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백제 국가형성기 농업 연구 = The Political Economy of Agriculture in the State Formation of Baek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61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농업은 고대의 생업 기반일 뿐만 아니라 생필품과 위세품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이자 부와 권력을 확보하고 강조하는 수단으로, 국가형성기의 경제적 변화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정치적, 사...

      농업은 고대의 생업 기반일 뿐만 아니라 생필품과 위세품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이자 부와 권력을 확보하고 강조하는 수단으로, 국가형성기의 경제적 변화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정치적, 사회적 변화까지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 주제라 할 수 있다. 본고는 백제 국가가 형성되고 발전하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의 맥락에서 농업 생산 양상은 어떠했으며, 어떠한 특징의 변화가 일어났는지, 그리고 변화가 발생한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농업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중부지방의 고고학 유적에서 출토된 중요 농업 자료인 작물유존체와 철제 농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 연구하였으며, 백제 국가형성기에 이르러 생산성 증대를 목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네 가지 농업 전략들, 즉 노동 집약화, 혁신, 전문화, 다양화 전략과 연관하여 나타날 수 있는 방식들을 모델로 제시한 후에 이를 분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특징의 농업 전략들이 나타나는지 파악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농업 자료 이외의 다양한 고고학적 증거들을 검토함으로써 국가형성기의 제 변화들이 새로운 농업 전략을 채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는지에 대해서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핵심은 작물유존체를 대상으로 식물고고학 방법론을 활용하여 작물조성과 크기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작물 재배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재배 작물의 종류와 비중 변화를 분석한 결과, 중부지방 전반적으로 고대 한반도에서 재배 가능한 여러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면서 잡곡과 두류를 주요 작물로 이용하는 양상이 시대와 상관없이 유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환경 적응력이 높은 작물을 주로 재배하고 적응력에 차이가 있는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여 기후 변화와 같은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험도를 낮추고 생계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시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전반적 지속성에도 불구하고 각 취락별로 살펴보면 재배 작물의 종류나 구성에서 변화가 나타나,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쌀의 재배가 늘어나고, 영서지역에서 쌀, 보리, 피의 재배가 시작되며, 일부 유적에서 두류 재배가 증가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쌀, 두류의 특성이나, 재배 계절을 연장하여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맥류의 특성으로 보아, 백제 국가형성기 중부지방에서 새롭게 채택된 농업 전략은 생산성 증대에 상당히 기여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었다.
      유적 간 콩과 팥의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재배 기술 발달상의 중요한 측면이나 고고학적으로 파악되지 못하였던 작부체계에 대해서도 밝힐 수 있었다. 맥류가 출토되는 유적들에서 맥류가 출토되지 않는 유적들보다 소립(小粒)의 두류 종자들이 출토되는 것을 확인하여, 백제 국가형성기에 이르러 맥류에 뒤이어 콩과 팥을 재배하는 맥후작(麥後作)을 시행하면서 두류의 생육 시기가 부족해져 크기가 감소한 정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소립과 대립(大粒)의 두류가 함께 출토되는 양상에서 대립 종자를 생산할 수 있는 단작(單作)이 병행되었을 가능성을, 콩과 팥의 크기 감소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양상에서 맥류 재배 이후에 두 작물이 혼작(混作)되었을 가능성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연구 대상 시기 중부지방에서는 맥후작을 포함하여, 단작, 혼작 등 다양한 작부체계를 병행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재배 계절을 연장하거나 공간 활용을 다양화하는 작부체계들을 활용하여 생산량을 늘리고 특정 시점과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처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맥후작의 채택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달라 경기지역에서는 원삼국시대부터, 영서지역에서는 한성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식물고고학적 연구에 국한하지 않고, 철제 농기구의 분석을 통해 생산 기술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성기에 이르러 철제 삽날, 주조괭이, 겸 모두 출토 비율이나 범위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주조괭이는 이용이 크게 늘면서 생산의 효율과 질을 높여 생산성 증대에 일조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농기구의 소유 양상 또한 변화하여, 주조괭이는 백제 도성 주변의 취락에서 이용도가 높아져 백제 국가가 생산 및 유통을 관장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경기 북부 및 강원 영서지역에서 주조괭이가 특정 유구에 집중되거나,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삽날과 철겸이 상위 계층에 의해 주로 소유되는 양상을 통해 농기구의 소유가 더 제한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을 가능성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작물 재배 방식과 기술, 농기구 이용 양상에서 변화가 관찰되며, 본고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백제 국가형성기 농업 변화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경기지역에서는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수전 농경의 확대에 따른 전문화의 가능성이, 백제 도성 주변의 유적들에서 주조괭이의 이용도가 급증하는 혁신으로 볼 수 있는 변화가 나타나, 높은 비용이나 노동력의 투입이 필요하여 위험도가 높을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생산 과정이 질적으로 개선되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들이 채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영서지역에서는 대체로 철제 농기구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면서 쌀, 보리, 피가 추가되는 노동집약적인 다양화 전략이 강화되는 양상이 나타나, 초기에 높은 비용이나 집중적 노동력의 투입은 필요하지 않고 위험도도 낮지만 효율성 또한 낮은 전략들이 채택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지역 간에 농업 전략의 특징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두 지역의 전통적인 농업 방식, 환경적 조건, 경제적 기반과 같은 요인들이 농업 생산의 채택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는 국가 형성 및 발전 과정에서 농업 생산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정치적 변화들과 연관된 고고학적 자료들을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농업 전략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인구 밀도의 변화, 전문 생산 체계의 형성, 계층화 심화와 관련된 고고학적 증거들이 농업 변화가 발생한 유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여, 인구와 자원 간 불균형에 대처하기 위해서, 새로운 생산 체계 형성에 따라 등장한 물품 확보를 위한 경제적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서, 그리고 계층화 심화에 의한 엘리트의 작용에 따라 농업 양상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백제 국가형성기에는 농업 생산 양상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며, 변화가 나타난 유적에서 두드러진 백제와 연관된 증거로 보아 국가 형성이라는 정치적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즉 백제 국가 형성에 따라 경제적, 사회적 변화들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제 변화가 새로운 농업 전략을 채택하게 하는 직간접적 원인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추정된다. 하지만 본고에서 밝혀진 농업 변화는 기존에 국가 형성이라는 정치적 변화와 연관되어 주로 논의되던 획기적인 기술적인 발달이나 대규모 생산 체계의 형성과는 다른 것으로, 전통적인 농업 생산 체계의 틀을 유지하면서 재배 작물의 종류나 구성, 작부체계에 변화를 두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의 새로운 농업 전략은 각 지역이나 취락의 농업 전통, 환경 및 경제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채택된 것으로, 백제 국가형성기 중부지방에서는 이를 토대로 국가 형성 및 발전 과정에서 발생한 생산량 증대의 필요를 해결하고 농업 생산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griculture was not only the foundation of ancient subsistence; it was a means to provide daily necessities and prestige goods, and a way to secure and assert wealth and power. Agriculture is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economic changes that occur du...

