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옌 장편소설 작품에 나타나는 고향 공간의 의미 ―《붉은 수수 가족》과 《풀 먹는 가족》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Hometown Space in Moyan's Novel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23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옌은 라틴 아메리카의 마술적 리얼리즘 사조의 영향을 받아서 그만의 독특한 문학공간인 가오미 둥베이향을 창조하였다. 모옌의 실제 고향이었기도 한 가오미 둥베이향은 모옌의 원향과 애향의 감정이 담겨 있는 농촌 공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학 공간 가오미 둥베이향이 어떠한 의미를 보여주는 공간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가오미 둥베이향이 이상향의 공간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모옌의 가오미 둥베이향은 양가적 속성을 지닌 이중적 공간이다. 다음으로는 고향 땅 가오미 둥베이향이 작품 속의 화자 ‘나’가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러 도시에서 돌아가는 고향 회귀의 땅이라는 점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고향 땅 가오미 둥베이향이 집단 무의식을 반영한 영웅 인물 원형이 살아 숨쉬는 공간이라는 점을 알아본다.
      이러한 모옌 작품의 고향 땅에 대한 분석은 모옌의 장편소설 중에서 고향 회귀를 잘 보여주는 《붉은 수수 가족》과 《풀 먹는 가족》을 중심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번역하기

      모옌은 라틴 아메리카의 마술적 리얼리즘 사조의 영향을 받아서 그만의 독특한 문학공간인 가오미 둥베이향을 창조하였다. 모옌의 실제 고향이었기도 한 가오미 둥베이향은 모옌의 원향과 ...

      모옌은 라틴 아메리카의 마술적 리얼리즘 사조의 영향을 받아서 그만의 독특한 문학공간인 가오미 둥베이향을 창조하였다. 모옌의 실제 고향이었기도 한 가오미 둥베이향은 모옌의 원향과 애향의 감정이 담겨 있는 농촌 공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학 공간 가오미 둥베이향이 어떠한 의미를 보여주는 공간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가오미 둥베이향이 이상향의 공간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모옌의 가오미 둥베이향은 양가적 속성을 지닌 이중적 공간이다. 다음으로는 고향 땅 가오미 둥베이향이 작품 속의 화자 ‘나’가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러 도시에서 돌아가는 고향 회귀의 땅이라는 점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고향 땅 가오미 둥베이향이 집단 무의식을 반영한 영웅 인물 원형이 살아 숨쉬는 공간이라는 점을 알아본다.
      이러한 모옌 작품의 고향 땅에 대한 분석은 모옌의 장편소설 중에서 고향 회귀를 잘 보여주는 《붉은 수수 가족》과 《풀 먹는 가족》을 중심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fluenced by the trend of magic realism in Latin America, Moyan created his own unique literary space, Gaomi Dongbeihyang. Gaomi Dongbeihyang, which was also Moyan's real hometown, is a rural space that contains Moyan's feelings of distant and affection.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is literary space, Gaomi Dongbeihyang. First of all, we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Gaomi Dongbeihyang is a space of utopia. Next, it analyzes that the narrator “I” in his hometown, Gaomi Dongbeihyang, is the land of return to his hometown, returning from the city to find his identity. Finally, we examine that the hometown, Gaomi Dongbeihyang, is a living and breathing space for the prototype of a hero character reflecting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 analysis of the hometown land of Moyan's works focuses on 《The Red Sorghum Family》 and 《The Grass Eating Family》, which show the return to hometown well among Moyan's novels.
      번역하기

      Influenced by the trend of magic realism in Latin America, Moyan created his own unique literary space, Gaomi Dongbeihyang. Gaomi Dongbeihyang, which was also Moyan's real hometown, is a rural space that contains Moyan's feelings of distant and affect...

      Influenced by the trend of magic realism in Latin America, Moyan created his own unique literary space, Gaomi Dongbeihyang. Gaomi Dongbeihyang, which was also Moyan's real hometown, is a rural space that contains Moyan's feelings of distant and affection.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is literary space, Gaomi Dongbeihyang. First of all, we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Gaomi Dongbeihyang is a space of utopia. Next, it analyzes that the narrator “I” in his hometown, Gaomi Dongbeihyang, is the land of return to his hometown, returning from the city to find his identity. Finally, we examine that the hometown, Gaomi Dongbeihyang, is a living and breathing space for the prototype of a hero character reflecting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 analysis of the hometown land of Moyan's works focuses on 《The Red Sorghum Family》 and 《The Grass Eating Family》, which show the return to hometown well among Moyan's nove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