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57666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2.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Developing an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 형태사항

        vi, 165 p. : 삽도,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113-11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평가척도의 구체적인 활용목적은, 기존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안전평가를 통한 보육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준을, 그리고 신규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시설 설치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기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안전 보육환경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평가척도 초안이 마련되었으며, 보육, 건강, 안전 관련 전문가(10명)의 자문에 의하여 217개의 문항을 가진 1차안이 개발되었다. 이어 전문가 집단(51명)의 의견수렴과 타당성 검증을 통해 16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2차안이 마련되었다. 2단계는 현장방문과 자기보고 방식의 두 가지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2차안의 현장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3단계는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의 최종안이 개발되었으며, 안전 위험수준을 고려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는 환경과 관리적 측면, 물리적 및 인적 측면 등의 두 차원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두 차원에서 구성되는 안전 보육환경은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 안전관리와 건강관리의 4개영역으로 구분되며, 평가척도의 최종안은 4개영역과 1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총 166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물리적 환경(총 72문항)은 일반적 환경(23문항), 실외환경(9문항), 실내환경(37문항)과 차량환경(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물리적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및 보수를 강조하는 안전관리(총 41문항)는 시설종사자에 의한 실내?외 환경의 일일안전점검(19문항)과 정기안전점검(2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인적 환경(총 21문항)은 보육시설의 종사자와 영유아, 그리고 부모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실천을 강조하는 부분으로, 인적구성(3문항), 안전교육(6문항), 영유아 안전감독(9문항), 영유아 학대예방(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즉각적인 안전위험은 아니지만 소홀히 하였을 때 인적 구성원들의 건강을 해침으로써 간접적인 또는 잠재적인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건강관리 영역(총 32문항)은 건강보호(11문항), 위생(17문항), 영양(4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166문항으로 구성된 평가척도의 현장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현장방문으로 진행된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α=.97, 자기보고로 진행된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α=.94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안전수준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안전점검뿐 아니라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인적 환경이나 안전관리 및 건강관리에 대해서도 보육시설의 안전수준을 포괄적으로 점검할 수 있었다.
      셋째,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를 위험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였다. 직접적, 즉각적 위험수준인 A 등급(117문항)과 직접적, 비즉각적(잠재적) 위험수준인 B 등급(34문항), 그리고 간접적, 비즉각적(잠재적) 위험수준인 C 등급(15문항)으로 최종안을 분류하여 세 가지 방안으로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 안전 보육환경의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과 법적 뒷받침, 전국의 보육시설에 대한 안전 보육환경 평가실시, 그리고 보육시설에서의 영유아 안전과 건강을 옹호하기 위한 범국민적인 캠페인 전개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평가척도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시설의 안전 보육환경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평가척도의 구체적인 활용목적은, 기존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안전평가를 통한 보육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준을, 그리고 신규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시설 설치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기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안전 보육환경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평가척도 초안이 마련되었으며, 보육, 건강, 안전 관련 전문가(10명)의 자문에 의하여 217개의 문항을 가진 1차안이 개발되었다. 이어 전문가 집단(51명)의 의견수렴과 타당성 검증을 통해 16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2차안이 마련되었다. 2단계는 현장방문과 자기보고 방식의 두 가지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2차안의 현장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3단계는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의 최종안이 개발되었으며, 안전 위험수준을 고려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는 환경과 관리적 측면, 물리적 및 인적 측면 등의 두 차원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두 차원에서 구성되는 안전 보육환경은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 안전관리와 건강관리의 4개영역으로 구분되며, 평가척도의 최종안은 4개영역과 1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총 166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물리적 환경(총 72문항)은 일반적 환경(23문항), 실외환경(9문항), 실내환경(37문항)과 차량환경(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물리적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및 보수를 강조하는 안전관리(총 41문항)는 시설종사자에 의한 실내?외 환경의 일일안전점검(19문항)과 정기안전점검(2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인적 환경(총 21문항)은 보육시설의 종사자와 영유아, 그리고 부모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실천을 강조하는 부분으로, 인적구성(3문항), 안전교육(6문항), 영유아 안전감독(9문항), 영유아 학대예방(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즉각적인 안전위험은 아니지만 소홀히 하였을 때 인적 구성원들의 건강을 해침으로써 간접적인 또는 잠재적인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건강관리 영역(총 32문항)은 건강보호(11문항), 위생(17문항), 영양(4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166문항으로 구성된 평가척도의 현장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현장방문으로 진행된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α=.97, 자기보고로 진행된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α=.94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안전수준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안전점검뿐 아니라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인적 환경이나 안전관리 및 건강관리에 대해서도 보육시설의 안전수준을 포괄적으로 점검할 수 있었다.