      Agriculture was not only the foundation of ancient subsistence; it was a means to provide daily necessities and prestige goods, and a way to secure and assert wealth and power. Agriculture is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economic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state formation period of ancient civilizations, and even sheds light on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of that era. By focusing o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texts of the state formation period of Baekje, this dissertation seeks to explore the nature of Baekje’s agricultural production, changes in its production, and the causes of that change. To ident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aekje’s agriculture, this study analyzes crop remains and iron agricultural implements that were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his data is then examined against four agricultural strategies commonly implemented to increase productivity during the period—intensification, innovation,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in order to discern the key aspects of Baekje’s agricultural strategies. By reviewing various archaeological evidence in addition to agricultural data, the study ultimately seeks to understand whether the many changes that happened during Baekje’s state formation period initiated the adoption of new agricultural methods.
      Central to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crop remains through paleoethnobotanic methods. By tracking changes in crop composition and size, the study demonstrates that among the various products harvested in the central region of ancient Korea, cereals and legumes remained dominant throughout the ages. This strategy—focusing on crops that are highly adaptable to environmental change while also farming plants with various degrees of adaptability—appears to be a measure to cope with cris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indicates an emphasis on reducing risk and increasing stability. Despite the overall continuity, certain regions displayed distinct characteristics in crop type and composition. Rice cultivation tended to increase around the southern Gyeonggi region; rice, barley, and barnyard millet cultivation started in the Yeongseo region; while legume cultivation increased in certain sites. Considering the high productivity per unit area of rice and legumes and the extended growing season brought by barley-legume rotations, the study posits that these new agricultural strategies implemented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Baekje’s state formation period contributed to significant increases in production.
      By comparing the size of soybeans and adzuki beans found in different excavation sites, the study also presents new findings on ancient cropping systems that were previously unaccounted for by conventional archaeological methods. Compared to excavation sites without barley remains, excavation sites with barley remains were more likely to yield legumes of smaller grain sizes, indicating that the introduction of barley–legume rotations during Baekje’s state formation led to shorter rearing periods and thus smaller grain sizes. Moreover, sites that excavated legumes of both small and large grain sizes denoted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single cropping systems that were capable of producing large legumes. Signs of mixed cropping were even found in sites where the decrease in bean sizes matched the decrease in red bean sizes, suggesting that the two legumes were farmed together after the harvesting of barley. Namely, multiple agricultural methods such as single cropping and mixed cropping were adopted in parallel to barley–legume rotations during this period, which led to increased production by extending the growing season and providing provisions against environmental risks. Meanwhile, the time line for adopting barley–legume rotation differed across regions, e.g., it began during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for the Gyeonggi area while the Yeongseo region adopted it during the Hanseong period.
