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제금동대향로의 산형에 대한 수미산적인 이해 = An Understanding on Mountain Shape of Baegje Geumdong Daehyangro in terms of Mt. Sumer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5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백제금동대향로는 사비시대 백제를 대표하는 최고의 금속공예품이다. 그런데 이 향로의 출토장소가 陵寺라는 先王의 명복을 비는 추모사찰이며, 또 불교의 상징인 세 겹으로 된 연잎이 묘...

      백제금동대향로는 사비시대 백제를 대표하는 최고의 금속공예품이다. 그런데 이 향로의 출토장소가 陵寺라는 先王의 명복을 비는 추모사찰이며, 또 불교의 상징인 세 겹으로 된 연잎이 묘사되어 있음에도, 지금까지는 여기에서 묘사된 산을 박산이라는 신선사상과만 연결시켜서 이해했다. 그러나 본고는 백제금동대향로의 산형이 박산이 아닌 불교의 수미산일 개연성을 모색해 본 것이다. 이와 같은 주장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의 수미산과 박산이 중국불교 안에서, 상호간의 영향관계에 의해 형태적인 유사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 둘째, 신선은 육체를 가진 존재이며 박산 역시 삶의 세계이므로, 사후라는 추모의 의미와는 맞지 않는다는 점. 셋째, 발견 장소가 능사이며 향로에 연잎이 묘사되어 있어, 불교적인 영향이 분명하게 확인된다는 점. 넷째, 백제를 대표하는 또 다른 유물인 옥충주자의 <수미산도>에 백제 금동대향로와 매우 유사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는 점. 다섯째, 수미산정인 도리천은 불교의 최고 이상군주인 전륜성왕이 죽은 뒤에 재탄생하게 되는 장소라는 점. 이와 같은 근거들에 입각하여, 본고에서는 백제금동대향로의 산형이 기존의 박산주장과는 달리 수미산으로도 볼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박산설의 근거가 중국박산향로와의 형태적인 유사성만을 가지는 것에 비해, 수미산 주장은 형태와 내용적인 면에서 보다 높은 정합성이 확보된다. 또 이를 통해서 단순히 박산향로의 진일보가 아닌, 백제불교와 백제문화의 특징을 정립해 볼 수도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충분한 연구의의를 확보한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egje Geumdong Daehyangro(金銅大香爐, great golden incense burner) is one of the typical metallic artifacts from Late Baegje. This incense burner was exhumed at Neungsa(陵寺) a temple to cherish and pray for the blessing of deceased former kin...

      Baegje Geumdong Daehyangro(金銅大香爐, great golden incense burner) is one of the typical metallic artifacts from Late Baegje. This incense burner was exhumed at Neungsa(陵寺) a temple to cherish and pray for the blessing of deceased former kings. And it has triple lotus petals a symbol of Buddhism. In spite of it, this burner has been considered only in connection with Sinseon(神仙) under the presupposition that the mountain depicted on it was Bagsan(博山). But, this paper seeks the possibility that the mountain form on Baegje Geumdong Daehyangro is not Bagsan but Mt. Sumeru of Buddhism. The grounds for such assertion are as follows: First, Mt. Sumeru of Buddhism and Bagsan have similar forms under the correlative influence in Chinese Buddhism. Second, as Sinseon has the flesh and Bagsan also exists in the world of life, they are not well appropriate for cherishing the deceased. Third, as it was found at Neungsa and the incense burner was decorated with lotus leaves, there must have been some Buddhist influence on it. Fourth, in < Sumisando(須彌山圖, painting of Mt. Sumeru) > of Ogchungjuja(玉蟲廚子) another typical artifact of Baegje, there is a very similar form as that on Baegje Geumdong Daehyangro. Fifth, Trayastrimsa(?利天) on the top of Mt. Sumeru is the place where the cakra-varti-rajan(轉輪聖王) the supreme ideal king of Buddhism is reborn after death. Based on above ground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ountain form on Baegje Geumdong Daehyangro can be reckoned as Mt. Sumeru rather than Bagsan of conventional theories. While the Bagsan theory(博山說)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similar in the form as Chinese Bagsan Incense Burner(中國博山香爐), this Mt. Sumeru theory can have greater validity both in the form and the contents. In that we can find out the uniqueness of Baegje culture and Baegje Buddhism through it rather than the simple development of Bagsan burner, this study will have sufficient signific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열, "輪廻說 再考Ⅲ-윤회설의 기원과 그 토대" 東國史學會 23 : 1990

