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몸지각’에 근거한 언어와 회화를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존재가 지각의 행위가 일어나는 지점과 ‘몸지각’이 ‘자기 아닌 것’을 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몸지각’에 근거한 언어와 회화를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존재가 지각의 행위가 일어나는 지점과 ‘몸지각’이 ‘자기 아닌 것’을 마...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몸지각’에 근거한 언어와 회화를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존재가 지각의 행위가 일어나는 지점과 ‘몸지각’이 ‘자기 아닌 것’을 마주함으로써 발생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그는 경계가 모호한 몸지각의 지점을 보이지 않는 얽힘의 이해에서 몸의 주체를 설파한다. 특히 암시적 의미로 드러날 수 있는 지각의 순간들은 언어와 회화의 사유 활동 이전의 지평과 지각의 장에서 현상적 존재론으로 나타난다. 메를로-퐁티가 주장하는 ‘몸지각’ 에 근거하여 지각된 사물을 본다는 것은 원초적 지각에 ‘있음’이라는 현재성을 담고 표현적 언어와 회화의 다양한 방식이 완결되지 않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그는 언어와 회화를 지각이나 표현으로 분리되지 않는 세계와의 관계성 속에서 의미를 지각적 종합으로 이끈다. 이렇게 볼 때 회화를 간접적 언어로 취급하는 합당한 근거는 이전에 이루어진 표현들을 갱신하는 것을 영원히 수용할 수 있는 어떤 지각적 의미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또한 언어 ‘그 자체’는 언어 이전의 침묵이 존재의 원초적 의미를 드러낸다.
몸지각에 근거한 언어와 회화 사이에는 지각과 의미의 관계성이 나타난다. 이는 지각의 주체로서의 고유한 몸의 지각이 애매한 것과 완결되지 않은 의미와 떨어져 스스로 존재하고 있으며 순수하고 즉각적인 것이라는 점이다. 결국 언어와 회화의 의미들은 보이지 않는 것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몸지각이 최초의 근원이 발생할 수 있는 ‘지점’이며 ‘자기 아닌 것’이 얽혀있는 태(胎)의 발생지이다. 몸지각에는 사물의 의미가 탄생하게 되는데, 이로써 메를로-퐁티가 모든 존재에 대한 논의를 봄을 통해 재구성하려는 작업은 다양한 의미를 갖게 된다. 몸지각은 다양성의 세계와 몸이 선명하게 구분되지 않은 상태로 관계맺고 있는 세계를 화가의 봄을 통하여, 그리고 언어의 의미는 몸짓과 표정과 말 자체에 스며들어 존재 의미를 갖게 된다. 몸지각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장’ , 즉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세계의 지각적 포착을 위해 무한히 열려있는 영역 안에서 자유로운 관계맺음이다. 말하는 말과 말해진 말, 가시적인 것 과 비가시적인 것이 존재하기 위해서 발생적 기반의 기초를 이룬다. 바로 여기서 우리는 메를로-퐁티가 종래의 철학에 기대지 않고 독자적 사유를 펼치고 있음을 보게 된다. 그 결과, 언어와 회화는 침묵 속에 있던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화하면서 철저히 시각(봄)에 의해 구축된다. 나아가 이러한 언어와 회화의 작업은 존재를 더욱 다양하고 풍요롭게 드러내는 것이자 언어와 회화의 무한한 창조적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써 존재론적 의미를 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메를로-퐁티의 ‘몸지각’에 근거한 언어와 회화에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존재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그치지 않고, 존재의 ‘있음’과 ‘지점’을 새로운 생성의 측면에서 밝히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the problem of language and painting on the basis of ‘body perception’ in Merleau-Ponty.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confirm the fact that existence reveals itself when perceptual action occurs and ‘body perception’ confro...
This study aims at the problem of language and painting on the basis of ‘body perception’ in Merleau-Ponty.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confirm the fact that existence reveals itself when perceptual action occurs and ‘body perception’ confronts ‘non-self’. Merleau-Ponty illuminates the subject of body as the blurred line of body perception with an understanding of invisible complexity. The perception which can be shown as implicit sense, especially, is represented as phenomenological ontology through certain prospect and recognition that is precedent to reasoning of language and painting. I observe the perceived object based on ‘body perception’ in Merleau-Ponty embedded in the present moment, It indicates ‘being’ in primordial perception, and means that the various expression of language and painting is incomplete. Merleau-Ponty connects language and painting with perceptual synthesis related with the world that is not distinguishable from perception or recognition. Painting emphasizes on certain perceptual sense, and it keeps regenerating the expressions that were used before. It shows us the rational reason why painting is regarded as indirect language. Language itself discloses its primordial meaning of existence with silence before language.