      This dissertation is not limited to paleoethnobotany, but incorporates the analysis of iron agricultural implements to explore changes in agricultural technology. Iron spade blades, iron hoes, and sickles from the Hanseong era were excavated across broader areas and in increased quantities. The increase of iron hoes is especially considered to have advanced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production. Patterns in farming equipment ownership also changed. The increase of iron hoes in hamlets near the capital city suggest Baekje’s state control ove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ools. Also, the concentration of iron hoes in specific features excavated in the Northern Gyeonggi and Youngseo area, and the propensity for iron spade blades and sickles to be mainly owned by the upper class also indicate that the possession of farming equipment may have been restric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s several key aspects of the agricultural changes that happened during Baekje’s state formation. The Gyeonggi region displayed signs of specialization following the expansion of paddy field farming in its southern areas, and the iron hoes excavated around Baekje’s capital city pointed towards innovation. Namely, the Gyeonggi region adopted high-risk strategies that require high initial cost and labor but ultimately improves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Meanwhile, as the use of iron agricultural implements was limited in Yeongseo, the region adopted the labor-intensive strategy of diversification by also farming rice, barley, and barnyard millet. This strategy does not require any initial costs or labor but lacks in efficiency. In other words, each region selected distinct agricultural strategies, and their differences were likely based on factors such as regional farming tradition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economic base.
      Lastly, this dissertation examines archaeological data related to the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of the era. Evidence of shifts in population density, the introduction of specialized production systems, and increased social stratification were all prominently found in excavation sites where agricultural changes also occurred. This points to the possibility of agricultural change as a method to manage the disproportionate growth of population, to provide economic means for securing goods that emerged from a new production system, and to respond to the rise of elites following increased social stratifica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at arose during the formation of Baekje triggered the adoption of new agricultural strategi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only focused on groundbreaking technological developments or the introduction of large-scale production systems when dealing with the political context of state formation, this dissertation delineates agricultur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cropping systems that still maintain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agricultural production. The new agricultural strategies adopted across the central region of Korea became the foundation of Baekje’s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enabled Baekje to match the increased need for resources during its process of state form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II. 연구 목적 및 방법론 7
      • 1. 고대 국가형성기 농업 연구의 성과와 한계 7
      • 2. 연구 목적과 이론적 논의 21
      • 3. 연구 대상과 분석 방법 31
      • I. 서론 1
      • II. 연구 목적 및 방법론 7
      • 1. 고대 국가형성기 농업 연구의 성과와 한계 7
      • 2. 연구 목적과 이론적 논의 21
      • 3. 연구 대상과 분석 방법 31
      • 1) 대상 자료와 분석 방법 31
      • (1) 작물조성 31
      • (2) 작물 크기 분포 33
      • (3) 철제 농기구의 출토 양상 37
      • 2) 대상 지역과 시기 구분 40
      • III. 작물조성을 통해 본 원삼국-백제 한성기의 재배 방식 53
      • 1. 경기지역의 작물유존체 출토 양상 54
      • 1) 원삼국시대 54
      • (1) 가평 대성리 유적 57
      • (2) 남양주 장현리 유적 61
      • (3) 용인 고림동 유적 65
      • (4) 강내리, 사정리, 풍납토성, 미사리, 발안리 유적 68
      • (5) 종합적 검토 70
      • 2) 백제 한성기 71
      • (1) 남양주 장현리 유적 73
      • (2) 용인 고림동 유적 75
      • (3) 풍납토성 80
      • (4) 주월리, 자작리, 청평리, 구갈리, 보정리 유적 84
      • (5) 종합적 검토 85
      • 2. 강원 영서지역의 작물유존체 출토 양상 86
      • 1) 원삼국시대 87
      • 2) 백제 한성기 90
      • 3) 종합적 검토 96
      • 3. 작물 재배 방식의 시공간적 양상 97
      • IV. 작물 크기를 통해 본 원삼국-백제 한성기의 재배 기술 103
      • 1. 콩 크기의 분포 양상과 시간적 변화 104
      • 1) 콩 크기의 분포 양상 105
      • 2) 콩 크기의 시간적 변화 112
      • 2. 팥 크기의 분포 양상과 시간적 변화 116
      • 1) 팥 크기의 분포 양상 117
      • 2) 팥 크기의 시간적 변화 124
      • 3. 작부체계로 본 재배 기술 128
      • V. 철제 농기구를 통해 본 원삼국-백제 한성기의 생산 기술 138
      • 1. 철제 농기구의 분포 및 비율 변화 138
      • 1) 삽날 139
      • 2) 주조괭이 141
      • 3) 철겸 145
      • 2. 철제 농기구의 소유 양상 변화 149
      • 1) 원삼국시대 149
      • 2) 백제 한성기 158
      • (1) 영서지역 158
      • (2) 경기지역 165
      • (3) 한성기 소유 양상 174
      • 3. 철제 농기구 이용과 소유의 시공간적 양상 175
      • VI. 백제 국가형성기 농업 양상의 특징과 의미 180
      • 1. 농업 변화상으로 본 농업 전략의 특징 180
      • 1) 재배 방식 및 기술 180
      • (1) 지역적, 시간적 변화 180
      • (2) 농업 전략 187
      • 2) 철제 농기구의 이용과 소유 191
      • (1) 지역적, 시간적 변화 191
      • (2) 농업 전략 194
      • 3) 농업 전략의 지역적 특징과 채택 맥락 198
      • 2. 농업 변화의 원인 209
      • 1) 인구 밀도의 변화 209
      • 2) 전문 생산 및 유통 체계의 변화 210
      • 3) 계층화의 심화 213
      • 3. 백제 국가형성기 농업 양상의 경제적·정치적 의미 218
      • VII. 결론 22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채제천, "쌀생산과학", 향문사, 2006

