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을 전후로 청년(19~39세)의 주거불안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핵심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전체 집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을 전후로 청년(19~39세)의 주거불안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핵심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전체 집단...
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을 전후로 청년(19~39세)의 주거불안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하였다. 핵심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전체 집단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팬데믹 이후 주거불안정이 유의미하게 더 높아졌다고 볼 수 없었다. 둘째, 청년을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전체 집단에서의 양상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다인가구에서는 팬데믹 이후의 주거불안정 확대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팬데믹을 전후로 한 복합적인 주거불안정 실태를 비교한 결과, 다차원적인 주거불안정에 놓인 청년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전반적인 청년주거 정책방향은 현행대로 유지하되 세부적인 정책 집단별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조직성과에 대한 워라밸(work & life balance)의 구조적 효과: 조직공정성과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