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용단소속 여부에 따른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미치는 심리적요인 비교 분석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sychological factors on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by dancer of dance compa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867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at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self-management behavior, dance confidence, psychological skill and well-being are related to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and effectively determine which impact the factors will have on difference between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r.
      The subjects were 300 dancer of dance company and 300 freelance dancer engaged in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For this study analysi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If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survey were considered inadequate or unreliable, they were not used in the analysis. Only those data that could be analyzed and available were used by category to get the statistics in Window SPSS 18.0 version. Various statistics were used in the study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parti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self-management behavior, dance confidence, psychological skill and well-being according to background characteristics(gender, age, academic ability, career of dance, dance major and the frequency of dance performance).
      Second, training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behavior variable were significant higher in dancer of dance company than freelance danc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confidence variable between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r. But, concentration and anxiety control of psychological skill variable were significant higher in freelance danc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autonomy support was significant higher in dancer of dance company, but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higher in freelance dancer. There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variable between groups.
      Third, self-management variables partially affect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tow groups but not intrinsic behavior management. The physical/mental preparation and social support of dance confidence variable affect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dancer of company dance but, all factors of dance confidence variable affect the freelance danc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included environment governing power, purpose in life, self-acceptance and autonomy support partially affect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dancer of company dance and in the freelance dancer, psychological skill factors except the personal growth affect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Forth, the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training management, confidence and autonomy support can effectively distinguish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between the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r group.
      In conclusion, dancer of dance company who have higher training management, confidence and autonomy support may be roll-model in the freelance dancer.
      번역하기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at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self-management behavior, dance confidence, psychological skill and well-being are related to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and effectively determine which impact the fact...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at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self-management behavior, dance confidence, psychological skill and well-being are related to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and effectively determine which impact the factors will have on difference between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r.
      The subjects were 300 dancer of dance company and 300 freelance dancer engaged in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For this study analysi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If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survey were considered inadequate or unreliable, they were not used in the analysis. Only those data that could be analyzed and available were used by category to get the statistics in Window SPSS 18.0 version. Various statistics were used in the study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parti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self-management behavior, dance confidence, psychological skill and well-being according to background characteristics(gender, age, academic ability, career of dance, dance major and the frequency of dance performance).
      Second, training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behavior variable were significant higher in dancer of dance company than freelance danc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confidence variable between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r. But, concentration and anxiety control of psychological skill variable were significant higher in freelance danc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autonomy support was significant higher in dancer of dance company, but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higher in freelance dancer. There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variable between groups.
      Third, self-management variables partially affect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tow groups but not intrinsic behavior management. The physical/mental preparation and social support of dance confidence variable affect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dancer of company dance but, all factors of dance confidence variable affect the freelance danc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included environment governing power, purpose in life, self-acceptance and autonomy support partially affect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dancer of company dance and in the freelance dancer, psychological skill factors except the personal growth affect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Forth, the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training management, confidence and autonomy support can effectively distinguish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between the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r group.
      In conclusion, dancer of dance company who have higher training management, confidence and autonomy support may be roll-model in the freelance danc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단소속의 무용수들이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관리행동, 무용 자신감, 심리적 기술, 심리적 안녕감 등의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하고, 무용단에 소속되어 있지 않는 프리랜스(freelance) 유형의 무용수들과 차이를 분석하여, 무용단소속과 프리랜스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결정요인을 판별 가능 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 대구 지역에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전공의 무용단소속 무용수 300명과 프리랜스 무용수 300명을 선정하였다. 응답한 질문지의 자료처리를 위해서 질문지들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문항 일치도 그리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서 연구 대상자들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요인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관한 차이 비교를 위해서 독립적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심리적 요인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무용단소속 무용수와 프리랜스 무용수 집단의 변별력 검증을 위해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배경적 특성인 성별, 연령, 학력, 무용경력, 공연횟수에 따라서 심리적 요인들인 자기관리행동, 무용 자신감, 심리적 기술,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두 그룹 모두 한국무용 전공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하위요인들이 다른 전공 무용수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은 자기관리행동의 고유행동 관리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들은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하위요인 각각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자기관리행동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하위요인 각각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은 무용 자신감의 신체/정신적 준비 및 사회적지지 요인이 지도자지도력 및 능력입증 요인보다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무용 자신감의 하위요인 모두가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은 심리적 기술의 자신감, 목표설정, 심상 요인이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하위요인들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집중력 및 불안조절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들이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환경에 대한 지배력 및 삶의 목적, 자아수용, 자율성 요인이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성장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이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본 연구의 모든 심리적 요인들에서 무용단소속의 무용수와 프리랜스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변별력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요인은 훈련(연습) 관리, 자신감, 자율성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심리적 요인은 자기행동관리의 훈련(연습) 관리 요인, 심리적 기술의 자신감 요인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 요인이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프리랜스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영향요인들과 명확하게 변별되는 요인들이다. 즉, 무용단소속 무용수보다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훈련(연습) 관리, 자신감, 자율성 요인에 대한 세부사항들을 개선시킴으로 인해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속적인 무용수로서 활동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무용단소속의 무용수들이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관리행동, 무용 자신감, 심리적 기술, 심리적 안녕감 등의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하고, 무용단에 소속되어 ...