      2 박순발, "漢城百濟의 誕生", 서경문화사, 2001

      3 이성주, "族長墓와 國 成立", 21세기의 한국고고학 Ⅱ, 주류성 출판사, 2009

      4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03

      5 Brookfield , H. C, "Intensification revisited", 25 ( 1 ) : 15-44, 1984

      6 전덕재, "한국고대사회경제사", 태학사, 2006

      7 이현혜, "백제 지역의 농경생활", 韓國史市民講座 44, 2009

      8 심재연, "한성백제기의 영동 영서", 중부고고학보 8(2), 2009

      9 이현혜, "韓國 古代의 생산과 교역", 一潮閣, 1998

      10 성정용, "4∼5세기 百濟의 地方支配", 한국고대사연구 24, 2001

      1 채제천, "쌀생산과학", 향문사, 2006

      2 박순발, "漢城百濟의 誕生", 서경문화사, 2001

      3 이성주, "族長墓와 國 成立", 21세기의 한국고고학 Ⅱ, 주류성 출판사, 2009

      4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03

      5 Brookfield , H. C, "Intensification revisited", 25 ( 1 ) : 15-44, 1984

      6 전덕재, "한국고대사회경제사", 태학사, 2006

      7 이현혜, "백제 지역의 농경생활", 韓國史市民講座 44, 2009

      8 심재연, "한성백제기의 영동 영서", 중부고고학보 8(2), 2009

      9 이현혜, "韓國 古代의 생산과 교역", 一潮閣, 1998

      10 성정용, "4∼5세기 百濟의 地方支配", 한국고대사연구 24, 2001

      11 김영진, 이은웅, "조선시대 농업과학기술사", 서울대출판부, 2000

      12 Pearson, R., "(김준민 역), , 기후와 진화", 대우학술총서, 1987

      13 김일규, "漢城期 百濟土器 編年再考", 先史와 古代 27, 2007

      14 송만영, "중부지방 취락고고학 연구", 서경문화사, 2013

      15 김연옥, "기후변화: 한국을 중심으로", 민음사, 1998

      16 박지훈, 장동호, "아산 탕평평야의 화분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7(2), 2010

      17 李南珪, "漢城百濟期 鐵器文化의 特性", 百濟硏究 36, 2002

      18 이현숙, "4~5世期代 百濟의 地域相 硏究",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9 이형원, "百濟 漢城期의 水田에 대하여", 고고학 10(2), 2011

      20 김민구, "라-19호 주거지 탄화곡물 분석", 風納土城 XV: 풍납동 197번지(舊 미래마을) 발굴조사 보고서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21 이성주, "新羅.伽倻 社會의 起源과 成長", 學硏文化社, 1998

      22 문동석, "최근 백제사 연구 성과와 동향", 백제학보 13, 2015

      23 권오영, "漢城百濟의 時間的 上限과 下限", 百濟硏究 51, 2011

      24 이현혜, "百濟 古爾王대 聯盟王國說 검토", 百濟硏究 58, 2013

      25 이준정, 이희경, "영월 정양산성 출토 식물유존체", 寧越 正陽山城 1: 사적 제446호 영월 정양산성 1~3차 발굴조사 보고서, 江原考古 文化硏究院, 2014

      26 김민구, "철기시대 주거지 출토 탄화곡물", 洪川 城山里遺蹟, 강 원문화재연구소, 2012

      27 최종택, "渼沙里 百濟 聚落의 構造와 性格", 호서고고학 6 7, 2002

      28 金基興, "미사리 삼국시기 밭 유구의 농업", 歷史學報 146, 1995

      29 김도헌, "선사 고대 농구의 소유형태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64, 2009

