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불교포교매체가 불교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Influence for Buddhism Trust to Buddhism Propagation Medium -Focus on Path Analysis for University Student of Deajon and Chungna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47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간의 연구나 조사에서는 불교포교매체와 신뢰의 관계를 단순선형관계로 파악하였으며, 불교 포교매체들 간의 규범적 범주화에 그쳤을 뿐 아니라 이러한 상호 영향력에 관해서도 단순 파악에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교포교매체에 대한 불교포교의 체계론적 개념의 정립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불교포교 매체변수간의 요인별 경로계수 유의성에 중점을 둔 영향력 관계와 불교신뢰에 관한 모행 정립을 시도하였다. 이와 더불어 불교신뢰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불교신뢰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의 인구통계학적 집단 간의 차이비교 분석에 대한 결과는 종교관련 인구통계학적 변수가 불교신뢰에 영향을 많이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그간의 선행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성별이나 연령, 그리고 학교특성에 따라서는 불교포교매체에 대해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교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불교포교매체의 영향력 관계면에서는 범주화를 통해 종교적 표상 요인, 인적 매체 요인, 포교 매개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론적으로 개념화하였다. 각각의 요인의 영향력 관계에서 포교매개요인의 매개적 영향요인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포교매개요인(수행법(참선), 경전, 화두 등), 사찰의 활동(봉사, 교육,사회참여활동 등), 언론 및 매체(TV, 신문, 문학서적, 영화, 인터넷 등), 교육 및 학습 (역사교육, 불교관련 강좌 및 법문 등) 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불교포교매체의 각 요인들 중에서 인적매체요인(스님(주지스님, 일반스님 포함), 부모, 형제, 친지)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해 그 영향력이 큼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불교포교를 위하여 어떤 매체를 선택하고 또한 효율적인 포교 매체가 어떤 것인가 결정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그간의 연구나 조사에서는 불교포교매체와 신뢰의 관계를 단순선형관계로 파악하였으며, 불교 포교매체들 간의 규범적 범주화에 그쳤을 뿐 아니라 이러한 상호 영향력에 관해서도 단순 ...

      그간의 연구나 조사에서는 불교포교매체와 신뢰의 관계를 단순선형관계로 파악하였으며, 불교 포교매체들 간의 규범적 범주화에 그쳤을 뿐 아니라 이러한 상호 영향력에 관해서도 단순 파악에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교포교매체에 대한 불교포교의 체계론적 개념의 정립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불교포교 매체변수간의 요인별 경로계수 유의성에 중점을 둔 영향력 관계와 불교신뢰에 관한 모행 정립을 시도하였다. 이와 더불어 불교신뢰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불교신뢰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의 인구통계학적 집단 간의 차이비교 분석에 대한 결과는 종교관련 인구통계학적 변수가 불교신뢰에 영향을 많이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그간의 선행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성별이나 연령, 그리고 학교특성에 따라서는 불교포교매체에 대해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교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불교포교매체의 영향력 관계면에서는 범주화를 통해 종교적 표상 요인, 인적 매체 요인, 포교 매개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론적으로 개념화하였다. 각각의 요인의 영향력 관계에서 포교매개요인의 매개적 영향요인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포교매개요인(수행법(참선), 경전, 화두 등), 사찰의 활동(봉사, 교육,사회참여활동 등), 언론 및 매체(TV, 신문, 문학서적, 영화, 인터넷 등), 교육 및 학습 (역사교육, 불교관련 강좌 및 법문 등) 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불교포교매체의 각 요인들 중에서 인적매체요인(스님(주지스님, 일반스님 포함), 부모, 형제, 친지)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해 그 영향력이 큼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불교포교를 위하여 어떤 매체를 선택하고 또한 효율적인 포교 매체가 어떤 것인가 결정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vious research and survey have limitations that analysed simply linear relation between buddhism propagation and buddhism trust, and normal categorization of buddhism propagation medium, even though simply analysis for relation of influence, so that the present study try to relation of influence focus on path analysis through a set systemic- conception buddhism propagation for buddhism propagation medium and theoretical set between buddhism propagation medium and buddhism trust. in addition, showed difference of buddhism trus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um of analysis result, the analysis for difference compare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groups is shown a signigicant influence to buddhism trust by religion-relation demographic constructs. so proved agree with a previous researches and not shown difference for buddhism propagation media according with sex, age, and school Also, in relation of influence for buddhism propagation medium according to buddhism trust, through try to theoretical conception of categorization by Religion- Icon Factor(RIF), Personal - Media- Factor(PMF), Buddhism Propagation-Media- Factor(BPMF), and analysis of relations among RIF, PMF, BPMF, is revealed mediation influence faction. in other words, propagation mediation factor(Meditation in Zen Buddhism, The Buddhist Scripture, a Logic[subject] of convertsation etc.), activity of Temple(Social work, Education work, Social participation etc.), Speech and media(TV, Newspapers, Books, Movies, Internet etc.), Education and Learning(Learning of History, Lecture for buddhism and a Buddhist lecture etc.) are very important. in addition to, Personal- Media- Factor(PMF), one of RIF, PMF and BPMF is very influence and proved by statistic After all, This study is significantly shown as basic materials for selection of buddhism propagation medium and effectively propagation media by universal student.
      번역하기

