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권익관련 법인식 현황과 설립유형별 법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 601명, 어린이집 교사 906명으로 총 1,5...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23898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7-292(1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권익관련 법인식 현황과 설립유형별 법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 601명, 어린이집 교사 906명으로 총 1,5...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권익관련 법인식 현황과 설립유형별 법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 601명, 어린이집 교사 906명으로 총 1,507명이었으며 SPSS 21.0을 사용하여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립 유치원 교사들이 사립 유치원 교사나 어린이집 교사에 비해 법에 보장된 교사의 권익에 대한 사항들을 더 많이 알고 있었다. 둘째, 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 유치원 교사보다 5개 권리 영역 모두에서 권익 관련 법조항을 더 잘 알고 있었으며 어린이집 교사는 전문직으로서의 교육권 및 자율권, 근무여건 개선 및 생활보장 요구권, 복지후생제도 요구권에서만 설립유형별 차이를 보여 민간과 가정 어린이집 교사가 직장이나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보다 권익 관련 사항을 잘 모르고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어린이집 교사의 권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인식 제고뿐만 아니라 교사들 스스로 법에 보장된 교사 권익에 대한 법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the laws regarding rights, as well as whether or not there are difference in understan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the laws regarding rights, as well as whether or not there are difference in understandings of the laws depending on establishment type.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601 kindergarten teachers and 906 day-care teachers, for a total of 1,507 teachers. Using the data, percentages calculations,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test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ublic-kindergarten teachers were found to be more knowledgeable about the rights of teachers guaranteed by the law, compared to private-kindergarten teachers or day-care teachers. Second, the public-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knowledgeable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bout the laws related to rights in all 5 rights-related areas. The teachers of private and family day-care centers were shown to be less knowledgeable than the public-kindergarten teachers as indicated b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establishment type shown only in the areas of rights to education and professional autonomy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nd guarantee of benefits. The private and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less knowledgeable about the rights than the teachers at workplace or public day-care center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interest in kindergarten and day-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aise social awareness but also to raise teachers` understanding itself about the rights of teachers guaranteed by the law.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전, "초‧중등교육법안과 교원의 법적 지위" 한국교육법학회 69-94, 1997
2 김은설, "유치원・어린이집 운영실태 비교 및 요구분석" 육아정책연구소 2014
3 김길숙, "유치원·어린이집교사 권익 보호 실태 및 증진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5
4 권성민,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13-333, 2011
5 김은영, "영유아교사 복지실태와 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6 안현미, "서울시 보육교사 근로환경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3
7 서문희, "보육시설종사자 직무 및 근로환경 실태분석" 여성가족부 2006
8 나성식, "보육교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307-328, 2013
9 유희정, "보육교사근무환경 및 직무실태분석" 한국여성개발원 2004
10 국가인권위원회, "보육교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2
1 고전, "초‧중등교육법안과 교원의 법적 지위" 한국교육법학회 69-94, 1997
2 김은설, "유치원・어린이집 운영실태 비교 및 요구분석" 육아정책연구소 2014
3 김길숙, "유치원·어린이집교사 권익 보호 실태 및 증진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5
4 권성민,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13-333, 2011
5 김은영, "영유아교사 복지실태와 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6 안현미, "서울시 보육교사 근로환경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3
7 서문희, "보육시설종사자 직무 및 근로환경 실태분석" 여성가족부 2006
8 나성식, "보육교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307-328, 2013
9 유희정, "보육교사근무환경 및 직무실태분석" 한국여성개발원 2004
10 국가인권위원회, "보육교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2
11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12 위미숙,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209-238, 2005
13 고전, "교권(敎權) 보호 법제화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53-73, 2012
14 ILO,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s"
15 ILO, "ILO policy guidelines on the promotion of decent work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ersonnel"
16 표시열, "21세기 교사의 법적‧사회적 지위" 17 (17): 119-145, 2000
17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보육교사 소통방: 알고싶고 알리고 싶은 이야기" 2017
18 이미화,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다면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수학활동(탐색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실행, 요구 탐색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매개효과 분석
보육교사들의 심층적 이야기를 통한 보육교사와 학부모와의 긍정적 관계 설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2008-03-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부모교육학회 -> 열린부모교육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Open Parent Education: SOP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9 | 1.49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