      30 박태식, "하남 미사동유적 출토 곡물 분석", 河南 美沙里: 2001 年 試掘調査報告書, 세종대학교 박물관, 2002

      31 박태식, "정선 예미리 유적 출토 곡물 분석", 旌善 禮美里 遺蹟, 江原文化財硏究所․原州地方國土管理廳, 2007

      32 김도헌, "嶺南 地域의 原始.古代 農耕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0

      33 金大德, "新羅時代 旱田農業에 대한 一研究", 文化史學 27, 2007

      34 한신, "華城 旺林里 노리재골Ⅱ 百濟遺蹟", 大學校博物館, 2011

      35 양승필, "鐵製農器具 所有變化에 대한 檢討", 新羅文化 12, 1995

      36 이희경, "용인 고림동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龍仁 古林洞 原三 國 百濟 聚落, 한신대학교 박물관, 2018

      37 이희경, "화천 원천리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華川 原川里遺蹟: 화천 원천리 2지구 유물산포지내 발굴조사보고서 第Ⅳ卷, 예맥문화 재연구원, 2013

      38 金基赫, "韓國 農業地帶의 變化에 關한 硏究", 서울大學校 社會科 學大學 地理學科, 1991

      39 이희경, "연천 강내리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연천 강내리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서울대학교 박물관, 2012

      40 박순발, "유물상으로 본 백제의 영역화 과정", 백제, 마한과 하나 되다, 한성백제박물관, 2013

      41 김재홍, "生業으로 본 韓과 濊의 종족적 특성", 韓國古代史硏究 79, 2015

      42 박태식, "파주 주월리 집터 출토 씨앗류 분석", 坡州 舟月里 遺蹟: 96․97 京畿道博物館 調査地域, 京畿道博物館, 1999

      43 반다리, 유카, 수다르산, 사사키, "Ⅱ. 자연환경 분석 1. 탄화종실 분 석", 漣川 江內里 遺蹟: 군남 홍수조절지 건설사업 문화재 시발굴 조사(Ⅰ구역): 분석, 高麗文化財硏究院 한국수자원공사 임진강건설 단, 2012

      44 박태식, "강릉 초당동 유적 Ⅰ 출토 곡물 분석", 江陵 草堂洞 遺蹟 Ⅰ, 江原文化財硏究所, 2005

      45 박중국, "백제 한성양식토기의 분포현황 검토", 漢江考古 9, 2013

      46 안현중, "춘천 우두동유적 출토 식물유체분석", 춘천 우두동 유 적, 한강문화재연구원, 2017

      47 이하나, "4~6세기 신라 철제농구의 변천과 확산", 경북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2

      48 이현혜, "三韓社會의 농업 생산과 철제 농기구", 역사학보 126, 1990

      49 송만영, "中島式 住居 외줄구들의 變化와 意味", 고문화 85, 2015

      50 한지선, "百濟土器 成立期 樣相에 대한 再檢討", 百濟硏究 41, 2005

      51 안승모, "長興 上芳村 炭火穀物의 經濟的 解釋", 한국상고사학보 54, 2006

      52 임영진, "고고학에서 본 전남지역 마한과 백제", 백제, 마한과 하나되다, 한성백제박물관, 2013

      53 이준정, 이희경, "남양주 장현리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南楊州 長 峴里遺蹟, 中央文化財硏究院, 2010

      54 박태식, "철원 와수리 문화유적 출토 곡물분석", 鐵原 瓦水里 遺 蹟-철원 와수리 신벌지구 경지정리사업지구 내 시굴조사, 2006

      55 Bender , B., "Gatherer ? hunter to farmer : A social perspective", 10 ( 2 ) : 204-222 ., 1978

      56 노중국, "백제의 수리(水利)시설과 김제 벽골제", 백제학보 4, 2010

      57 전덕재, "4~6세기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사회변동", 역사와 현실 4, 1990

      58 이희경, "원삼국시대 중부지방의 작물조성 연구", 서울대학교 문학 석사 학위논문, 2010

      59 최영민, "한반도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철기문화", 한신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0

      60 최영민, "古代 韓半島 中部地域의 製鐵技術 硏究", 한신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61 한신, "大學校博物館, , 龍仁 水枝 百濟 住居址", 한신大學校博物館, 1998

      62 안승모, "식물유체로 본 시대별 작물조성의 변천", 농업의 고고 학, 사회평론, 2013

      63 이현혜, "한국 농업기술의 발전 과정과 연구 성과", 농업의고고학 (제36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자료집), 한국고고학회, 2012

      64 Marston , J. M., "Archaeological markers of agricultural risk management", 30 ( 2 ) : 190-205 ., 2011

      65 안승모, "광주 산정 B유적 7호 수혈 출토 종자 분석", 광주 산정・ 기용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9

      66 김민구, "철기시대 수혈 주거지 3호 출토 곡물분석", 춘천 근화동 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 2011

      67 이희경, "춘천 중도동유적(A구역) 출토 식물유존체", 春川 中島洞 遺蹟: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H구역 순환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통합보고서, 2020

      68 안승모, "콩과 팥의 고고학, 仁濟食品科學FORUM論叢", 15, 2008

      69 김재홍, "高句麗의 鐵製 農器具와 農業技術의 발전", 北方史論叢 8, 2005

      70 이준정, 이희경, "춘천 하중도 D-E지구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春 川 中島洞遺蹟, 江原文化財硏究所, 2013