      The Previous research and survey have limitations that analysed simply linear relation between buddhism propagation and buddhism trust, and normal categorization of buddhism propagation medium, even though simply analysis for relation of influence, so...

      The Previous research and survey have limitations that analysed simply linear relation between buddhism propagation and buddhism trust, and normal categorization of buddhism propagation medium, even though simply analysis for relation of influence, so that the present study try to relation of influence focus on path analysis through a set systemic- conception buddhism propagation for buddhism propagation medium and theoretical set between buddhism propagation medium and buddhism trust. in addition, showed difference of buddhism trus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um of analysis result, the analysis for difference compare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groups is shown a signigicant influence to buddhism trust by religion-relation demographic constructs. so proved agree with a previous researches and not shown difference for buddhism propagation media according with sex, age, and school Also, in relation of influence for buddhism propagation medium according to buddhism trust, through try to theoretical conception of categorization by Religion- Icon Factor(RIF), Personal - Media- Factor(PMF), Buddhism Propagation-Media- Factor(BPMF), and analysis of relations among RIF, PMF, BPMF, is revealed mediation influence faction. in other words, propagation mediation factor(Meditation in Zen Buddhism, The Buddhist Scripture, a Logic[subject] of convertsation etc.), activity of Temple(Social work, Education work, Social participation etc.), Speech and media(TV, Newspapers, Books, Movies, Internet etc.), Education and Learning(Learning of History, Lecture for buddhism and a Buddhist lecture etc.) are very important. in addition to, Personal- Media- Factor(PMF), one of RIF, PMF and BPMF is very influence and proved by statistic After all, This study is significantly shown as basic materials for selection of buddhism propagation medium and effectively propagation media by universal stud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분석 모형과 가설 설정
      • Ⅳ. 불교포교매체와 불교신뢰의 영향 분석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분석 모형과 가설 설정
      • Ⅳ. 불교포교매체와 불교신뢰의 영향 분석
      •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준, "현대적 기술과 상징 방식을 통한 도심지 사찰 계획안 : 서울시 내 천태종 말사(末寺) 성룡사를 대상으로" 경희대 2008

      2 정성덕, "한국판 영적안녕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230-242, 2001

      3 박준성, "한국사회의 종교에 대한 신뢰와 불신―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 한국종교학회 통권 (통권): 89-113, 2007

      4 박준성, "한국사회의 종교에 대한 신뢰와 불신 인식 연구: 토착심리학적 연구" 중앙대 2004

      5 박준성, "한국사회의 종교에 대한 신뢰에 대한 요인분석: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2006

      6 송명옥, "한국불교의 의료포교 연구 : 병원법당의 의료포교를 중심으로" 중앙승가대학교 2007

      7 이현정, "포교활성화를 위한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기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법사의 설법을 중심으로" 동국대 2004

      8 김응철, "포교학의 사회과학적 연구방법론 정립을 위한 소고" 불교학연구회 3 : 2001

      9 양흥식, "케이블 불교TV의 영상포교를 위한 편성전략 연구 : 시청률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동국대 2001

      10 이재호, "중국에서 꽌시(關係)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2 (22): 357-375, 2006

      1 김원준, "현대적 기술과 상징 방식을 통한 도심지 사찰 계획안 : 서울시 내 천태종 말사(末寺) 성룡사를 대상으로" 경희대 2008

      2 정성덕, "한국판 영적안녕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230-242, 2001

      3 박준성, "한국사회의 종교에 대한 신뢰와 불신―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 한국종교학회 통권 (통권): 89-113, 2007

