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ttainment standard related to ‘drama/theatre’ which is suggested by 2015 revised curriculum of ‘Korean’ subject is ‘to express pupils’ experiences through ‘drama./theatre form’. Besides, the explanation of attainment standard sugg...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ttainment standard related to ‘drama/theatre’ which is suggested by 2015 revised curriculum of ‘Korean’ subject is ‘to express pupils’ experiences through ‘drama./theatre form’. Besides, the explanation of attainment standard sugg...
The attainment standard related to ‘drama/theatre’ which is suggested by 2015 revised curriculum of ‘Korean’ subject is ‘to express pupils’ experiences through ‘drama./theatre form’. Besides, the explanation of attainment standard suggests another condition:the drama/theatre form should be used as a learning tool for other subjects. In order for pupils to experience drama/theatre by way of drama/theatre form and for those forms to be employed in other subjects, this study suggest to re-define drama/theatre forms. This study offers ‘dramatic form’ as drama/theatre forms. Dramatic form is the outcome of the integration of drama and theatre and this form is already used as a main principle in Australian national curriculum of drama/theatre. This study provides nine dramatic forms which are human context, role(attitude, objective-counter objective), constraints and tension, language and movement, focus and narrative, story and plot, mood, time and dramatic meaning. These forms can be flexibly used role-play, dramatic play and improvisational drama.
In the era of the integration of drama and theatre, dramatic form can be a good example to integrate both and this study hopes to bring about more discussions about the integration.
국문 초록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의 연극단원과 관련하여 제시된 성취기준은 ‘경험을 극의 형식으로 표현하기’이다. 또한 성취기준 해설은 극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활동이 다른 교과 학습의 도...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의 연극단원과 관련하여 제시된 성취기준은 ‘경험을 극의 형식으로 표현하기’이다. 또한 성취기준 해설은 극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활동이 다른 교과 학습의 도구가 되도록 제안한다. ‘극의 형식으로 표현하기’라는 직접적 연극 체험과 다른 교과 학습의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성취기준이 제시하는 ‘극의 형식’에 대한 재규정이 필요함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드라마(drama)와 씨어터(theatre)에서 서로공유하는 드라마 형식(dramatic form)을 극의 형식으로 규정할 것을 제안한다. 드라마와 씨어터를 통합하는 시도는 이미 영국과 호주에서 이루어졌으며, 호주의 경우, 드라마 형식(dramatic form)을 연극교육과정의 중요한 요소로 삼고있다. 본 연구는 연극 관련 성취기준이 제시하는 ‘극의 형식’을 ‘드라마 형식’ 으로 규정할 것을 제안하면서, 드라마 형식으로서 Haseman and O’Toole(1989, 2017)의 드라마 형식과 Davis(2014)의 드라마 형식을 비교, 분석, 종합한 9가지요소를 제안한다. 그 9가지 요소는 드라마적 상황(5W), 역할(태도, 목적과 반목적), 억제와 긴장, 언어와 움직임, 초점과 내러티브, 스토리와 플롯, 분위기, 시간, 드라마적 의미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심, "초․중등 연극 교육의 현황과 발전적 제언"
2 교육부, "제2015-80호 [별책 2]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의 부칙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3 O’Toole, J., "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Arts and Education" Routledge 186-187, 2015
4 ACARA, "The Australian Curriculum:The Arts Vesrion 6.0 dated Tuesay 18 February, 2014"
5 Fleming, M., "The Art of Drama Teaching" Routledge 1997
6 Lewis, M., "Teaching Drama and Theatre:Practical Projects for Secondary Schools" routledge 2005
7 Neelands, J., "Structuring Drama 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8 Fleming, M., "Starting Drama Teaching" Routledge 2017
9 Pascoe, R., "Perspectives on drama teacher education, Australia" 11 (11): 126-158, 2012
10 Davis, D., "Imagining the Real:Towards a New Theory of Drama in Education" Trentham Books 2014
1 이연심, "초․중등 연극 교육의 현황과 발전적 제언"
2 교육부, "제2015-80호 [별책 2]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의 부칙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3 O’Toole, J., "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Arts and Education" Routledge 186-187, 2015
4 ACARA, "The Australian Curriculum:The Arts Vesrion 6.0 dated Tuesay 18 February, 2014"
5 Fleming, M., "The Art of Drama Teaching" Routledge 1997
6 Lewis, M., "Teaching Drama and Theatre:Practical Projects for Secondary Schools" routledge 2005
7 Neelands, J., "Structuring Drama 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8 Fleming, M., "Starting Drama Teaching" Routledge 2017
9 Pascoe, R., "Perspectives on drama teacher education, Australia" 11 (11): 126-158, 2012
10 Davis, D., "Imagining the Real:Towards a New Theory of Drama in Education" Trentham Books 2014
11 Haseman, B., "Dramawise:An Introduction to the Elements of Drama" Heinemann 1989
12 Haseman, B., "Dramawise reimagined:Learning to manage the elements of drama" Currency Press 2017
13 구민정, "<연극>교과의 정립을 위한 교육과정편성 원리의 지향점 고찰" 한국연극교육학회 28 (28): 5-38, 2016
14 류수열,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논리" 국어교육학회 51 (51): 135-159, 2016
15 김수연,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창의·융합 형 인재 양성과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연극의 활용 방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33-61, 2016
16 김주연,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연극’단원의 구성 방향: 드라마(drama)와 씨어터(theatre)의 통합에 기반을 둔 드라마 예술 형식" 초등교육연구원 28 (28): 49-66, 2017
텍스트 타자와 독자 자아-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을 중심으로-
학교문화가 초등학생의 국어적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D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종성 비음 지각 양상 연구 -중국어와 베트남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1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 ![]() |
2013-12-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1.479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