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가의 실패두려움이 접근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e of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on Approach Moti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42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가정신 연구에서 실패두려움은 기업가적 동기(entrepreneurial motivation)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기업 가의 실패두려움은 주로 창업 활동의 장벽으로 간주 되며,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실패두 려움은 접근동기(approach motivation)와 회피동기(avoidance motivation) 모두를 유발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측면 모두를 고려해야만 실패두려움의 폭넓은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패두려움이 접근동기에 미치는 과정을 탐색적이고 귀납적인 방법으로 접근했다. 활동하는 22명의 기업가를 인터뷰하여 실패두려움의 구성 요소를 다양하게 분석했으며, 실패두려움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이지 않으며 상호연결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정적인 정서각성 외에도 긍정적인 정서각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업가는 외부 환경의 위협을 경험적으로 인식하는 과정에서 실패두려움을 평가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접근동기가 부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기업가정신 연구에서 실패두려움은 기업가적 동기(entrepreneurial motivation)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기업 가의 실패두려움은 주로 창업 활동의 장벽으로 간주 되며,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

      기업가정신 연구에서 실패두려움은 기업가적 동기(entrepreneurial motivation)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기업 가의 실패두려움은 주로 창업 활동의 장벽으로 간주 되며,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실패두 려움은 접근동기(approach motivation)와 회피동기(avoidance motivation) 모두를 유발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측면 모두를 고려해야만 실패두려움의 폭넓은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패두려움이 접근동기에 미치는 과정을 탐색적이고 귀납적인 방법으로 접근했다. 활동하는 22명의 기업가를 인터뷰하여 실패두려움의 구성 요소를 다양하게 분석했으며, 실패두려움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이지 않으며 상호연결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정적인 정서각성 외에도 긍정적인 정서각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업가는 외부 환경의 위협을 경험적으로 인식하는 과정에서 실패두려움을 평가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접근동기가 부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the fear of failure is widely recognised as a significant component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However, this fear of failure can also trigger both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 of fear of failure necessitates consideration of both of these aspects.This study adopts an exploratory and induc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how fear of failure affects approach motivation. To this end, 22 active entrepreneurs were interviewed, and the various components of fear of failure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components of fear of failure are interconnected.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negative emotional arousal, the study also identified positive emotional arousal.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s evaluate fear of failure in the process of empirically recognizing threat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at this process motivates their approach.
      번역하기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the fear of failure is widely recognised as a significant component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However, this fear of failure can also trigger both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 comprehensive unders...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the fear of failure is widely recognised as a significant component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However, this fear of failure can also trigger both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 of fear of failure necessitates consideration of both of these aspects.This study adopts an exploratory and induc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how fear of failure affects approach motivation. To this end, 22 active entrepreneurs were interviewed, and the various components of fear of failure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components of fear of failure are interconnected.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negative emotional arousal, the study also identified positive emotional arousal.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s evaluate fear of failure in the process of empirically recognizing threat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at this process motivates their approac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