      2 윤세원, "전륜성왕의 개념형성과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동양사회사상학회 (17) : 173-202, 2008

      3 염중섭, "옥충추자(玉蟲廚子) 수미좌부(須彌座部)의 회화(繪畵)에 관한 고찰 -소의경전(所依經典)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종교학회 (57) : 149-180, 2009

      4 김성호, "서동요의 佛敎文學的 檢討" 大田大學校 國語國文學會 5 : 1988

      5 윤세원, "불교의 정치사상과 법흥왕: 전륜성왕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2 (12): 7-32, 2013

      6 염중섭, "불교 숫자의 상징성 고찰 ― ‘4’와 ‘7’을 중심으로 ―" 한국종교학회 (55) : 223-260, 2009

      7 라선정, "백제금동대향로에 나타난 백제 복식과 콘텐츠" 백제연구소 (59) : 45-72, 2014

      8 홍정민,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에 나타난 복식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6 (6): 6-69, 2003

      9 김자림, "박산향로를 통해 본 백제금동대향로의 양식적 위치 고찰" 한국미술사학회 (249) : 141-162, 2006

      10 鄭承碩, "리그베다" 김영사 1984

      1 김진열, "輪廻說 再考Ⅲ-윤회설의 기원과 그 토대" 東國史學會 23 : 1990

      2 윤세원, "전륜성왕의 개념형성과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동양사회사상학회 (17) : 173-202, 2008

      3 염중섭, "옥충추자(玉蟲廚子) 수미좌부(須彌座部)의 회화(繪畵)에 관한 고찰 -소의경전(所依經典)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종교학회 (57) : 149-180, 2009

      4 김성호, "서동요의 佛敎文學的 檢討" 大田大學校 國語國文學會 5 : 1988

      5 윤세원, "불교의 정치사상과 법흥왕: 전륜성왕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2 (12): 7-32, 2013

      6 염중섭, "불교 숫자의 상징성 고찰 ― ‘4’와 ‘7’을 중심으로 ―" 한국종교학회 (55) : 223-260, 2009

      7 라선정, "백제금동대향로에 나타난 백제 복식과 콘텐츠" 백제연구소 (59) : 45-72, 2014

      8 홍정민,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에 나타난 복식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6 (6): 6-69, 2003

      9 김자림, "박산향로를 통해 본 백제금동대향로의 양식적 위치 고찰" 한국미술사학회 (249) : 141-162, 2006

      10 鄭承碩, "리그베다" 김영사 1984

      11 조용중, "동물의 입에서 비롯되는 化生 圖像 고찰" 國立中央博物館 58 : 1997

      12 마노 다카야, "도교의 신들" 들녘 2001

      13 酒井忠夫, "도교란 무엇인가" 民族社 1991

      14 토마스 벌핀치, "그리스와 로마의 신화" 대원사 1995

      15 王有大, "龍鳳文化源流" 東文選 1994

      16 魏收, "魏書"

      17 "高麗史節要"

      18 定方晟, "須彌山と極樂-佛敎の宇宙觀" 講談社 1980

      19 허상호, "須彌壇" 大韓佛敎振興阮 2010

      20 李錫浩, "韓國奇人傳·靑鶴集" 明文堂 1990

      21 張君房, "雲笈七籤"

      22 "阿毘達磨大毘婆沙論"

      23 權五民, "阿毘達磨俱舍論2" 東國譯經院 2002

      24 "阿毘達磨俱舍論"

      25 "開元釋敎錄"

      26 "長阿含經"

      27 "釋迦如來行蹟頌"

      28 葛兆光, "道敎와 中國文化" 東文選 1993

      29 잔스촹, "道敎文化 15講" 알마 2011

      30 앙리 마스페로, "道敎" 까치 1999

      31 "起世因本經"

      32 "貞元新定釋敎目錄"

      33 사재동, "訓民正音 創制 ‧ 實用의 佛敎文化學的 考察" 택민국학연구원 (5) : 105-208, 2010

      34 육완정, "西王母神話의 文學的 受容" 明知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3 : 1995

      35 멀치아 엘리아데, "聖과 俗-종교의 본질" 학민사 1997

      36 도광순, "神仙思想과 三神山" 韓國道敎學會 10 : 1992

      37 "眾經目錄"

      38 이정숙, "眞平王代 王權强化와 帝釋信仰"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16 : 1999