We can confirm the related character of perception and meaning between language and painting on the basis of body perception. Body as a subject of perception exists on its own separated from ambiguous thing and incomplete meaning. In the end, namely, language and painting encompass invisible concepts. Body perception begins at that place, and it can be called the place of origin filled with non-self. The meaning of things is usually generated through body perception. Merleau-Ponty reconstructs all beings with this point of view, and that process is meaningful. Body perception becomes meaningful as painters detect the world of diversity and of relation with indistinguishable bodies, while the meaning of language becomes meaningful as it goes with one’s gesture or facial expression. Body perception is a new field that has never been before. What makes it possible to see the world is to build a limitless relationship in infinite space opened for perceptual apprehension. Speaking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visible thing and invisible thing play a role of generative basis for existence of being. Merleau-Ponty has his own conception independent of established philosophy. As a result, language and painting can be structuralized only by vision, changing invisibility in silence into visibility. Furthermore, such process makes existence more diverse and bountiful, and implies infinite creative possibility of them as well. I think this study has significance not only for a philosophical sense and ontological ground of language and painting on the basis of body perception in Merleau-Ponty, but also for suggesting the being and place in the aspect of new formation for language and painting.
목차 (Table of Contents)
1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서울: 민음사, 1998
2 유희영, "『Klee』", 서울: 서문당, 1990
3 Descartes, R., "『성찰』", 이현복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1997
4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홍신문화사, 백종현 옮김, 서울: 아카넷, 2006
5 오병남, "『미학 강의』", 서울대학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6 세잔,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 조정훈 옮김, 서울: 다빈치, 2002
7 Bergson, H., "『물질과 기억』", 박종원 옮김, 서울: 아카넷, 2013
8 Levinas, E., "『윤리와 무한』", 양명수 옮김, 서울: 다산글방, 2000
9 김광명, "삶의 해석과 미학", 문화사랑, 서울: 문화사랑, 1996
10 오광수, "『추상미술의 이해』", 서울: 일지사, 1994
1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서울: 민음사, 1998
2 유희영, "『Klee』", 서울: 서문당, 1990
3 Descartes, R., "『성찰』", 이현복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1997
4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홍신문화사, 백종현 옮김, 서울: 아카넷, 2006
5 오병남, "『미학 강의』", 서울대학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6 세잔,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 조정훈 옮김, 서울: 다빈치, 2002
7 Bergson, H., "『물질과 기억』", 박종원 옮김, 서울: 아카넷, 2013
8 Levinas, E., "『윤리와 무한』", 양명수 옮김, 서울: 다산글방, 2000
9 김광명, "삶의 해석과 미학", 문화사랑, 서울: 문화사랑, 1996
10 오광수, "『추상미술의 이해』", 서울: 일지사, 1994
11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2 김광명, "『인간의 삶과 예술』", 학연문화사, 서울: 학연문화사, 2010
13 박이문, "「현상학과 분석철학」", 일조각, 서울: 일조각, 1977
14 Deleuze, G., "『프루스트와 기호들』", 서동욱 이충민 옮김, 서울: 민음사, 2004
15 김광명, 오병남, 민형원, "공저『인상주의 연구』", 서울:예전사, 1999
16 신인섭, "「메를로-퐁티와 세잔」", 한국철학회, 『철학』, 제96집, 2008
