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어 학습자들의 ChatGPT 수용 및 거부 의도 분석: AIDUA 모델 기반 = An Analysis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Acceptance and Rejection Intentions toward ChatGPT: Based on the AIDUA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539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foreign language learners’ acceptance and rejection intentions of ChatGPT, based on the Artificially Intelligent Device Use Acceptance (AIDUA) model.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s how learners’ cognitive appraisals and emotional responses affect their intentions to accept or reject the use of generative AI in language 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92 learners who had prior experience using ChatGPT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influence and hedonic motiv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both performance expectancy and effort expectancy, while perceived humanness significantly affects effort expectancy. Moreover, learners’ emotional responses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in explaining both acceptance and rejection of ChatGPT. These findings empirically support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generative AI tools and off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ersonalized foreign language learning services that reflect learners’ emotions and motiv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foreign language learners’ acceptance and rejection intentions of ChatGPT, based on the Artificially Intelligent Device Use Acceptance (AIDUA) model.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foreign language learners’ acceptance and rejection intentions of ChatGPT, based on the Artificially Intelligent Device Use Acceptance (AIDUA) model. In particular, the study investigates how learners’ cognitive appraisals and emotional responses affect their intentions to accept or reject the use of generative AI in language 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92 learners who had prior experience using ChatGPT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influence and hedonic motiv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both performance expectancy and effort expectancy, while perceived humanness significantly affects effort expectancy. Moreover, learners’ emotional responses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in explaining both acceptance and rejection of ChatGPT. These findings empirically support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generative AI tools and off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ersonalized foreign language learning services that reflect learners’ emotions and motiv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수용 모형(AIDUA: Artificially Intelligent Device Use Acceptance Model)을 바탕으로, 외국어 학습자의 ChatGPT 수용 및 거부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학습자의 인지적 평가와정서적 반응이 수용 혹은 거부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ChatGPT를 활용한 외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학습자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회적 영향과 쾌락적 동기는 성과 기대 및 노력 기대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인간성은 노력 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습자의 정서적 반응은ChatGPT의 수용과 거부를 모두 설명하는 핵심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성형인공지능 도구의 교육적 잠재력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며, 학습자의 감정과 동기를 반영한맞춤형 외국어 학습 서비스 개발에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수용 모형(AIDUA: Artificially Intelligent Device Use Acceptance Model)을 바탕으로, 외국어 학습자의 ChatGPT 수용 및 거부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수용 모형(AIDUA: Artificially Intelligent Device Use Acceptance Model)을 바탕으로, 외국어 학습자의 ChatGPT 수용 및 거부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학습자의 인지적 평가와정서적 반응이 수용 혹은 거부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ChatGPT를 활용한 외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학습자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회적 영향과 쾌락적 동기는 성과 기대 및 노력 기대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인간성은 노력 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습자의 정서적 반응은ChatGPT의 수용과 거부를 모두 설명하는 핵심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성형인공지능 도구의 교육적 잠재력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며, 학습자의 감정과 동기를 반영한맞춤형 외국어 학습 서비스 개발에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