      39 조용중, "百濟金銅大香爐에 관한 硏究-圖像 解釋을 中心으로" 國立中央博物館 65 : 2000

      40 라선경, "百濟金銅大香爐 奏樂像 服飾을 통해 본 百濟 服飾의 獨自性" 호서사학회 (57) : 243-277, 2010

      41 崔柄憲, "百濟金銅大香爐" 一潮閣 23 : 1998

      42 정임전, "百濟 金銅龍鳳蓬萊山香爐의 五奏樂像 헤어스타일 硏究" 大韓美容學會 8 (8): 2012

      43 서미영, "百濟 金銅大香爐 奏樂像 服飾 硏究" 韓國衣類産業學會 6 (6): 2004

      44 조경철, "百濟 武王代 新都 建設과 彌勒寺·帝釋寺 創建"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39 : 2008

      45 길기태, "百濟 威德王의 陵山里寺院 創建과 祭儀" 백제문화연구소 2 (2): 5-34, 2009

      46 염중섭, "玉蟲廚子의 原本尊像에 관한 내적인 타당성 검토 ― 옥충주자 내의 相互反響을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45) : 29-60, 2008

      47 金廷禧, "玉蟲廚子 本生圖의 佛敎繪畵史的 考察-玉蟲廚子 繪畵와 三國時代 繪畵" 韓國美術史硏究所 16 : 2001

      48 李誡, "營造法式"

      49 "正法念處經"

      50 염중섭, "梵鐘 타종횟수의 타당성 고찰 -佛國寺의 須彌梵鐘閣을 통한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57) : 235-274, 2010

      51 "東國通鑑"

      52 안지원, "新羅 眞平王代 帝釋信仰과 王權" 歷史敎育硏究會 63 : 1997

      53 梁正錫, "新羅 中古期 皇龍寺의 造營과 意味" 高麗大 2001

      54 干寶, "搜神記"

      55 葛洪, "抱朴子(內篇)"

      56 李承休, "帝王韻紀" 亦樂 1999

      57 "山海經"

      58 李昉, "太平御覽"

      59 "大樓炭經"

      60 起世經, "大正藏 1"

      61 "大智度論"

      62 "大方廣佛華嚴經"

      63 "大方廣佛華嚴經"

      64 "大寶積經"

      65 "大唐西域記"

      66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67 "增壹阿含經"

      68 염중섭, "善德王의 轉輪聖王적인 측면 고찰" 한국사학회 (93) : 1-48, 2009

      69 "周易"

      70 "史記"

      71 양경인, "印度宗敎의 須彌山 관념에 대한 연구" 東國大 2007

      72 에띠엔 라모뜨, "印度佛敎史1" 時空社 2006

      73 "列子"

      74 "僧伽羅刹所集經"

      75 中村元, "佛陀의 世界" 김영사 1990

      76 임영애, "佛象臺座의 博山香爐, 그 이미지와 含意" 중국사학회 (91) : 25-53, 2014

      77 "佛說八大靈塔名號經"

      78 增原良彦, "佛敎の世界觀-地獄と極樂" 鈴木出版社 1990

      79 ひろさちや, "佛敎の世界觀-地獄と極樂" 鈴木出版株式會社 1990

      80 活庵東隱, "佛國寺古今創記"

      81 염중섭, "佛國寺 大雄殿 영역의 二重構造에 관한 고찰 ― 華嚴와 法華을 중심으로 ―" 한국종교학회 통권 (통권): 173-206, 2007

      82 李柱亨, "佛傳의 ‘舍衛城神變’ 說話" 震檀學會 76 : 1993

      83 "中阿含經"

      84 北京大學校 哲學科硏究室, "中國哲學史Ⅱ(漢·唐篇)" 간디서원 2005

      85 顧頡剛, "中國古代의 方士와 儒生" 온누리 1991

      86 李正曉, "中國 古代 龍鳳意匠의 變遷過程과 百濟金銅大香爐" 大邱史學會 84 : 2006

      87 앙리 마스페로, "不死의 追求" 동방미디어 2000

      88 "三國遺事"

      89 "一切經音義"

      90 염중섭, "『樓炭經』 계통과 『大毘婆沙論』 계통의 須彌山 宇宙論 차이 고찰 - ‘忉利天의 구조’와 ‘地獄의 문제’를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56 (56): 223-253, 2009

      91 염중섭, "Kailas山의 須彌山說에 관한 종합적 고찰" 불교학연구회 17 : 317-352, 2007

      92 김주성, "7세기 각종 자료에 보이는 익산의 위상" 호남사학회 (36) : 23-46, 2009

      93 판카즈 모한, "6세기 신라에서의 왕권과 불교 간의 관계 ·" 불교학연구회 9 : 135-512,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