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기반으로 미술 교과의 역할에 주목하면서, 미술 감상과 정서적 의사소통의 관련성을 찾은 데에서 출발했다. 정서적 의사소통은 ‘말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17518
청주시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술교육학과초등미술교육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372.52 판사항(22)
충청북도
ⅸ, 160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동영, 김윤화
참고문헌 : p.p.129-13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기반으로 미술 교과의 역할에 주목하면서, 미술 감상과 정서적 의사소통의 관련성을 찾은 데에서 출발했다. 정서적 의사소통은 ‘말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기반으로 미술 교과의 역할에 주목하면서, 미술 감상과 정서적 의사소통의 관련성을 찾은 데에서 출발했다. 정서적 의사소통은 ‘말로써 감정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말투나 말을 하는 행동, 표정으로부터 느껴지는 감정을 읽는 민감성’과 나의 감정이나 다른 사람의 ‘감정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가지고 대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서적 의사소통’의 개념을 자기의 감정이나 생각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자기표현’을 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말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면서 주의집중 하는 ‘경청’을 하며,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을 존중하는 ‘감정조절’을 하면서 대화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 본 논문에서의 미술 감상이란 간단한 정서표현이나 지적 이해라는 소극적 행위에 그치지 않고, 감상자의 주체의식과 가치관에 따라 대상을 해석하며 나아가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창조할 수 있는 적극적인 예술 체험활동이다.
미술 감상은 정서적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적극적인 체험이며,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해 미술 감상에서의 상호작용이 극대화되는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미술 비평의 영향을 받아 미술 감상은 언어로 표현하는 활동이 포함되며, 미술 감상은 작품을 매개로 자기 자신 ‧ 다른 사람 ‧ 미술 작품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영역이다. 정서적 의사소통을 활용한 초등미술 감상지도는 언어발달과 함께 대인관계가 확장되는 초등학생들의 정서적 의사소통 방식의 개선에 유익하며,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해 가치나 해석의 재창조가 일어나는 미술 감상에도 가치 있는 연구임에 틀림없다.
연구자는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한 미술 감상연구가 지속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미술 감상에 대한 흥미와 미술 감상을 통한 앎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함에 주목하였다. ‘나’를 중심으로 한 정서적 의사소통을 활용한 감상수업은 일방적인 전달식 수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춰주고 교과에 대한 흥미와 앎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며, 이는 학생이 수업 후에도 미술 감상을 스스로, 즐겁게, 지속적으로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미술 감상에 대한 흥미와 미술 감상을 통한 앎의 즐거움’을 위해 다양한 감상자의 주체적 해석을 중시하는 미술 감상의 특성을 기반으로, ‘정서적 의사소통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미술 감상지도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 및 교육과정 ‧ 교과서 분석을 통해 ‘해석의 다의성, 이야깃거리가 있는 소재, 정서적 의사소통의 기회 제공’을 미술 감상 지도방향으로 선정하였으며, 사전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해 이를 재확인하였다. 선행연구 및 감상 지도방향을 기본으로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한 감상 모형과 그 단계에 따른 주요 발문을 구성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지도안을 작성하여 대전OO초등학교 6학년의 한 학급에서 총 200분간 세 번의 미술 감상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관찰 ‧ 녹화하고, 설문지 및 인터뷰한 내용을 ‘미술 감상에 대한 흥미’, ‘미술 감상을 통한 앎의 즐거움’의 관점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한 초등미술 감상지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한 미술 감상수업에서 학생들은 흥미를 느껴 적극적인 태도 및 정서적 의사소통 참여율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미술 감상 자체에 대한 흥미와 관심으로 발전하였다. 학생들은 연구자가 설정한 지도방향에 따라 설계한 수업에서 흥미를 느껴 적극적으로 자기표현, 경청, 감정조절을 하며 의사소통하였다. 여기에서 더 발전하여, 학생들은 미술 감상 자체에 흥미를 가지게 되면서 미술관에 가고 싶고 미술 작품에 대해 더 알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미술 감상수업에서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해 작품에 대해 깊이 사고하고 생각의 변화를 느끼면서 앎의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다. 학생들은 또래로부터 영향을 받아 생각의 변화를 겪은 경험이 없으며, 어른들로부터 전달받은 지식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미술 감상수업에서 정서적 의사소통은 학생들이 작품에 대해 깊게 생각하고, 작품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게 하였으며,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한 자신의 생각의 변화가 깨달음의 즐거움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런 경험을 통해 대부분의 학생들은 미술 감상에서 정서적 의사소통이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그 외에도 정서적 의사소통을 통한 미술 감상을 통해 학생들은 정서적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술표현에서 오는 좌절감에서 벗어나 미술 감상을 포함한 미술 자체에 대한 자신감과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정서적 의사소통 및 미술 감상에 대한 연구, 개별 학습자에 주목하는 연구, 교과에 대한 흥미와 앎의 즐거움을 자극하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가 초등미술교육 전공자 및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유용하게 쓰이기를 소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