      본 연구는 무용단소속의 무용수들이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관리행동, 무용 자신감, 심리적 기술, 심리적 안녕감 등의 심리적 요인들을 분석하고, 무용단에 소속되어 있지 않는 프리랜스(freelance) 유형의 무용수들과 차이를 분석하여, 무용단소속과 프리랜스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결정요인을 판별 가능 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 대구 지역에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전공의 무용단소속 무용수 300명과 프리랜스 무용수 300명을 선정하였다. 응답한 질문지의 자료처리를 위해서 질문지들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문항 일치도 그리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서 연구 대상자들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요인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관한 차이 비교를 위해서 독립적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심리적 요인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무용단소속 무용수와 프리랜스 무용수 집단의 변별력 검증을 위해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배경적 특성인 성별, 연령, 학력, 무용경력, 공연횟수에 따라서 심리적 요인들인 자기관리행동, 무용 자신감, 심리적 기술,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두 그룹 모두 한국무용 전공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하위요인들이 다른 전공 무용수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은 자기관리행동의 고유행동 관리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들은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하위요인 각각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자기관리행동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하위요인 각각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은 무용 자신감의 신체/정신적 준비 및 사회적지지 요인이 지도자지도력 및 능력입증 요인보다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무용 자신감의 하위요인 모두가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은 심리적 기술의 자신감, 목표설정, 심상 요인이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하위요인들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집중력 및 불안조절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들이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환경에 대한 지배력 및 삶의 목적, 자아수용, 자율성 요인이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성장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이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본 연구의 모든 심리적 요인들에서 무용단소속의 무용수와 프리랜스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변별력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요인은 훈련(연습) 관리, 자신감, 자율성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무용단소속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심리적 요인은 자기행동관리의 훈련(연습) 관리 요인, 심리적 기술의 자신감 요인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 요인이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프리랜스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영향요인들과 명확하게 변별되는 요인들이다. 즉, 무용단소속 무용수보다 프리랜스 무용수들은 훈련(연습) 관리, 자신감, 자율성 요인에 대한 세부사항들을 개선시킴으로 인해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속적인 무용수로서 활동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 론 1
      • 1.연구의 필요성 1
      • 2.연구의 목적 9
      • 3.연구 문제 9
      • 4.연구 가설 10
      • Ⅰ.서 론 1
      • 1.연구의 필요성 1
      • 2.연구의 목적 9
      • 3.연구 문제 9
      • 4.연구 가설 10
      • 5.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12
      • Ⅱ.이론적 배경 13
      • 1.무용단소속 무용수의 특성 13
      • 2.무용수의 자기관리행동 17
      • 3.무용 자신감 21
      • 4.심리적 기술 25
      • 5.심리적 안녕감 29
      • 6.무용수행능력성취감 34
      • Ⅲ.연구방법 39
      • 1.연구 대상 39
      • 2.조사도구 42
      • 3.조사절차와 관계모형 45
      • 4.자료처리 47
      • Ⅳ.연구결과 48
      • 1.무용단소속 무용수와 프리랜스 무용수 분석 48
      • 2.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 분석 51
      • 3.배경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요인의 차이 61
      • 4.심리적 요인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 87
      • 5.심리적 요인을 통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판별분석 관계 112
      • Ⅴ.논의 124
      • 1.무용단소속 여부에 따른 심리적 요인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차이 124
      • 2.심리적 요인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 127
      • 3.심리적 요인을 통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판별분석 관계 132
      • Ⅵ.결론 및 제언 134
      • 참고문헌 138
      • 부록 154
      • ABSTRACT 16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제한, "교육심리학", 양서원, 서울 : 박영사, 1994

