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1세기 중국 문명국가론이 기반하고 있는 영토·변경의 문제 및 이와 관련된 국제 중국학계의 시각에 대한 성찰을 목표로 한다. 그 출발점으로, 세계에 통용되는 전국시대 장성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2386
이종민 (전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24
Korean
Civilization State ; the Warring States period ; China's War ; Geopolitics of the Wall ; Shiji ; China in Eurasia. ; 문명국가 ; 전국시대 ; 중국의 전쟁 ; 장성의 지정학 ; 《사기》 ; 유라시아 속의 중국 ; 文明國家 ; 戰國時代 ; 中國之戰爭 ; 長城的地政學 ; 《史記》 ; 歐亞大陸中的中國
KCI등재
학술저널
271-300(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1세기 중국 문명국가론이 기반하고 있는 영토·변경의 문제 및 이와 관련된 국제 중국학계의 시각에 대한 성찰을 목표로 한다. 그 출발점으로, 세계에 통용되는 전국시대 장성 지...
본 연구는 21세기 중국 문명국가론이 기반하고 있는 영토·변경의 문제 및 이와 관련된 국제 중국학계의 시각에 대한 성찰을 목표로 한다. 그 출발점으로, 세계에 통용되는 전국시대 장성 지도에서 장성의 위치가 명 장성 북쪽에 있는 의문점을 제기하고, 그로 인해 파생된 중국 영토와 역사 해석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대안 시각을 찾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flect the issue of territory and frontier based on the theory of Chinese civilized state in the 21st century and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tional Chinese academic community related to this. As a starting point, I will raise th...
This study aims to reflect the issue of territory and frontier based on the theory of Chinese civilized state in the 21st century and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tional Chinese academic community related to this. As a starting point, I will raise the question that the position of the wall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s located in the north of the wall in the Ming Dynasty and criticize the problems of the Chinese territory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derived from it, and work on finding alternative perspectives.
모옌 장편소설 작품에 나타나는 고향 공간의 의미 ―《붉은 수수 가족》과 《풀 먹는 가족》을 중심으로
L2 언어 경험에 따른 한국인 학습자의 표준중국어 발음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