      71 이희경, "춘천 하중도 D-E지구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春川 中 島洞 遺蹟, 江原文化財硏究所, 2013

      72 Park , J. , K. B. Yu , H. S. Lim and Shin , Y. H.,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east coast of Korea", 48 ( 3 ) : 535-544 ., 2012

      73 한지선, "漢城百濟期 聚落과 土器遺物群의 變遷樣相", 중앙고고연 구 12, 2013

      74 안승모, "韓半島 先史 古代 遺蹟 出土 作物資料 解題", 極東先史 古代の穀物 3, 熊本大學, 2008

      75 이상길, "원삼국~한성백제기 북한강유역의 철기문화",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6 김민구, "농업 연구와 식물자료: 몇 가지 이론적 과제", 농업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학술총서 5, 2012

      77 김성남, "백제 한성양식토기의 형성과 변천에 대하여", 고고학 3(1), 2004

      78 박중국, "呂자형 주거지를 통해 본 중도문화의 지역성",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79 박경신, "가평 대성리 유적 출토 세장동옹의 취사방식", 가평 대성 리 유적 Ⅱ, 2011

      80 정유진,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한국상고 사학보 69, 2010

      81 이희경, "횡성군 갑천면 중금리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강원고고 학보 14, 2009

      82 김도영, "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전개와 限冶供鐵정책", 한국고고 학보 94, 2015

      83 박태식, "춘천 율문리 철기시대 주거지 출토 곡물 분석", 춘천 율 문리유적 Ⅰ, 2008

      84 Morrison , K. D., "The intensification of production : archaeological approaches", 1 ( 2 ) : 111-159, 1994

      85 박경신, "原三國時代 中部地域과 嶺南地域의 內陸 交易", 고고광 장 23(1), 2018

      86 권오영, 이남규, 문동석, "경기 남부 백제유적의 분포양상과 역사적 의미", 百濟硏究 40, 2004

      87 朴賢淑, "백제 한성시기 流民의 발생과 對民支配의 양상", 先史와 古代 27, 2007

      88 이희경, "포천 사정리 모래내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분석", 漢灘江 抱 洪水調節댐 水沒豫定地域(抱川 F地域) 內 抱川 射亭里 모래내遺 蹟, 中央文化財硏究院 韓國水資源公私 臨津江建設團, 2014

      89 김재홍, "韓國 古代 農業技術史硏究: 鐵製 農具의 考古學", 考古, 2011

      90 Kim , M., "Wheat in ancient Korea : a size comparison of carbonized kernels", 40 ( 1 ) : 517-525 ., 2013

      91 김민구, 박정재, "江原 嶺東地域 靑銅器時代 벼農事와 農耕集約化", 韓國考古學報 79, 2011

      92 윤호필, "경작유구를 통해 본 경지 이용 방식의 변천 연구", 농업 의 고고학(제 36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자료집), 2012

      93 이희경, "백제 국가 형성기의 철제 농기구 출토 양상 연구", 한국 상고사학보 99, 2018

      94 Marston , J. M., "Agricultural strategies and political economy in ancient Anatolia", 116 ( 3 ) : 377-403, 2012

      95 崔德卿, "古代韓國의 旱田 耕作法과 農作制에 對한 一考察", 한국 상고사학보 37, 2002

      96 김민구, "가평 청평리 714-4번지 출토 탄화종자 분석 보고서", 가 평 청평리 714-4번지 유적, 한국문화재단, 2017

      97 성정용, "우리나라 先史∼古代水利施設의유형과 發達過程", 한국 상고사학보 87, 2015

      98 최영민, "원삼국~백제 한성기 북한강유역 철기문화의 양상", 북한 강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물질문화, 중부고고학회 학술대회논문 집, 2017

      99 한신, "용인 고림동유적 발굴조사 2차 지도위원회의 자료", 大學校博物館, 2009

      100 박태식, "홍천 하화계리 철기시대 문화유적 출토 곡물 분석", 下 花溪里․哲亭里․驛內里 遺蹟, 江原文化財硏究所․原州地方國土管理 廳, 2005

      101 박순발, "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 韓 國古代史硏究 48, 2007

      102 구자옥, 국용인, "고대(古代) 밭갈이(耕田) 노력의 최소화 기술 전 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4(5), 2012

      103 김준규, "북한강유역 원삼국시대~한성백제기 토기 편년 시론", 중 부고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104 박정재, 신영호, "홀로세 후기 강원 영동 지역의 벼농경과 환경 변 화", 대한지리학회지 47(5), 2012

