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정하는 장애의 범주는 과거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정신 지체 5개에서 2000년 1월 1일부터 10개로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 자폐, 정신, 신장, 심장장애이다. 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862786
구미 :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4
학위논문(석사) --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 2005. 2
2004
한국어
338.3 판사항(4)
경상북도
[249]-266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2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보건복지부가 정하는 장애의 범주는 과거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정신 지체 5개에서 2000년 1월 1일부터 10개로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 자폐, 정신, 신장, 심장장애이다. 또...
보건복지부가 정하는 장애의 범주는 과거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정신 지체 5개에서 2000년 1월 1일부터 10개로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 자폐, 정신, 신장, 심장장애이다. 또한 2003년 7월 1일부터는 안면변형, 장루, 간, 간질, 호흡기 장애가 추가 되어 15개의 범주로 나뉜다.
이렇게 많은 장애유형에 따라 각기 알맞은 장애인 복지시책이 시행되고 있는 반면에 뇌병변, 자폐, 정신지체, 언어장애는 과거 정신지체에 포함되어 있을 때와 별 차이가 없는 복지정책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복지정책의 수립과 복지서비스의 시행은 주로 장애인 자신들의 복지욕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신지체인들은 자신의 권리조차도 표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신지체인 가족들의 욕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과거 정신지체인에 대한 일반의 인식이 부정적이었던 시기에는 정신지체인에 대한 복지정책이 주로 지역사회와 격리된 생활시설에 입소시키는 것이었다. 정신지체인 가족마저도 정신지체자녀의 노출을 꺼려하고 가족과 격리시키려는 경향이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신지체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고, 정신지체인을 당당한 권리의 주체로 인정하게 되면서 정신지체인 복지정책에도 큰 변화를 가져 왔다. 정신지체인 복지정책이 탈 시설화를 통한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과거 수용시설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의 이용시설이 확충되고 있다. 특히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주간보호서비스는 정신지체인 자신은 물론 그 가족을 위한 현실적이고도 중요한 정신지체인 복지정책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신지체아동 주간보호서비스의 질적측면을 고려해 볼 때 개선해야 할 부분이 아직도 많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동 주간보호서비스의 질적향상을 위하여 현재 안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함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