      4 박준성, "한국사회의 종교에 대한 신뢰와 불신 인식 연구: 토착심리학적 연구" 중앙대 2004

      5 박준성, "한국사회의 종교에 대한 신뢰에 대한 요인분석: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2006

      6 송명옥, "한국불교의 의료포교 연구 : 병원법당의 의료포교를 중심으로" 중앙승가대학교 2007

      7 이현정, "포교활성화를 위한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기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법사의 설법을 중심으로" 동국대 2004

      8 김응철, "포교학의 사회과학적 연구방법론 정립을 위한 소고" 불교학연구회 3 : 2001

      9 양흥식, "케이블 불교TV의 영상포교를 위한 편성전략 연구 : 시청률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동국대 2001

      10 이재호, "중국에서 꽌시(關係)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2 (22): 357-375, 2006

      11 김동기, "종교심리학" 학지사 2003

      12 오경환, "종교사회학" 서광사 1991

      13 조은희, "정부브랜드 이미지의 측정에 관한 연구-척도개발을 중심으로-" 단국대 2003

      14 박수호, "정보화시대의 포교전략 in: 조계종 포교비전" 조계종 포교원 2005

      15 김은종, "원불교 사이버교화의 방향성 모색" 한국원불교학회 9 : 2003

      16 강덕순, "어린이 布敎를 위한 初等 7차 敎育課程에 관한 考察 : 佛敎的인 觀點을 中心으로" 동국대 2005

      17 정병조, "신도조직과 포교" 중앙승가대학교 7 : 1990

      18 최세원, "소규모 도심지 포교사찰 계획" 경희대 2000

      19 정해성, "산사음악회의 포교효과성 연구" 불교학연구회 22 : 329-366, 2009

      20 조기룡, "불교지도자의 리더십이 사찰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 2004

      21 유승무, "불교의 사회참여와 간접포교: 친불교적 종교적 형성을 매개로" 중앙승가대학교 15 : 1998

      22 유승무, "불교의 사회참여와 간접포교" 중앙승가대학교 15 : 1998

      23 서찬영, "불교신자의 신앙과 사회적 기부행위에 관한 연구" 경남대 2006

      24 김수영, "불교설화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고찰 :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불교설화를 중심으로" 동국대 2008

      25 김미옥, "불교보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 2003

      26 사재동, "불교문화학의 사상적 탐구와 전망" 한국불교문화학회 5 : 2005

      27 대효, "불교개혁과정에서 나타나는 불교인식 조사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12 : 1995

      28 신선영, "불교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포교사의 소그룹활동 실태를 중심으로" 강남대 2000

      29 가섭, "미래 불교는 인터넷 포교에 달려 있다" 중앙승가대학교 17 : 2000

      30 장명수, "도심형 사찰 계획안" 건국대 2003

      31 김응철, "도심 포교 방법론 및 유형에 관한 소고" 중앙승가대학교 7 : 1998

      32 박선영, "도시사찰(포교원)의 실내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동덕여대 2005

      33 권정만, "대학생들의 불교이미지에 관한 연구-특성용어를 통한 적절성과 호오도 분석을 중심으로-"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6 : 2009

      34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0" 법문사 2007

      35 백원기, "文化財活用을 통한 國際布敎 방안" 동국대 2003

      36 이상병, "情報化 時代의 인터넷 佛敎布敎 硏究" 동국대 2004

      37 허인순, "布敎師 社會福祉活動 實踐方案에 寬限 硏究 : 社會福祉意識 및 社會福祉活動 參與實態 調査를 중심으로" 동국대 2004

      38 유성열, "佛敎葬禮文化 改善을 通한 布敎硏究 : 樹木葬을 中心으로" 위덕대 2008

      39 한우옥, "佛敎自願奉仕活動의 布敎效果性 硏究" 중앙승가대학교 2005

      40 최진구, "佛敎放送의 機能的 特性에 관한 硏究: 釜山地域 佛敎信者의 認識을 中心으로" 동국대 2007

      41 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http://www.buddhapia.co.kr"

      42 조계종 중앙종회 교육분과위원회와 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http://wooribulgyo.com/new_view.jsp?ncd=1870"

      43 Park, J, "The basis of trust and distrust between Christian ministers and believers in Korea: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2004

      44 김계수, "AMOS 7.0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 2007

      45 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99년 청소년종교의식조사"

      46 한국갤럽, "2004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5-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for uddhist Studies -> Korean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5 1.56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