of dysfunction. The study used
      data(N=24,169) collected from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survey of the
      general Korean population, as a part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5 and a health value set for the 243 health status
      of EQ-5D which estimated by Kang et al.(2006).
      Regarding income related inequality in health, the overall health concentration
      index was 0.035, indicating that health is concentrated among higher income
      groups. The concentration indices for 6 dimensions of the EQ-5D scales
      varied with each dimension, which was ranged from 0.0106 for dysfunction to
      0.0014 for mobility. The result showed that each dimension of the EQ-5D
      scales did not contribute equally to the overall health inequality. Pain/
      discomfort and dysfunction contributed 29.8% and 30.3%, respectively, to the
      total health inequality, which are contrasted with small contributions of
      mobility(3.9%) or self-care(4.4%).
      The study implied that these results should be taking into account in policy
      deliberati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income related health inequality
      among South Kore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집중지수는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는 지표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종합지표인 EQ-5D를 이용한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고, E...

      집중지수는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는 지표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종합지표인 EQ-5D를 이용한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측정하고, EQ-5D의 6개 건강영역별(기능악화 영역 포함)로 건강불평등에의 기여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의 EQ-5D 자료와 EQ-5D를 이용한 243개 건강상태에 대한 건강가치 추계 자료(강은정 등, 2006)이며, 연구 대상자는 19세 이상의 성인 24,169명이다. 소득계층별 건강집중지수의 크기는 0.035이었다. 이는 건강이 고소득층에 집중되어 있음을 의
      미한다. EQ-5D의 6개 건강영역별 집중지수의 크기는 0.0106(기능악화 영역)에서 0.0014(운동능력)까지 건강영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는 EQ-5D의 6개 개별 건강영역이 소득계층별 전체 건강 불평등에의 기여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EQ-5D의 개별 건강영역별 건강불평등에의 기여 도를 보았을 때, 기능악화 영역(30.3%)과 통증/불편감(29.8%)의 기여도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 으로 불안/우울 17.2%, 일상활동이 14.4%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운동능력과 자
      기관리의 건강불평등 기여도는 각각 3.9%, 4.4%에 지나지 않았다. 소득계층별 건강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정책 시행시 개별 건강영역별 건강불평등의 기여 정도가 다르다는 점이 고려되어, 건강불평등이 큰 건강영역 중심으로 건강불평등 해소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호, "한국의 건강불평등 현황" 1-20, 2006

      2 박형종,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영아사망에 관한 연구" 3 (3): 337-347, 1962

      3 강영호, "사회경제적 사망률 불평등 : 한국노동패널 조사의 추적 결과" 한국보건행정학회 14 (14): 1-20, 2004

      4 손미아, "부모의 사회계급이 1995-2001년도 출생아의 저체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행정학회 14 (14): 148-168, 2004

      5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 중간검토보고서" 2005

      6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2006

      7 Van Doorslaer E.,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health: some international comparisons" 16 : 93-112, 1997

      8 Wagstaff A., "What difference does the choice of SES make in health inequality measurement?" 12 : 885-890, 2003

      9 Kakwani 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measurement, computation, and statistical inference" 77 : 87-103, 1997

      10 Braveman P., "Social inequalities in health within countries: not only an issue for affluent nations" 54 : 1621-1635, 2002

      1 강영호, "한국의 건강불평등 현황" 1-20, 2006

      2 박형종,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영아사망에 관한 연구" 3 (3): 337-347, 1962

      3 강영호, "사회경제적 사망률 불평등 : 한국노동패널 조사의 추적 결과" 한국보건행정학회 14 (14): 1-20, 2004

      4 손미아, "부모의 사회계급이 1995-2001년도 출생아의 저체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행정학회 14 (14): 148-168, 2004

      5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 중간검토보고서" 2005

      6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2006

      7 Van Doorslaer E.,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health: some international comparisons" 16 : 93-112, 1997

      8 Wagstaff A., "What difference does the choice of SES make in health inequality measurement?" 12 : 885-890, 2003

      9 Kakwani 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measurement, computation, and statistical inference" 77 : 87-103, 1997

      10 Braveman P., "Social inequalities in health within countries: not only an issue for affluent nations" 54 : 1621-1635, 2002

      11 Luo N., "Self-Reported Health Status of the General Adult U.S. Population as Assessed by the EQ-5D and Health Utilities Index" 43 (43): 1078-1086, 2005

      12 Aronson J. R., "Redistributive Effect and Unequal Income Tax Treatment" 104 : 262-270, 1994

      13 Scutchfield F. Douglas, "Principles of Public Health Practice(2nd ed.)" Thomson Delmar Learning 161-189, 2003

      14 Clarke P. M., "On the measurement of relative and absolute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55 : 1923-1928, 2002

      15 Wagstaff A., "On the measurement of inequalities in health" 31 (31): 545-557, 1991

      16 Koolman X., "On the interpretation of a concentration index of inequality" 13 : 649-656, 2004

      17 Wagstaff A., "On decomposing the causes of health sector inequalities with an application to malnutrition inequalities in Vietnam" 112 : 207-223, 2003

      18 Mackenbach J. P., "Measuring the magnitude of socio 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an overview of available measures illustrated with two examples from Europe" 44 (44): 757-771, 1997

      19 Van Doorslaer E., "Inequalities in self‐reported health : varidation of a new approach to measurement" 22 : 61-87, 2003

      20 Humphries K. H.,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in Canada" 50 : 663-671, 2000

      21 Van Doorslaer E., "Explaining the differences in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ies across European countries" 13 : 609-628, 2004

      22 The EuroQol Group, "EuroQol ‐ 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16 : 199-208, 1990

      23 Wagstaff A., "Equity in the finance health care : some further international comparisons" 18 : 263-290, 1999

      24 강은정, "EQ-5D를 이용한 건강수준의 가치 평가"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2 (12): 19-43, 2006

      25 Gundgaard J., "Decomposition of sources of income related health inequality applied on SF‐36 summary scores: a Danish health survey" 4 : 53-, 2006

      26 Lauridsen J., "Decomposition of socio‐economic determination of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by health dimensions" Department of Business and Economics 2006

      27 Lauridsen J., "Decomposition of health inequality by determinants and dimensions" 16 : 97-102, 2007

      28 Kim MH,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in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s" 14 (14): 1401-1406, 2005

      29 Clarke P. M., "A note on the decomposition of the health concentration index" 12 : 511-516, 2003

      30 Gundgaard J., "A Decomposition of income‐related health in inequality applied to EQ-5D" 7 : 231-237,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3 2.13 2.5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