17 오병남, "『미학으로 읽는 미술』", 서울: 월간미술, 2007
18 Barbaras, R., "『지각: 감각에 관하여』", 동문선, 공정아 옮김, 동문선, 2003
19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서울: 이학사, 2004
20 Grudin, R., "『시간 그리고 삶의 예술』", 정음사, 박창옥 옮김, 서울: 정음사, 1985
21 조광제, "메를로-뽕띠와 애매성의 철학", 철학연구회,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6
22 Langer, Monika. M,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청하, 서울: 청하, 1992
23 류의근, "「메를로-퐁티: 시각과 회화」", 한국현상학회,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16집, 2001
24 강태희, "“이우환과 70년대 단색 회화”", 현대미술사학회, 『현대미술사연구』, 제14집, 2002
25 Neumeier, A., "『현대미술의 의미를 찾아서』", 이경희 옮김, 서울: 열화당, 1993
26 유경동, "『한국사회와 기독교 정치윤리』", 서울: 한국기독교연구소, 2003
27 박준상, "「몸의 언어로서의 문학적 언어」",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제76집, 2014
28 이종훈, "“후설 현상학에서 역사성의 문제”", 한국현상학회, 『철학과 현상학 연구』, 12, 1999
29 윤영주, "「메를로-퐁티의 멜로디적인 자연」", 한국미학예술학회, 『미학예술학연구』, 34집, 2011
30 정지은, "「메를로-퐁티의 살존재론과 예술」", 연세대학교 비교문학협동과정, 제36차, 2009
31 류의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신체론」",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6
32 윤자정, "「슈스터만의 몸미학에 대한 고찰」", 『미학』, 51, 2007
33 주성호, "메를로 퐁티의 지각이론과 진리문제", 한국기호학회, 『기호학연구』, 14권, 2003
34 심귀연(Sim Gui-Yeon), "메를로-퐁티의 '지각' 개념에 대하여",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제48집, 2007
35 김민정 ( Min Jung Kim ), "메를로퐁티의 살 존재론과 몸의 반성", 한국미학회, 『미학』, 79집, 2014
36 진교훈, "『의학적 인간학-의학 철학의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사, 2002
37 정기태, "「현상학 관점으로 부석사 공간 분석」", 서울: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8 박서현, "세잔 회화에 대한 하이데거 언명의 의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철학연구』, 제60호, 2016
39 박신화, "「메를로-퐁티의 언어 이론과 철학 개념」", 『철학사상』, 51, 2013
40 김종현, "“메를로 퐁티의 몸과 세계, 그리고 타자”",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30집, 2003
41 김우창, "「산의 시학, 산의 도덕학, 산의 형이상학」", 『산과 한국의 시, 산 과 한국인의 삶 』, 최정호 엮음, 서울: 나남, 1993
42 박신화, "「메를로-퐁티의 살 철학과 경험의 발생론」", 『철학과 현상학 연구』,55, 2012
43 이우환, "「투명한 시각을 찾아서(노트에서 1960 -1977)」", 『공간』, 5, 1978, 1978
44 전영백, "『세잔의 사과 : 현대 사상가들의 세잔 읽기』", 파주: 한길아트, 2008
45 김화자, "「사물인터넷과 메를로퐁티의 ‘상호세계’」", 『철학과 현상학연구』, 제65집, 2015
46 김병환, "「메를로-뽕띠에 있어서 존재론적 살에 대한 연구」", 『철학논총』, 제17집, 1996
47 Gasquet, J., "Cezanne, paris: Encre Marine: 『세잔과의 대화』, 조정훈 역", 서울:다빈치, 2002, 2012
48 정지은, "「메를로-퐁티의 몸-주체와 소통가능성에 관한 소론」", 2008
49 박준상, "「몸의 음악:예술에서의 모방과 반-모방에 대한 물음」", 『철학논총』, Vol. 제64집, 2011
50 심귀연, "“세계와 깊이-메를로-퐁티와 세잔의 회화를 중심으로”",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제67집, 2012
51 김병환, "「메를로-뽕띠의 현상학에서 신체와 언어에 대한 연구」", 부산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52 강미라, "「사르트르의 현상적 신체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비판」",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61집, 대동철 학회, 2012
53 김희봉, "「지각과 진리의 문제-후설과 메를로-퐁티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상학』, 1999
54 강선형(Sun-Hyung Kang), "메를로-퐁티와 들뢰즈에 있어서 비지성적 종합의 가능성", 한국현상학회, 『철 학과 현상학 연구」 제69호, 2016
55 김화자, "「현대 사진 속 ‘상상적인 것’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미학 예 술학 연구』, 제28권, 2008
56 문한샘, "「메를로-퐁티의 시간성:『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현대 유럽철학연구』, 44, 2017
57 신혜영, "「모리스 메를로-퐁티에서 주체의 문제와 소쉬르 언어학」", 한국현상학회, 『철학과 현상학연구』, 52, 2012
58 류승택, 정재니, 이호창, 윤경현, 서상현, "「회화적 렌더링에서의 대기원근 법의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3집, 2010
59 김향숙, "「빌헬름 보링거의 추상과 감정이입: 양식 심리학의 조건」", 미술사학연구회, 『미술 사학보』, 제34권, 2010