      2 김정수, 황규자, "무용심리학", 금광, 서울 : 금광, 2000

      3 박중길, "무용심리학", 들불, 서울 : 들불, 1995

      4 정유영, 조영주, "무용심리학", 창원대학교 출판부, 창원 : 창원대학교 출판부, 2008

      5 육완순, "무용교육과정", 금광, 서울 : 금광 출판사, 1992

      6 황경숙, "무용학의 재구성", 한국학술정보, 서울 : 한국학술정보. 111-112, 2009

      7 설기문,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서울 : 학지사, 2001

      8 구봉진, 이병기, 김주호, 김용구, 김덕진, "스포츠 심리학 플러스", 대경 북스, 2010

      9 문영 ( Young Moon ), 오레지나 ( Regina Oh ), "무용수행능력 검사 개발", 한국무용교육학회,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3(1), 195-212, 2012

      10 문성철, 정혜진, "무용수행력과 집중력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대한무용학회, 34, 201-222, 2002

      1 김제한, "교육심리학", 양서원, 서울 : 박영사, 1994

      2 김정수, 황규자, "무용심리학", 금광, 서울 : 금광, 2000

      3 박중길, "무용심리학", 들불, 서울 : 들불, 1995

      4 정유영, 조영주, "무용심리학", 창원대학교 출판부, 창원 : 창원대학교 출판부, 2008

      5 육완순, "무용교육과정", 금광, 서울 : 금광 출판사, 1992

      6 황경숙, "무용학의 재구성", 한국학술정보, 서울 : 한국학술정보. 111-112, 2009

      7 설기문,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서울 : 학지사, 2001

      8 구봉진, 이병기, 김주호, 김용구, 김덕진, "스포츠 심리학 플러스", 대경 북스, 2010

      9 문영 ( Young Moon ), 오레지나 ( Regina Oh ), "무용수행능력 검사 개발", 한국무용교육학회,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3(1), 195-212, 2012

      10 문성철, 정혜진, "무용수행력과 집중력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대한무용학회, 34, 201-222, 2002

      11 문영, "무용동작의 심리학적 접근 Ⅳ", 무용학회논문집, 25, 91-112, 1999

      12 김혜원, 차경호,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 회지, 15(2), 19-39, 2001

      13 김병준,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의 측정",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체육과학연구, 14(4), 125-140, 2003

      14 김현숙, 표내숙, "직업무용수들의 자기관리 특성",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부산대학교 부설 체 육과학연구소, 25(2), 1-10, 2009

      15 양진숙, "무용수를 위한 심리적 기술훈련",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16 박중길, "무용심리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무용학회, 한국무용학회학술대회, 1, 74-91, 2007

      17 김재은, 유태균, "직업무용수의 삶에 부영된 은퇴", 한국체육철학회지, 17(2), 355-372, 2009

      18 김원배, "자신감 질문지(SSCQ)의 타당성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지, 10(2), 107-122, 1999

      19 김현숙, "직업무용수의 공연심리 요인 분석", 대한무용학회,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 산대학교 대학원, 2012

      20 조영주, "무용수행의 심리적 요인 구조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5

      21 탁진구,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서울 : 학지사, 2007

      22 유진, 한시완, "무용수들의 자기조절 전력의 역동성", 한국스포츠심리 학회지, 18(3), 165-197, 2007

      23 허정훈, "운동선수 자기관리 검사지(ASMQ)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스포츠심리학 회지, 14(2), 95-109, 2003