      105 Turkon , P., "Food and status in the prehispanic Malpaso Valley , Zacatecas , Mexico", 23 ( 2 ) : 225-251 ., 2004

      106 김성남, "百濟 漢城時代 南方領域의 擴大過程과 支配形態 試論", 百濟硏究 44, 2006

      107 안승모, "韓半島 靑銅器時代의 作物組成: 種子遺體를 中心으로", 호남고고학보 28, 2008

      108 고민정, 이경아 , 윤호필 , "선사시대 팥의 이용 및 작물화에 대한 고고 학적 검토", 韓國上古史學報 75, 2012

      109 이준정, 이희경, "춘천 우두동 82번지 유치원부지 유적 출토 식물유 존체", 춘천 우두동유적 Ⅲ, 강원문화재연구소, 2015

      110 Van der Veen , M., "Agricultural innovation : invention and adoption or change and adaptation ?", 42 ( 1 ) : 1-12, 2010

      111 김민구, 류아라, "탄화물 분석을 통한 삼국시대 대두(大豆) 이용 방 법 고찰", 한국상고사학보 100, 2018

      112 김범철, "錦江 중 하류역 松菊里型 聚落에 대한 家口考古學的 접 근", 韓國上古史學報 51, 2006

      113 박원규, 이광희, 오정애, "원주 가현동유적 출토 숲의 수정분석과 종 자류 분석 결과", 원주 가현동 유적, 2011

      114 Zori , C. and E. Brant, "Managing the risk of climatic variability in late prehistoric northern Chile ,", 31 ( 3 ) : 403-421 ., 2012

      115 Dennell , R. W., "The economic importance of plant resources represented on archaeological sites", 3 ( 3 ) : 229-247, 1976

      116 沈敎文, "가을보리 裁培期間의 氣象環境 變化와 安全裁培地帶 區 分",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17 이경아, "植物遺體에 基礎한 新石器時代 農耕에 대한 觀點의 再檢 討", 한국신석기연구 10, 1998

      118 新山雅廣, "가평 대성리 유적 출토 탄화종실, 加平 大成里 遺蹟 (본문 2)", 京畿文化財硏究院, 2009

      119 이경아, "기흥-구갈3지구 출토 식물유체 분석 보고, 龍仁 舊葛里 遺蹟", 京畿文化財團 畿甸文化財硏究院, 2003

      120 김민구, "춘천 율문리 335-4번지 유적 철기시대 주거지 출토 탄화 곡물", 춘천 장학리 Ⅱ 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 2012

      121 박태식, 이영호, "출토유물과 유전적 다양성으로 본 한반도의 두류재 배 기원", 농업사연구 5(1), 2006

      122 Kolata , A. L., "The technology and organ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Tiwanaku state", 2 ( 2 ) : 99-125, 1991

      123 이희준, "한반도 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嶺南考古學 58, 2011

      124 김장석, "호서와 서부 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 여,", 湖南考古學報 33, 2009

      125 고광민, 이혜연, "영동과 영서, 강릉 구정리와 인제 방동리의 생업문 화의 대비", 쌀삶문명 연구 4, 2011

      126 이경아, "화성 발안리마을 유적 식물유체 분석, 華城 發安理 마을 遺蹟", 京畿文化財團 畿甸文化財硏究院, 2007

      127 Smith , M. E., "Household possessions and wealth in agrarian states : Implications for archaeology", 6 ( 4 ) : 297-335 ., 1987

      128 Kim , M. , S. M. Ahn and Y. Jeong, "Rice ( Oryza sativa L. ) : Seed ? size comparison and cultivation in ancient Korea", 67 ( 4 ) : 378-386 ., 2013

      129 Hastorf , C. A., "The effect of the Inka state on Sausa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rop consumption", 55 ( 2 ) : 262-290 ., 1990

      130 김재홍, "백제시대 수전농업의 발전단계: 금강유역의 자료를 중심으 로", 백제와 금강, 서경문화사, 2007

      131 오세연,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문화에 대한 연구: 주거양상을 중심 으로", 한국상고사학보 19, 1995

      132 김민구, 박정재, "홀로신 중기 광주광역시 연산동 일대의 고식생 및 고기후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6, 2011

      133 성수일, "漢江 錦江流域 原三國~百濟 漢城期 鐵器 副葬樣相의 變 化 硏究", 중앙고고연구 23, 2017

      134 김도헌, "선사 고대의 농구 조합과 생산력의 변화: 영남지역을 중 심으로", 영남고고학 47, 2008

      135 이준정, 이희경, "영월 술샘 건강복지센터 건립부지내 문화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영월 술샘 건강복지센터 건립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江原考古文化硏究院, 2011

      136 이현혜, "三國時代의 농업기술과 사회발전: 4~5세기 新羅社會를 중 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8), 1991

      137 권오영,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 양태와 백제 국가의 통 합양상", 고고학 8(2), 2009

      138 千末仙, "鐵製農具에 대한 考察: 原三國⋅三國時代 墳墓出土品을 중심으로",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碩士學位論文, 1994

      139 Graffam , G., "Beyond state collapse : rural history , raised fields , and pastoralism in the South Andes", 94 ( 4 ) : 882-904, 1992

