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원자력발전설비수출 가능성 연구 = Possibility of Exporting Nuclear Power Plant Facilit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6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scribes the possibility of exporting nuclear power plant facilities. It also describes recent world nuclear power plant situation in the world. As of the end of 2004, there were 434 NPPs in operation worldwide, nuclear continues to accoun...

      This study describes the possibility of exporting nuclear power plant facilities. It also describes recent world nuclear power plant situation in the world. As of the end of 2004, there were 434 NPPs in operation worldwide, nuclear continues to account for about 16% of the world s electricity generation, keeping pace with the steady growth in the global market. Exports records for nuclear power plant are rare except KEDO. Korea must spread its name as nuclear plant exporter based on small project for strategy at least. World nuclear facilities market are segmented by expanding the operation time like U.S. market, nuclear plant construction like Asia market and maintenance and repair for nuclear power plant holding countries market. It is better for domestic companies that make any consortium with the world major companies as the form of strategical cooperation when they enter the international market. It reduces risk in investment and get synergy effect through technology cooperation. China and south-east Asia are the largest emerging market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are also good future market. Export policies of leading nuclear technology countries such as U.S.A. and Canada as well as Korea are also stud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의 축적된 기술을 활용하여 해외 원전기술과 설비의 수출확대가능성을 살펴보았다. 2004년말 전세계의 원자로는 434기가 가동중이며 전력의 16%를 공급하고 있어서 세계...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의 축적된 기술을 활용하여 해외 원전기술과 설비의 수출확대가능성을 살펴보았다. 2004년말 전세계의 원자로는 434기가 가동중이며 전력의 16%를 공급하고 있어서 세계시장에서 꾸준히 원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원전수출기록은 KEDO 이외에는 없는 상황이며 세계 원자력 기자재시장은 미국 중심의 수명연장시장, 아시아중심의 신규원전 건설시장, 기존 원자력발전소 보유국가들 중심의 유지보수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국내기업들은 해외에 진출할 경우, 전략적 차원에서 세계의 주요기업과 합작으로 참여하여 위험부담을 줄이고 투자의 시너지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중국과 동남아는 새로 떠오르는 주요 원전 진출 국가이며 동유럽국가도 미래의 잠재적시장이다. 우리나라의 원전 수출사례와 활성화방안, 미국, 캐나다 등 원전선진국들의 수출사례도 살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국통계연감 각년호" 중국통계출판사.

      2 "중국국가통계국 web site" n :

      3 "제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산업자원부 2003

      4 "일본자원에너지청 web site"

      5 "원자력연감 2004."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04

      6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해외진출 방안에 관한 연구." 2001.7

      7 "세계원자력발전의 개발과 운영"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03

      8 "세계 원자력발전 현황 및 정책동향" 산업자원부 2005.8

      9 "만향2020녕의 중국 각년호" 중국계획출판사.

      10 "Nuclear Technology Review 2004." 2004

      1 "중국통계연감 각년호" 중국통계출판사.

      2 "중국국가통계국 web site" n :

      3 "제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산업자원부 2003

      4 "일본자원에너지청 web site"

      5 "원자력연감 2004."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04

      6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해외진출 방안에 관한 연구." 2001.7

      7 "세계원자력발전의 개발과 운영"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03

      8 "세계 원자력발전 현황 및 정책동향" 산업자원부 2005.8

      9 "만향2020녕의 중국 각년호" 중국계획출판사.

      10 "Nuclear Technology Review 2004." 2004

      11 "IAEA 원자력기자재 수출체계 구축사업보고서." 한국원자력연구소 2001

      12 "IAEA Country Profile 2004" 2004

      13 "Annual Energy Outlook 2003, 200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