60 이우환, "「새로운 예술론의 준비를 위하여- 만남의 현상학적 서설」", 『공간』, 1975
61 이종주, "「후설의 타자이론의 근본화로서 메를로-퐁티의 타자이론」", 『인 문논총』, 65, 2011
62 Morris, P. S., "『의식과 신체: 사르트르의 인간 개념에 대한 분석적 접근』", 서광사, 박만준 옮김, 서울: 서광사, 1993
63 정지은, "「메를로-퐁티와 정신분석학: 꿈과 상상적인 것을 중심으로」", 『철학과 현상학 연구』, 40, 2009
64 주성호, "「메를로-퐁티의 ‘육화된 의식’ 애매하고 모호한 인간 존재」", 『철학사상』43집, 2012
65 김화자,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표현론에 나타난 형태와 상징의 관계」", 『철학과 현상학 연구』, 40, 2009
66 김상호, "「확장된 몸, 스며든 기술: 맥루한 명제에 관한 현상학적 해석」",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학연구』9권2, 2009
67 박이문, "『존재와 출현-메를로-퐁티의 애매성 철학에 대한 비판적 해석』", 서울:생각의 나무, 2010
68 오병남, "「M. Merleau-Ponty에 있어서의 예술과 철학:『눈과마음』을 중심으로」",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3집, 1988
69 한정선, "「메를로퐁티와 파울 클레: 그림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한다」",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 35, 2007
70 서상문, "「Merleau-Ponty ‘몸’개념에 기초한 ’학습자‘의 교육철학적 재고찰」",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제35권 제3호, 2008
71 김연아, "「바디아트퍼포먼스와 메를로퐁티 몸 현상학의 상호작용 관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5
72 강미라, "「현상학에서의 상상-후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의 상상이론 비교」", 『철학논총』,75, 2014
73 주성호, "「왜 메를로-퐁티는 신체의 현상학에서 살의 존재론으로 이행하는가?」", 한국현상학회, 『철학과 현상학 연구』, 20집, 2003
74 원미경, "「메를로-퐁티의 공간론을 통해 본 초등학교 공간의 교육현상학적 의의」",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5 이금희, "「회화공간에 있어서 시지각과 신체: 프랭크 스텔라와 프란시스 베이컨」",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76 윤영주, "「메를로-퐁티의 상호주체성 이론과 현대예술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서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77 한정선, "「골드슈타인의 실어증 연구가 메를로-퐁티의 언어행위 이론에 미친 영향」",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과 세계』, No. 84, 2015
78 정동환, "「광고사진에 활용된 시지각 표현연구: 루돌프 아른하임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진학회, 『한국사진학회지』, 27호, 2012
79 정소라, "「M. 메를로-퐁티의 예술론 연구: 신체 지각에 의한 미술작품의 창작과 감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80 정지은, "「메를로-퐁티의 몸-주체에 대한 연구: 실존적 몸에서 존재론적 몸으로의 이행」", 『해석학 연구』, 22, 2008
81 김 숙, "「크리스티앙 메츠의 영화 기호학 연구 - 영화의 의미화 작용 구조 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학과 석사논문, 1998
82 김광배,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12), 2007
83 이은영, "「미술 활동에 나타나는 ‘몸의 미적 지각’의 본질 특성과 의미에 대 한 현상학적 연구」", 청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3
84 최재식, "「신체개념을 통한 메를로-퐁티 현상학과 후설 현상학 연구-신체(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철학과 현상학연구』, 2009
85 하선규, "「영상(映像)의 현상학적 분석과 문화사적 전망-벨라 발라쉬(B la Bal zs)의 영화이론에 대하여」", 『미학』, 제40집, 12, 2004
86 정소라 ( So La Jung ), "댄 그레이엄의 작품에서 나타난 상호주관성에 대한 고찰 -M.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미학예술학연구』, 46집, 2016
87 한정선, "「메를로-퐁티의 언어를 탄생시키는 몸의 운동성과 암묵적 코기토: 그륀바움과 베르너를 넘어서」", 한국현상학회,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 63집, 2014
88 김동윤, "「언어와 몸, 그리고 미학적 존재론: 소쉬르 언어학의 흔적과 모리 스 메를로-퐁티의 철학사상연구」", 『기호학연구』, 21, 2007
89 배지현, "「대학수업에서 메를로-퐁티 언어론의 적용, ‘표현적 대화’수업의 고 안과 특성 탐색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9호, 2005
90 김동윤, "「감각으로서의 기호와 언어, 신체의 존재론적 지평-M. Merleau-Ponty, 그리고 Paul Ricoeur의 해석을 중심으로」", 『기 호학연구』, 35집, 2013
91 강선형, "「메를로-퐁티의 ‘깊이’(Profondeur)와 세계에 연루된 주체의 가능 성-메를로-퐁티의 세잔해석을 중심으로」", 『철학사상』, 제57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