      셋째, 안전 보육환경 평가척도를 위험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였다. 직접적, 즉각적 위험수준인 A 등급(117문항)과 직접적, 비즉각적(잠재적) 위험수준인 B 등급(34문항), 그리고 간접적, 비즉각적(잠재적) 위험수준인 C 등급(15문항)으로 최종안을 분류하여 세 가지 방안으로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 안전 보육환경의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과 법적 뒷받침, 전국의 보육시설에 대한 안전 보육환경 평가실시, 그리고 보육시설에서의 영유아 안전과 건강을 옹호하기 위한 범국민적인 캠페인 전개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model to asses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develop a comprehensive assessment scale based on this model. In detail, the goal of using this assessment scale was to provide standar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in existing child care centers, and to provide standards to follow in building and operating new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proceeded in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a model to asses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Based on these reviews an initial assessment scale with 217 items was designed following careful reviews by 10 specialists working in the field of child care, health, and safety. It was then modified to have 166 items after validity assessments and the suggestions made by 51 specialists working in the field of child care, health, and safety. In the second step, the degree to which this revised scale could be applied in the field was measured by using on-site inspections and self-evaluations of participating child care centers. In the third step, the final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was developed and how to use it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levels of risk factors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covered environmental, managerial, physical, and human aspects. The final assessment scale consisted of 166 items, selected from 4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The items pertain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included ones regarding general environment (23 items), outdoor environment (9 items), indoor environment (37 items), and vehicle environment (3 items). The items pertaining to the regular mainten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covered daily safety inspections of the in-and-out-door environment (19 items) and regular safety inspections (22 items) by staff members. The items pertaining to human environment, which emphasiz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safety by staff members at child care centers,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vered staff members (3 items), safety education (6 items), safety supervision of young children (9 items),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3 items). The items pertaining to health management, which rather indirectly and potentially affected the safety of all people involved when neglected, covered health protection (32 items), sanitization (17 items), and nutrition (4 items).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scale that consisted of 166 items was very high. Its reliability based on on-site inspections was =.97, while the reliability based on self-evaluations was =.94. This study, which assessed the level of safety, covered human environment, safety management and health management, which had never been comprehensively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he physical environment.
      Third, the applicability of this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grouping its items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risk factors involved in the child care centers: direct and immediate risk factor group (Group A with 117 items), direct and mediate (potential) risk factor group (Group B with 34 items), and indirect and mediate (potential) risk factor group (Group C with 15 item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of (1) legislating for safety laws and improving the policies toward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2) assessing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all child care centers, and (3) conducting a national campaign to protect the safety and health of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model to asses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develop a comprehensive assessment scale based on this model. In detail, the goal of using this assessment scale was to provide 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model to asses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develop a comprehensive assessment scale based on this model. In detail, the goal of using this assessment scale was to provide standar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in existing child care centers, and to provide standards to follow in building and operating new child care centers.
      This study proceeded in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a model to asses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Based on these reviews an initial assessment scale with 217 items was designed following careful reviews by 10 specialists working in the field of child care, health, and safety. It was then modified to have 166 items after validity assessments and the suggestions made by 51 specialists working in the field of child care, health, and safety. In the second step, the degree to which this revised scale could be applied in the field was measured by using on-site inspections and self-evaluations of participating child care centers. In the third step, the final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was developed and how to use it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levels of risk factors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covered environmental, managerial, physical, and human aspects. The final assessment scale consisted of 166 items, selected from 4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The items pertain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included ones regarding general environment (23 items), outdoor environment (9 items), indoor environment (37 items), and vehicle environment (3 items). The items pertaining to the regular mainten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covered daily safety inspections of the in-and-out-door environment (19 items) and regular safety inspections (22 items) by staff members. The items pertaining to human environment, which emphasiz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safety by staff members at child care centers,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vered staff members (3 items), safety education (6 items), safety supervision of young children (9 items),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3 items). The items pertaining to health management, which rather indirectly and potentially affected the safety of all people involved when neglected, covered health protection (32 items), sanitization (17 items), and nutrition (4 items).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scale that consisted of 166 items was very high. Its reliability based on on-site inspections was =.97, while the reliability based on self-evaluations was =.94. This study, which assessed the level of safety, covered human environment, safety management and health management, which had never been comprehensively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he physical environment.
      Third, the applicability of this assessment scale for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grouping its items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risk factors involved in the child care centers: direct and immediate risk factor group (Group A with 117 items), direct and mediate (potential) risk factor group (Group B with 34 items), and indirect and mediate (potential) risk factor group (Group C with 15 item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of (1) legislating for safety laws and improving the policies towards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child care centers, (2) assessing safe child care environment in all child care centers, and (3) conducting a national campaign to protect the safety and health of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