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상자의 신체 특성과 들것에 누운 위치에 따른 하중 변화 분석 = Analysis of Loads based on the Subjects’ Physical Features and Positions on the Long Backbo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233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19 EMS team are responsible for being dispatch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transporting patients to appropriate hospitals for treatment. 119 EMS team are tasked with responding to emergencies and transporting patients to appropriate hospitals for treatment. Despite increased manpower over the past decade, the number of dispatches and patient transfers has risen significantly, with an average of 10,000 dispatches and 5,500 patient transfers occurring daily. These tasks impose substantial physical demands on EMS team, particularly dur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stretchers, leading to frequent musculoskeletal injuries, such as lower back pain. While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posture correction and physical training for EMS team, research on the specific physical loads they bear during patient transport is limite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reduce the injury rate among EMS team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volume, paramedic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load borne during stretcher operations. Measurements included subject height and weight, paramedic height and fist height, and load changes based on subject positioning on a long spine boar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ubject height and load (r=.838, p<.001) and between subject weight and load (r=.928, p<.001). Paramedic height and fist height also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load when lifting a stretcher. Additionally, load distribution on the long spine board became more balanced as the subject was positioned further from the head. For women, the pelvis should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retcher, whereas for men, the pelvis should be positioned 8 cm below the center toward the leg side to balance the weight evenly on both sid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subject volume and paramedic physical characteristics in developing strategies to mitigate musculoskeletal injuries. By optimizing equipment design and improving handling techniques, this study contributes valuable insights toward enhanc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paramedic operations.
      번역하기

      119 EMS team are responsible for being dispatch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transporting patients to appropriate hospitals for treatment. 119 EMS team are tasked with responding to emergencies and transporting patients to appropriate hospitals ...

      119 EMS team are responsible for being dispatche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transporting patients to appropriate hospitals for treatment. 119 EMS team are tasked with responding to emergencies and transporting patients to appropriate hospitals for treatment. Despite increased manpower over the past decade, the number of dispatches and patient transfers has risen significantly, with an average of 10,000 dispatches and 5,500 patient transfers occurring daily. These tasks impose substantial physical demands on EMS team, particularly dur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stretchers, leading to frequent musculoskeletal injuries, such as lower back pain. While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posture correction and physical training for EMS team, research on the specific physical loads they bear during patient transport is limite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reduce the injury rate among EMS team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volume, paramedic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load borne during stretcher operations. Measurements included subject height and weight, paramedic height and fist height, and load changes based on subject positioning on a long spine boar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ubject height and load (r=.838, p<.001) and between subject weight and load (r=.928, p<.001). Paramedic height and fist height also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load when lifting a stretcher. Additionally, load distribution on the long spine board became more balanced as the subject was positioned further from the head. For women, the pelvis should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retcher, whereas for men, the pelvis should be positioned 8 cm below the center toward the leg side to balance the weight evenly on both sid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subject volume and paramedic physical characteristics in developing strategies to mitigate musculoskeletal injuries. By optimizing equipment design and improving handling techniques, this study contributes valuable insights toward enhanc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paramedic oper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19구급대원들은 불시 출동과 응급환자를 처치해야 하는 정신적 부담뿐 아니라, 환자 이송 과정에서 다양한 육체적 부담을 경험한다. 특히 환자를 주들것에 눕혀 구급차 안에 싣거나 병원에 도착하여 내리는 동작에서 큰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이는 구급대원의 잦은 근골격계 손상, 특히 요통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손상 원인과 증상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작업 자세 평가 도구를 이용한 자세 교정 또는 신체 능력의 향상 등 개인의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으며 구급대원들이 실질적으로 부담하게 되는 하중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119구급대원은 국민의 안전을 위하여 일선에 투입되고 있으나, 구급대원이 부담하게 되는 하중은 근골격계 손상, 특히 요통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구급대원의 업무 능력 저하와 국민 안전 유지의 공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자의 신체 특성에 따른 들것의 하중 변화와 구조자의 신체 특성에 따른 하중 부담의 연구를 통하여 구급대원뿐만 아니라 구조자 부상률 감소를 도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 일개 대학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상자(환자 역할)의 신체 특성과 구조자의 신체 특성, 주들것을 싣거나 내리는 동작, 긴척추고정판 사용 시 대상자 위치 변화에 따른 하중을 측정하였고, Pearson 상관분석 및 기술통계량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 결과, 환자의 신체 특성은 주들것에 누웠을 때 발생하는 하중과 각각 강한 양의 상관관계(r =.838, r =.928, p <.001)를 나타냈다. 구조자의 키와 주먹 높이는 남성에서 r =.691, 여성에서 r =.780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조자의 키가 작을수록 팔을 더 높이 들어야 해 무게중심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중을 감당해야 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긴척추고정판 사용 시 환자가 머리쪽에서 아래로 10cm, 20cm 이동하면 하중이 남성은 각각 8.2%, 16.5%, 여성은 각각 6.3%, 13.3%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1). 결론적으로, 주들것을 구급차 내외부로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환자의 체중이 증가할수록 구조자가 부담하게 될 하중이 증가한다. 둘째로 구조자의 키가 작을수록 주먹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구급차의 주들것을 들어 올릴 때 팔을 더 높이 들어올려야 하며 무게중심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중을 부담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긴척추고정판을 사용할 때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는 주들것의 경우와는 다르게 환자가 머리 쪽에서 일정한 간격 아래로 이동하였을 때 긴척추고정판 앞뒤에서 무게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환자와 구조자의 신체 특성, 환자 위치 변화가 하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하중 부담을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근골격계 부상률 감소와 업무 효율성 증대를 위한 다양한 대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119구급대원들은 불시 출동과 응급환자를 처치해야 하는 정신적 부담뿐 아니라, 환자 이송 과정에서 다양한 육체적 부담을 경험한다. 특히 환자를 주들것에 눕혀 구급차 안에 싣거나 병원에 ...

