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수준과 직무스트레스 증상)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74436
서울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간호관리와교육 , 2009. 2
2009
한국어
서울
63장 : 삽도 ; 26 cm
지도교수: 이태화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수준과 직무스트레스 증상)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간...
본 연구는 간호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직무스트레스수준과 직무스트레스 증상)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간호조직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연구 자료는 2008년 11월1일부터 11월25일까지 서울 소재 4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중간관리자 14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도구는 장세진과 고상백(2004)에 의해 개발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 KOSS), 한광현(1992)의 직무스트레스증상 측정도구, 일 병원 중간관리자 역량 평가 도구(2007)를수정 보완한 직무성과 측정도구, Karasek 등(1982)의 사회적 지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SAS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간호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 사회적 지원간의 관계는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고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는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중간관리자가 인지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 총점은 160점 만점에 102.15점(± 11.63점), 직무스트레스 증상은 100점 만점에 36.37점(±11.39점)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총점 130점 기준으로 100.36점(±10.88점), 사회적 지원은 총점 40점 기준으로 27.16점(±5.22점)이었다.2. 중간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수준은 근무병원의 형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증상은 중간관리자경력, 관리병상 수, 현 근무부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무성과는 중간관리자경력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3. 간호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증상도 높아졌으며 직무성과는 낮아졌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증상이 높을수록 직무성과는 낮아졌으며, 사회적 지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직무스트레스 증상은 낮아졌고 직무성과는 높아졌다. 그러나 사회적 지원 중 상사의 지원이 높아져도 직무성과는 높아지지 않았으나 동료의 지원이 높으면 직무성과도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4. 사회적지원은 직무스트레스수준과 직무성과 관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의 지원과 동료의 지원이 모두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동료의 지원이 더 강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 증상과 직무성과 관계에서도 상사의 지원보다 동료의 지원이 강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간호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는 밀접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사회적 지원은 이들 간에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중간관리자가 직무스트레스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직무관련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사회적 지원 중 동료의 지원이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더 강한 영향이 있으므로 더욱 긴밀한 동료 간의 협조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조직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간호중간관리자의 경력이 가장 낮은 군이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증상을 가장 높게, 직무성과는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간호중간관리자의 경력이 낮은 군에 대한 상사의 지원 및 조직의 배려와 관심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