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도시는 물리적 공간과 인간의 다양한 활동이 융합되어지는 장소(place)로 정의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이며, 이 과정에서 도시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도시경관에 대한 중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도시는 물리적 공간과 인간의 다양한 활동이 융합되어지는 장소(place)로 정의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이며, 이 과정에서 도시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도시경관에 대한 중요...
현대 도시는 물리적 공간과 인간의 다양한 활동이 융합되어지는 장소(place)로 정의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이며, 이 과정에서 도시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도시경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정체성 수립을 위해 도시의 경관 이미지 형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사회․문화와 인간 활동 등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시경관 이미지는 도시활성화에 중요요소 이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다. 특히, 도시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형성하는 비물리적 경관요소가 도시활성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 배다리의 도시경관 계획요소와 지역활성화의 관계를 규명하여 인천 배다리의 대표적 경관적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관관련 문헌자료를 통해 도시경관의 이론적 개념과 물리적․비물리적 경관요소를 탐색하였고 기존 연구자료 고찰을 통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인천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요소를 도출하는 1차 설문과 본 연구를 위한 2차 설문을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은 2020년 3월 2일부터 3월 11일까지 현장설문 위주로 거주자와 비거주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물리적 경관요소(특화거리 조성, 건축물)와 비물리적 경관요소(옛문화, 근대역사자원) 총 4가지를 도출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2020년 3월 30일부터 4월 14일까지 15일간 배다리 인지도에 대한 의식조사와 지역활성화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재방문율, 지역인지도, 만족도 영향 요인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은 총 327부를 회수하여 유효부수 310부를 대상으로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다리의 물리적 경관요소인 특화가로는 배다리의 재방문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둘째,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인 옛 문화는 배다리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인 근대역사자원은 배다리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인 옛 문화는 배다리의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배다리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인 근대역사자원은 배다리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정책적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다리 지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비물리적 경관 요소 중심의 경관계획 수립을 통한 도시경관 이미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배다리의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거 문화재현과 역사성에 기반한 특화가로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배다리의 지역 인지도 향상을 위해서는 배다리가 갖는 문화적 경관 요소와 근대역사자원을 지역활성화 계획에 활용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배다리의 방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문화적 경관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비물리적 경관 요소를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도시의 물리적․비물리적 경관 요소와 지역활성화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인천 배다리 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제한적 연구범위를 갖는다. 또한, 특정 지역의 비물리적 경관 요소를 대상으로 제한적이고 지역성에 기반한 비물리적 경관 요소를 통해 지역활성화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연구의 일반화라는 관점에서는 본 연구가 갖는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좀 더 다양한 비물리적 경관 요소를 대상으로 후속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며 본 연구자가 연구기획‧의도한 연구목적과 완성도를 높이는 연구가 이어질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erspective on modern cities is changing from merely viewing them as a physical object to a place in which the physical space is integrated with diverse human activities.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landscape has been emphasized...
The perspective on modern cities is changing from merely viewing them as a physical object to a place in which the physical space is integrated with diverse human activities.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landscape has been emphasized for vitalization of the city. Creating a city's landscape image is a key element for establishing the regional identity. The urban landscape image that represents interactions among various societies, cultures, and human activities plays a crucial role in enlivening the city, but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correlation. To fill this gap,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determines how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which form the city's identity and image affects vitalization of the c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landscape planning elements of Incheon Baedari and the regional vitalization and come up with typical landscape elements of Baedari. Literature review, field investigation, and survey were used for the research. The theoretical concept of urban landscape and physical and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were explored using landscape-related literature, a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y reviewing existing research data. The survey was divided into the primary survey for revealing the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of Baedari and the secondary survey for conducting the main study. The primary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and visitors, mostly in the form of a field survey, from March 2 to 11, 2020. Four types of physical (specialized streets, buildings) and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ancient culture, modern historical resources) were derived. The second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5 days from March 30 to April 14, 2020, and it comprised of an attitude survey on awareness of Baedari and a survey asking about factors affecting revisit rate, regional awareness, and satisfaction to reveal the factors affecting regional vitalization.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Program on 310 valid copies out of 327 copies retriev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streets, a 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was found to affect revisit rates to Baedari. Second, ancient culture, a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was found to affect awareness of Baedari. Third, modern historical resources, a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affected awareness of Baedari. Fourth, ancient culture, a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affected the satisfaction in visiting Baedari. Finally, modern historical resources, a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 of Baedari, affected satisfaction in visiting Baedari.
The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regional vitalization of Baedari, it is necessary to build an urban landscape image with landscape planning focused on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produce the culture of the past and build specialized streets based on historicity to increase revisit rates to Baedari.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the cultural landscape elements and modern historical resources of Baedari in regional vitalization planning to promote regional awareness of Baedari. Finally,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use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focused on cultural landscape featur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Baedari.
This study is relevant because it deter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hysical/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and regional vitalization and reveal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However, the study has a few limitations. The study has a limited scope as it set Incheon Baedari as the spatial scope. Moreover, by investigating regional vitalization through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that are limited and based on regionality, generalizability of the results may be subject to some constraint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more diverse non-physical landscape elements, which will improve the intended research purpose and completenes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