      24 우찬명, "골프선수의 심리적 기술 검사지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2

      25 유진,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기술 검사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35(3), 107-124, 1996

      26 박주현,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의 자기관리 전력", 우석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1

      27 강미선, "무용참가와 무용성취 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 문, 1999

      28 허정훈, 유진, "스포츠 심리기술 질문지 개발과 타당화",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 지, 41(3), 41-50, 2002

      29 김진완, "무용전공학생들의 무용자신감 차이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5

      30 남경옥, "멘토링이 무용수의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9

      31 강인숙, "무용수의 자신감과 귀인유형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 부산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1997

      32 구해모, 이한규, 신동성, 김용승,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기술 평가방안 개발", 체육과학연구, 40, 1-15, 1999

      33 김인자, "적응심리: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개인성장", 한국심리상담연구소, 서울: 한국심리상 담연구소, 2002

      34 한시완, "무용 자기조절 검사지 개발과 타당화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8

      35 김병현, 이한규, 이병기, 김용승, "사격 양궁선수의 심리적 기술 검사 지 개발", 체육과학연구, 38, 55-68, 1999

      36 손각중, "심리기술훈련이 무용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무용학회, 무용학회논문 집, 28, 161-180, 2000

      37 김병헌, "심리기술의 중요성과 스포츠 현장 적용 실제", 스포츠과학 100, 50-56, 2007

      38 나경연, "심상훈련이 불안 및 무용수행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5

      39 김은영, "지도자 리더십이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 한국무용학회 지, 8(2), 21-28, 2008

      40 이노연, "국내 직업무용단의 운영규정에 대한 개선 방안",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41 구해모, 이한규, 이병기, 신동성, 김병현, "라켓 구기선수들의 심리적 기술 평가방안 개발", 체육과학연구 39, 38-59, 1999

      42 조정희, "무용공연불안 원인과 대처행동에 관한 요인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3 최재원, 강성구, "프로골프선수들의 심리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 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2), 265-285, 2003

      44 이정수, "여성 직업무용수의 여가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5 이현경,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의 자기관리 비교 분석",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7

      46 전병관, "검도선수의 자기관리, 스포츠정서 및 경기력의 관계",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4

      47 정소연, "프로 무용수의 자기관리 인식에 따른 공연성패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8 김혜숙, 박한샘, "인지행동상담기법개발 및 보급보고서: 자기관리기법",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상담연구, 26, 13-43, 1996

      49 김영한 ( Young Han Kim ), 한상철 ( Sang Chul Han ), "청소년 가치관 조사: 인생관, 가정관, 교육관, 직업관", 대경교육학회 ( 구 우리교육학회 ), 교육학논총, 24(1), 55-79, 2003

      50 송재순, "무용심리기술의 구성요인에 관한 이론적 경험적 탐색", 한국무용과학회,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51 김나원,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자녀의 직업가치관의 차이",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03

      52 강은주, "무용전공 여고생의 신체이미지와 무용수행능력의 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미 간행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53 우주립, 이민정, "생활스트레스가 직업무용수의 상해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38(3), 969-978, 1999

      54 이우리,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상이 무용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55 허정식, "노인의 운동참여와 주관적 건강인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2), 111-127, 2003

      56 이화석, "무용전공대학생의 성취목표, 자기관리, 공연 자신감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대 한무용학회논문집, 71(2), 117-193, 2013

      57 윤정현,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가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58 조형빈, "불안정한 삶과 예술 노동 : 무용수의 예술 활동을 중심으 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59 이명애,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직업가치관 및 직업선택에 관한 연 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0 윤정식, "노인체육지도자의 직업가치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61 박민지, "무용수의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 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2 이화석, 최재희,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 무용열정, 공연 자신감의 관계",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42(3), 160-186, 2013

      63 정희담, "무용전공 여자대학생의 신체상지각과 체질량지수와의 관 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새종대학교 대학원, 2008

      64 배진희, "무용단체의 직무만족도와 운영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11(2), 17-24, 2001

