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들의 태권도수련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7년 현재 서울·경기지역의 초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979040
서울 : 경희대학교, 2007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 스포츠경영학과 , 2007. 8
2007
한국어
790 판사항(20)
서울
79 p. : 삽도 ; 26cm
지도교수:이정학
참고문헌: p. 57-6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들의 태권도수련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7년 현재 서울·경기지역의 초등...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들의 태권도수련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7년 현재 서울·경기지역의 초등학생 중 태권도 도장에서 수련중인 유품자 120명과 유급자 120명, 비수련자 120명 총 360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법(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는 330명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는 Furman(1985)가 제작한 NRI(Network of Relationship Inventory)를 구창모(2000)가 번안한 내용과 김은지(1996)가 표준화한 또래관계 측정 설문 문항을 토대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을 묻는 문항은 오창길(2002), 임현철(2002), 박종필(2002)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학교생활적응검사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아동들의 태권도수련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는 집단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아동들의 태권도 수련에 따른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태권도 수련에 참가하는 아동들의 또래관계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들 중 공통점을 찾아보면 또래관계의 지도성, 자신감, 적대감, 경쟁성 변인 중 지도성과 자신감이 높고, 적대감과 경쟁성 변인이 낮은 아동들이 학교생활적응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 아동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는 신체활동 중 또래집단과 함께 어울려 수련하고 있는 태권도 수련활동을 통해서 자신감 함양과 강자로서 약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태권도의 정신 교육 및 인성교육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taekwondo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60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participants of taekwondo activity programs in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taekwondo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60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participants of taekwondo activity programs in the Seoul and Kuyng-gi area by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Out of the 360 questionnaires responded to, only 330 were used for data analyses because 30 were responded to incompletely or incorrectly.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in which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consisted of items identified by Gu(2000) and Oh(2002),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both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differ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according to both socio-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both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differ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according to both Taekwondo practice.
Third, peer relationship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