      119구급대원들은 불시 출동과 응급환자를 처치해야 하는 정신적 부담뿐 아니라, 환자 이송 과정에서 다양한 육체적 부담을 경험한다. 특히 환자를 주들것에 눕혀 구급차 안에 싣거나 병원에 도착하여 내리는 동작에서 큰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이는 구급대원의 잦은 근골격계 손상, 특히 요통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손상 원인과 증상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작업 자세 평가 도구를 이용한 자세 교정 또는 신체 능력의 향상 등 개인의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으며 구급대원들이 실질적으로 부담하게 되는 하중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119구급대원은 국민의 안전을 위하여 일선에 투입되고 있으나, 구급대원이 부담하게 되는 하중은 근골격계 손상, 특히 요통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구급대원의 업무 능력 저하와 국민 안전 유지의 공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자의 신체 특성에 따른 들것의 하중 변화와 구조자의 신체 특성에 따른 하중 부담의 연구를 통하여 구급대원뿐만 아니라 구조자 부상률 감소를 도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 일개 대학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상자(환자 역할)의 신체 특성과 구조자의 신체 특성, 주들것을 싣거나 내리는 동작, 긴척추고정판 사용 시 대상자 위치 변화에 따른 하중을 측정하였고, Pearson 상관분석 및 기술통계량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 결과, 환자의 신체 특성은 주들것에 누웠을 때 발생하는 하중과 각각 강한 양의 상관관계(r =.838, r =.928, p <.001)를 나타냈다. 구조자의 키와 주먹 높이는 남성에서 r =.691, 여성에서 r =.780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조자의 키가 작을수록 팔을 더 높이 들어야 해 무게중심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중을 감당해야 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긴척추고정판 사용 시 환자가 머리쪽에서 아래로 10cm, 20cm 이동하면 하중이 남성은 각각 8.2%, 16.5%, 여성은 각각 6.3%, 13.3%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1). 결론적으로, 주들것을 구급차 내외부로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환자의 체중이 증가할수록 구조자가 부담하게 될 하중이 증가한다. 둘째로 구조자의 키가 작을수록 주먹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구급차의 주들것을 들어 올릴 때 팔을 더 높이 들어올려야 하며 무게중심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중을 부담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긴척추고정판을 사용할 때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는 주들것의 경우와는 다르게 환자가 머리 쪽에서 일정한 간격 아래로 이동하였을 때 긴척추고정판 앞뒤에서 무게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환자와 구조자의 신체 특성, 환자 위치 변화가 하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하중 부담을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근골격계 부상률 감소와 업무 효율성 증대를 위한 다양한 대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지 = ⅰ
      • 차례 = ⅲ
      • 표차례 = ⅴ
      • 그림차례 = ⅵ
      • 약어표 = ⅶ
      • 국문요지 = ⅰ
      • 차례 = ⅲ
      • 표차례 = ⅴ
      • 그림차례 = ⅵ
      • 약어표 = ⅶ
      • Ⅰ. 서론 = 1
      • 1.연구의 필요성 = 1
      • 2.연구의 목적 = 6
      • Ⅱ. 문헌고찰 = 7
      • Ⅲ. 연구대상 및 방법 = 11
      • 1. 연구 설계 = 11
      • 2. 연구 가설 = 12
      • 3. 연구 대상 = 13
      • 4. 연구 도구 = 14
      • 5. 연구 방법 및 절차 = 17
      • 실험 1) 연구대상자의 신체 특성에 따른 하중 = 19
      • 실험 2) 주들것을 싣고 내리는 동작에서 구조자의 팔과 키의 영향 = 21
      • 실험 3) 긴척추고정판 위에 누운 위치에 따른 하중 = 23
      • 실험 4) 무게 균형을 위한 긴척추고정판 위 위치 분석 = 25
      • 6. 자료 분석 방법 = 25
      • Ⅳ. 연구 결과 = 28
      • 1. 신체 특성에 따른 하중 = 28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8
      • 2) 신체 특성에 따른 하중 분석 = 30
      • 2. 주들것을 싣고 내리는 동작에서 키와 팔의 영향 = 34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키와 주먹 높이 = 34
      • 2) 연구대상자의 키와 주먹 높이 = 36
      • 3. 긴척추고정판 위에 누운 위치에 따른 하중 = 39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9
      • 2) 긴척추고정판 위에 누운 위치에 따른 하중 분석 = 41
      • 4. 무게 균형을 위한 긴척추고정판 위 위치 = 43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3
      • 2) 무게 균형을 위한 긴척추고정판 위 위치 분석 = 43
      • Ⅴ. 고찰 = 46
      • Ⅵ. 결론 = 51
      • 참고문헌 = 54
      • Abstract =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