      65 한임숙,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자신감 및 무용성취감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한국무용과학회지, 30(3), 123-136, 2013

      66 장희옥, "무용전공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과의 관 계", 우리춤연구소,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67 김윤지, "무용전공학생들의 심리기술과 무대불안의 관계에 대한 연 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8 배진모, "부모와 무용교사의 기대가 학생의 무용자신감에 미치는 영 향", 단국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69 김다희, "직업무용수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 한국무용학회지, 15(1), 29-38, 2015

      70 김아름, "무용전공대학생의 능력믿음,동기,자기관리 및 무용지속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71 허정훈, 유진, 김병준, "대학운동성수들의 자기관리 전략 : 평소연습과 시합상황의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40(1), 187-198, 2001

      72 문영, "무용능력 검사 개발을 위한 무용수행능력의 요인구조 탐색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한국무용과학회지, 17(0), 1-16, 2008

      73 김석일,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 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74 허정훈, "운동선수 자기관리 측정도구의 구조적 타당화와 인과모 형 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75 양병한, "초등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교육학연구, 41(4), 285-309, 2003

      76 강경모, "즉흥무용 시 무용수의 부정적 심리요인과 대처에 관한 심 층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77 형남희, "직업무용수의 직무특성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78 이주연, "무용전공대학생들의 무용자신감, 무용몰입, 무용능력성취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한국무용과학회지, 33(2), 29-40, 2016

      79 민현기, "대학생의 유머대처와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80 길진영,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학생들의 자기관리와 학습몰입 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1 현보람, "직업무용단 무용수의 신뢰연결망 구조와 사회적 자원 교환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6

      82 박미소, "직업무용단의 직무특성과 심리적 주인의식 및 공연성과와 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83 노정식,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관리, 공연불안 및 공연몰입의 관계",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84 안정욱, "무용심상척도(DIQ)표준화 및 무용심상이 무용자신감에 미 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85 송시윤, "직업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86 정민, "직업 무용수의 성격 5요인과 공연스트레스 및 공연불안감과 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87 김기영, "직업무용수의 무용열정이 긍정심리자본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88 유정숙, "무용계열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관리 및 무용성취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대한무용학회지, 60, 205-222, 2009

      89 최재원, "배수진 테니스 남자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경쟁불안에 미치 는 영향", 학술저널지, 1(1), 17-27, 2006

      90 한유선,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와 불안 대처행동 및 무용몰입 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985-998, 2016

      91 손각중, "무용전공학생들의 심상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성에 관 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대한무용학회지, 29, 147-163, 2001

      92 노세진,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분노표현양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3 이해원(Lee, Hae-Won),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자기효능감과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25(5), 921-934, 2016

      94 김유진,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신감이 몰입경험과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95 최석한, 황성우, "무용전공대학생의 내적동기와 무용정서표현성 및 무 용자신감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6(3), 25-34, 2014

      96 이복선, "무용전공자의 섭식태도가 자기관리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97 윤선의, "대학 무용전공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무용수행능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98 김진아,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심리적 기본욕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99 박혜진, "무용전공자의 완벽주의 성향이 성취목표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0 오지혜, "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가 대학생활적응기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01 권영균, "무용전공자의 자기관리와 신체적 자기지각 및 공연자신감 구조모형검 증", 한국체육학회,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02 김종학,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에 기반한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 도 개발 및 타당화",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7

      103 염지훈, "“직업무용수의 전문직업성이 직무스트레스와 공연품질에 미치는영향.”", 한국무용예술학회, 한국무용예술학회, 54(3), 113-128, 2015

      104 심현우, "고등학교 유도 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신감이 경쟁불안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105 김희진, "대학무용수들의 심리적 요인이 무용지속과 중도포기 의도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106 최효선, "무용전공자의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가 무용능력성취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7 김은진, "무용전공고등학생들의 무용 열정수준에 따른 성취목표지향 성과 자기관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3

      108 김순미, "여자골프프로선수의 대회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6

      109 이예원,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관리 및 성취목 표성향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10 김해주, "무용전공자의 완벽주의 성향이 자아존중감 및 무용수행능 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111 고은주,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학습 부진아의 자신감과 자기존중감 증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 원, 2004

