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 폭식행동 간의 구조적인 인 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여고생 450명을 대상으로 폭식행동, 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00738
2015
-
373
KCI등재
학술저널
545-565(21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 폭식행동 간의 구조적인 인 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여고생 450명을 대상으로 폭식행동, 스...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 폭식행동 간의 구조적인 인 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여고생 450명을 대상으로 폭식행동,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434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SPSS 21.0과 AMOS 20.0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 의 스트레스는 폭식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자비는 부적, 우울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넷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 비와 우울은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여고생들의 폭 식행동 발생 감소를 위해 자기자비적 태도를 함양하고 우울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binge eating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34 students were selected from 7 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binge eating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34 students were selected from 7 female high schools in Seoul. Stress Scale, Self-Compassion Scale, Depression Scale, Binge Eating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 21.0 and AMOS 20.0.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stress dosen t have a direct effect, but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have a direct effect on binge eating. self-compassion has a positive effect and depression has a negative effect on binge eating. Second, it is found that stress don t have a direct effect on binge eating, but has a positive indirect effect through self-compassion. Third, it is found that stress don t have a direct effect on binge eating, but has a positive indirect effect through depression. Therefore, effective counselling strategies to reduce female high school student s binge eating who have no choice but not to face stress are required to improve self-compassion and reduce depression. Consequently, it means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is very important to reduce binge eat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의,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023-1044, 2008
2 김미리혜, "폭식행동의 이해" 한국심리학회 27 (27): 605-619, 2008
3 김준기, "폭식증의 인지행동치료" 8 (8): 23-41, 1997
4 이연희, "폭식 행동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5 오지영, "체형 및 체중의 과대평가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신체불만족을 매개로 하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신실, "청소년의 애착유형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7 전 민,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8 김재엽, "청소년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99-126, 2013
9 이우경,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0 교육과학기술부, "제 5차(2009)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통계" 질병관리본부 2009
1 김경의,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023-1044, 2008
2 김미리혜, "폭식행동의 이해" 한국심리학회 27 (27): 605-619, 2008
3 김준기, "폭식증의 인지행동치료" 8 (8): 23-41, 1997
4 이연희, "폭식 행동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5 오지영, "체형 및 체중의 과대평가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신체불만족을 매개로 하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신실, "청소년의 애착유형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7 전 민,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8 김재엽, "청소년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99-126, 2013
9 이우경,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0 교육과학기술부, "제 5차(2009)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통계" 질병관리본부 2009
11 김진선, "정서조절전략이 폭식행동경향이 높은 여대생의 사회적 배척에 대한 정서반응과 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12 주종현, "정서조절방략과 지각된 부모양육 태도가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13 문은주, "정서인식명료성과 정신건강의 관계 :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2
14 최호영, "정서강도와 정서 인식의 명확성이 여고생의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회피적 정서조절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5 오지원, "자존감과 고독감 및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폭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16 고은정, "자기자비와 자존감이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시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17 유연화,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0 (10): 43-59, 2010
18 조용래, "자기 자비 대 주의분산 처치와 특질 자기 자비가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30 (30): 707-726, 2011
19 박혜린,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 우울 및 불안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20 김혜은,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511-524, 2003
21 윤화영, "여대생의 폭식행동, 우울 및 귀인양식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7
22 吳淑賢, "여대생의 섭식장애행동과 부모와의 애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23 안귀여루, "여고생의 스트레스 경험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19 (19): 213-220, 2011
24 두금주,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 자기효능감과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2
25 권정은, "스트레스가 폭식에 미치는 영향 : 우울 및 자기조절효능감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26 김현순, "스트레스, 절망, 우울과 자살생각간의 구조적 관계 : 노인과 청소년의 차이 비교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27 유지혜,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8 김혜은, "수용전념치료(ACT)에서 과정변인이 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3 (33): 429-458, 2014
29 김정안, "성인애착과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충동성과 감정표현불능성향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30 하진의, "성인 애착 불안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반추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1 김정욱, "섭식 장애 : 날씬한 몸매를 위한 철저한 투쟁" 학지사 2000
32 소원현, "부정적인 정서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33 오현미, "부모의 양육방식과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 : 자기자비의 역할"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4 박선영, "병사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괴롭힘 피해경험과 우울의 관계: 자기 자비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3691-3707, 2013
35 박태영, "근거이론을 활용한 폭식장애 여대생의 경험에 대한 사례분석" 한국상담학회 6 (6): 93-107, 2005
36 헬스조선, "계속 먹어라 명령하는 뇌. 폭식도 정신질환"
37 Germer, C. K., "The mindful path to self-compassion: Freeing yourself from destructive thought and emotion" Guilford Press 2009
38 Neff, K. 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2 : 223-250, 2003
39 Heine, S. J.,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self-enhancement. An examination of group-serving biases" 72 : 1268-1284, 1997
40 Hawkins, R. C., "The binge purge syndrome: Diagnosis, treatment, and research" Springer 1984
41 Green, C. G., "Stress-induced eating" 115 : 444-464, 1994
42 Kessler, R.,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 Stress, social support, coping processes" 36 (36): 531-572, 1985
43 Allen, A., "Self-compassion, stress and coping" 4 (4): 107-118, 2010
44 Neff, K. D., "Self-compassion versus global self-esteem : Two different ways of relation to oneself" 77 : 23-50, 2009
45 Lee, W. K., "Self-compassion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psychological health in Korean cyber university students" 54 : 899-902, 2013
46 Leary, M. R.,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 :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92 : 887-904, 2007
47 Neff, K. D.,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9 : 225-240, 2010
48 Neff, K. D.,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41 : 139-154, 2007
49 Barnard, L. K., "Self-Compassion : Conceptualizations, Correlates, & Intervention" 15 (15): 289-304, 2011
50 Adams, C. E., "Promoting self-compassionate attitudes toward eating among restrictive and guilty eaters" 26 (26): 1120-1144, 2007
51 Hayes, S. C., "Mindfulness : Method and process" 10 : 161-165, 2003
52 Silver, R. L., "Human helplessness: Theory and Applications" 279-375, 1980
53 Bolger, N., "Effects of daily stress on negative mood" 57 (57): 308-318, 1989
54 Polivy, J., "Effects of anxiety on eating: Does palatability moderate distress-induced overeating in dieters?" 103 (103): 505-510, 1993
55 Heatherton, T. F., "Effect of Physical threat and ego threat on eating behavior" 60 : 38-43, 1991
56 Huon, G. F., "Dieting, binge eating and some of their correlates among secondary school girls" 15 : 150-164, 1994
5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58 Gilbert, P., "Compassionate mind training for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19 : 353-379, 2006
59 Gilbert, P., "Compassion: Conceptualisations, research and use in psychotherapy" Brunner-Routledge 9-74, 2005
60 Heatherton, T. F., "Binge eating as escape from self-awareness" 110 (110): 86-108, 1991
61 이영호, "BDI, SDS, MMPI-D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10 (10): 98-113, 1991
62 Hansel, S. L., "Apprasial and strategies in stressful situation : A comparison of individuals who binge eat and controls" 21 (21): 89-93, 1997
63 Herman, C. P., "Anxiety, restraint, and eating behavior" 84 : 666-672, 1975
64 Deaver, C. M., "An evaluation of affect and binge eating" 27 (27): 578-599, 2003
유아교육기관의 ‘교실’과 ‘바깥놀이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은유분석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기효능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