      140 윤순옥, "화분분석을 중심으로 본 일산지역의 홀로세 환경변화와 고지리복원", 대한지리학회지 32(1), 1997

      141 이경아,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 식물유체 분석 보고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Ⅵ",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11

      142 Stanish , C., "The hydraulic hypothesis revisited : Lake Titicaca Basin raised fields in theoretical perspective", 5 ( 4 ) : 312-332, 1994

      143 김민구, "탄화 밀을 이용한 작물 생산성의 이해: 전남지역 마한계 유적을 중심으로", 韓國考古學報 68, 2008

      144 강소영, 한지석, 정수옥, "춘천 중도동유적(A구역) 출토 경질무문토기 의 취사흔 탄착물에 대한 분석", 春川 中島洞遺蹟: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H구역 순환구역 내 유적 발굴조사 통합보고서, 2020

      145 Blackmore, Hari, "원삼국시대 중부지방에 관한 모델들의 비판적 재검토: 대안적 접근의 제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46 홍보식, "농기구와 부장유형: 영남지역의 2세기후반~4세기대 분묘 부장품을 대상으로", 한국고고학보 44, 2001

      147 김왕국, "백제 한성기 저장시설 확산의 동인: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 수혈을 중심으로", 百濟硏究 63, 2016

      148 이경아, "보정리 소실유적 20호 수혈유구 식물유체 분석 보고, 용 인 보정리 소실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5

      149 김주용, 이상헌, 양동윤, 신숙정, 류은영, 남욱현, "경기도 일산 이산포지 역의 후기 홀로세 고환경 변화 연구: 화분과 규조분석", 지질학회 지 41(3), 2005

      150 김길식, "원삼국∼백제 한성기 경기 남부지역 제철기지 운용과 지 배세력의 변화 추이", 백제문화 56, 2017

      151 김민구, "화재 주거지 출토 탄화물을 통한 식량자원 구성의 복원: 해남 신금 유적의 예", 韓國考古學報 71, 2009

      152 Janusek , J. W. and A. L. Kolata, "Top-down or bottom-up : rural settlement and raised field agriculture in the Lake Titicaca Basin , Bolivia", 23 ( 4 ) : 404-430 ., 2004

      153 박지영, "백제의 확장과 주변부 취락 재조직: 방사성탄소연대와 GIS 공간 분석을 활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54 이형원, 이희경, "원삼국-한성백제기 작물의 저장, 소비, 폐기의 일 양상: 용인 고림동유적의 사례", 한국상고사학보 92, 2016

      155 이병훈,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외줄구들 유형의 변천과정 재검토: 중도유형문화권을 중심으로", 고문화 88, 2016

      156 김정빈, 정혜경, 박지훈, "탄소동위원소분석을 이용한 한국 홀로세의 기후환경변화: 서해 영종도 지역을 사례로",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4), 2010

      157 김장석, 김준규, "방사성탄소연대로 본 원삼국시대-삼국시대 토기편 년: 중부, 호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韓國考古學報 100, 2016

      158 정수옥, "백제 한성기 국가의례와 의례용기 그리고 음식의 공헌: 풍 납토성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백제문화 63, 2020

      159 안현중, "전북지역 고대 취락의 작물조성: 완주 용흥리,익산 장신 리,부안 백산성유적을 중심으로", 湖南考古學報 45, 2013

      160 Costin , C. L. and T. K. Earle, "Status distinction and legitimation of power as reflected in changing patterns of consumption in late prehistoric Peru", 54 ( 4 ) : 691-714 ., 1989

      161 춘천, "춘천 중도동유적: 춘천 중도 LEGOLAND KOREA Project A-H 구역 순환구역 내 발굴조사 통합 보고서", 중도동유적 연합발굴조사단, 2020

      162 李南珪, "백제 철기의 생산과 유통에 대한 시론, 생산기술의 발달 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학연문화사, 2008

      163 한신, "龍仁 古林洞 原三國 百濟 聚落: 용인 고림동 735번지 아파트건립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大學校博物館, 2018

      164 이성주, "漢城百濟 形成期 土器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系의 變動: 實用土器 生産의 專門化에 대한 檢討", 한국상고사학보 71, 2011

      165 심재연, "한성백제기 북한강유역 진출 양상, 華川 源川里遺蹟: 화 천 원천리 2지구 유물산포지내 발굴조사보고서", 예맥문화재연구원, 2013

      166 신지영, 이준정, "인골 추출 콜라겐의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을 통해 본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식생활", 한국고 고학보 70, 2009

      167 김성남, "백제 漢城期 편년의 현상과 성찰, 쟁점, 중부지역 원삼 국시대~한성백제기 물질문화 편년(제11회 매산기념강좌 자료집",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14

      168 한지선, "한강을 통한 백제 정치적 영역확장, 정치적 공간으로서 의 한강Ⅰ: 2009년도 서울경기고고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서울경기고고학회,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