      112 김종이, "하키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심리적 기술이 스포츠 자신 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113 이동현, 이주호, "골프 지도자의 멘토링이 선수의 자기관리 및 스포츠 수행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 54, 687-698, 2013

      114 김규석, "하타요가(Hatha-Yoga)수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6

      115 한송이,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신체적 자기 효능감 및 무용능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116 오진숙, 한혜원,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이미지가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20(5), 859-870, 2011

      117 박혜리, "신체만족도가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능력성취 및 공연자신 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18 최청자, 심현화, 김형남, "무용심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 및 심리기술 효과", 한국무용과학회, 한국무용과학회, 26, 51-67, 2012

      119 김영미, 이민아, 김정수, "무용전공 대학생의 고원과 슬럼프 현상이 무용 성적과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한국무용과학회지, 43(3), 571-580, 2004

      120 김정수, "직업발레 무용수들의 심리적 방해요인에 따른 공연수행 대 처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121 지용주, "대학골프선수들의 시합 중 프리샷 루틴이 심리적 기술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0

      122 이영준, "대학생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 동기와 운동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 원, 2015

      123 백누리,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지각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용수행의 매개효과", 강원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6

      124 오아람,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신체관리가 무용 자신감과 무용능력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125 조아영, "해양레저스포츠 참여에 따른 심체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체육과학 대학원, 2011

      126 정세진, "대학 무용전공자의 성취목표성향이 무용수행만족도와 무용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127 김영희,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성위수준이 무용학업적응과 진료결 정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128 소지혜,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적자기지각이 무용자신감과 무용능 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 학원, 2011

      129 김희진, "직업무용수의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무용 수의 자기관리에 대하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 육대학원, 2009

      130 박미숙, "교육행정직의 직무특성, 목표지향성, 학습조직준비도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일반 대학원, 2009

      131 김은주, "생활무용 참가자의 참가결정동기와 자기관리행동, 심리적 웰빙 및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132 한선숙, "무용전공 교수의 지도유형이 학생들의 무용자신감과 무용능 력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3(1), 959-970, 2014

      133 정정아, "Feldenkrais Method가 현대무용전공자의 신체지각, 표현 능력,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 학교대학원, 2011

      134 심기선,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스포츠 성취목표성향과 내적동 기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 학원, 2010

      135 주경희,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 및 자아존중감 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교 육대학원, 2010

      136 윤경신, "핸드볼 감독의 리더십과 선수의 자기관리, 팀문화 인식 및 경기력 간의 구조모형 연구", 경희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체 육대학원, 2013

      137 권묘정,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 및 무용능력성취 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 학원, 2010

      138 백선희, "직업무용단의 경력전체가 단원들의 경력몰입 및 경력만족, 경력변화인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139 김혜정, 박혜은,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무용교수유형이 지도자 신 뢰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2(1), 1-17, 2010

      140 김정택, "국내 태권도장 수련생들의 기본적 심리욕구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및 긍정적 태도의 관계", 경희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41 박은아, "신체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 국과 미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22(2), 35-56, 2003

      142 김진희, "무용수를 위한 심리트레이닝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직업 무용단(한국무용전공)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 교 일반대학원, 1998

      143 홍연지 ( Hong Yeon-ji ), 강현우 ( Kang Hyun-woo ), "직업무용수들의 감정이입능력이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무용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과학회,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 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44 김수연,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 연구 - 완벽성향 척도(ARS-R)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 문, 2005

      145 박은주, "무용수행능력과 무용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Bartenieff Fundamentals 활성화 프로그램 구성과 적용 효과", 세종대학교 대학원, 세종대학교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3

      146 김희영, "다이어트를 하는 여고생 집단에서 완벽주의적 성향과 다이 어트 실패경험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147 강희진, "리듬자극을 활용한 현대무용수업이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 표현능력과 무용수행능력이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48 남원희, "직업무용단의 멘토관계기능과 단원들의 셀프리더십 및 직무긴장, 혁신행동, 팀효과성의 인과적 관계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1

      149 한예정,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 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