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Effect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on leadership: Mediating effect of children re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69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on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4 young children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Scale) adap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Young-hee (1995), the early childhood leadership scale developed by Choi In-soo (2008), and the 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Lee Yeon-sil (2011) were used, and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and analyzed the results. As a result, first, young children's playfulness, leadership, and resilience were higher than average, ranging from 3.42 to 3.65 on a 5-point scale. In order of social spontaneity, leadership was ranked in the order of initiative, sociability, immersion, and sensitivity, and resilience was ranked high in the order of competence elasticity, emotional elasticity, and relational elastic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leadership, playfulness and resilience, and leadership and resili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on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playfulness affects resilience and playfulness affects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develop leadership, a competency demanded by the future society, the play-centered curriculum emphas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ust be faithfully practiced.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that promote resilience and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on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4 young children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located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on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4 young children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Scale) adap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Young-hee (1995), the early childhood leadership scale developed by Choi In-soo (2008), and the 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Lee Yeon-sil (2011) were used, and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and analyzed the results. As a result, first, young children's playfulness, leadership, and resilience were higher than average, ranging from 3.42 to 3.65 on a 5-point scale. In order of social spontaneity, leadership was ranked in the order of initiative, sociability, immersion, and sensitivity, and resilience was ranked high in the order of competence elasticity, emotional elasticity, and relational elastic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leadership, playfulness and resilience, and leadership and resili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on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playfulness affects resilience and playfulness affects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develop leadership, a competency demanded by the future society, the play-centered curriculum emphas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ust be faithfully practiced.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that promote resilience and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2011

      2 이용준 ; 박경자, "탄력적인 아동의 보호요인 연구-아동의 성과 지능, 어머니 양육행동 및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6 (26): 329-345, 2005

      3 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43-162, 2003

      4 김희영,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2019

      5 손지혜,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정서지능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광신대학교 대학원 2019

      6 한미현, "유아의 창의성, 놀이성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7 이수정, "유아의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양육참여도의매개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0

      8 이정은 ; 김경숙,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자기표현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8 (28): 187-203, 2019

      9 이광자, "유아의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또래상호작용과 유아 리더십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10 이하정 ; 탁정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39-61, 2015

      1 김주환, "회복탄력성" 위즈덤하우스 2011

      2 이용준 ; 박경자, "탄력적인 아동의 보호요인 연구-아동의 성과 지능, 어머니 양육행동 및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6 (26): 329-345, 2005

      3 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43-162, 2003

      4 김희영,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2019

      5 손지혜,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정서지능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광신대학교 대학원 2019

      6 한미현, "유아의 창의성, 놀이성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7 이수정, "유아의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양육참여도의매개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0

      8 이정은 ; 김경숙,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자기표현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8 (28): 187-203, 2019

      9 이광자, "유아의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또래상호작용과 유아 리더십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10 이하정 ; 탁정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39-61, 2015

      11 김경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놀이성 및 리더십의 관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2 최미숙 ; 류미지, "유아의 자기 조절력과 놀이몰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 (20): 129-151, 2021

      13 임경임,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사회적 지지, 의사결정력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4 조영숙, "유아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5 최미숙 ; 홍성희 ; 임연자,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 및 놀이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0) : 109-129, 2013

      16 이자윤, "유아의 다중지능과 리더십간의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박은주, "유아의 놀이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2020

      18 이민국, "유아의 놀이성이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9 최미숙 ; 문인정,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231-247, 2020

      20 박정옥,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의 관계" 9 (9): 11-28, 2000

      21 임윤주,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2 김지영 ; 김혜순,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33) : 49-75, 2022

      23 이재은,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4 이영선, "유아의 기질, 자아탄력성, 또래관계, 교사-유아관계가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6

      25 박성아, "유아리더십 친사회적 행동 및 기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26 김애숙, "유아기질이 유아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놀이성 및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중부대학교 대학원 2022

      27 최정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55-71, 2015

      28 김형주, "유아기 자녀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원가족 건강성, 자기분화, 부부갈등의 구조모형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29 허소영,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 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30 이가경, "유아 회복탄력성 검사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31 최선미, "유아 행복과 관련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 기질, 양육효능감,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32 김미선,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3 진다정 ; 이승연, "유아 및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부모의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교육과학연구소 50 (50): 153-177, 2019

      34 최은혜, "유아 리더십과 놀이성,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35 이은진, "유아 대인관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6 백지성, "유아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조선대학교교육대학원 2020

      37 진다정,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한 놀이중심 교육의 이해와 실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20

      38 김지혜,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39 이상은 ; 이주리,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1 (31): 71-85, 2010

      40 우수경,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의 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63-283, 2013

      41 문수영 ; 조영주, "어린이집원장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 유아반 교사의 자율성 지원하기"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61-83, 2020

      42 김효진, "어린이집 원장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교사-부모협력에 관한 실행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43 윤수진,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광신대학교 대학원 2023

      44 김현숙,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5 김해력,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부모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6 金映希, "아동의 놀이성 군(群) 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47 이복동 ; 문혁준, "사회인구학적 변인, 기질과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97-111, 2012

      48 김진영,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대학원 2020

      49 이연실,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73-203, 2011

      50 박정연,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14 (14): 40-57, 2009

      51 이가경,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탄력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2 문성영, "부모의 놀이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2019

      53 김희정 ; 정미지, "부모양육태도가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31) : 47-70, 2021

      54 김희정, "부모변인이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부모코칭역량과 긍정심리자본 및 감정코칭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광신대학교 대학원 2023

      55 권지은,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Ego-Resiliency)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56 이빛나,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2016

      57 박혜원, "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MZ세대성인기 자녀를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58 윤현규, "만 5세반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16

      59 김기영, "또래 상호작용 속에서의 유아리더십" 숙명여자대학교 원격유아교육정보대학원 2006

      60 이현주,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61 김영희, "놀이를 잘하는 아동 특성에 대한 연구" 5 (5): 3-15, 2002

      62 구현주 ; 이진희, "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 및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교육발전연구소 29 (29): 221-241, 2019

      63 이채호 ; 최인수,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3-37, 2008

      64 김미숙, "교사가 지각한 5세 유아의 놀이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5 김지성 ; 김경철,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교사들의 놀이 보기(seeing)의 어려움과 다시 보기를 통한 배움" 한국유아교육학회 41 (41): 231-263, 2021

      66 Goleman, D., "감성의 리더십" 청림출판사 2003

      67 Block, J., "Venturing a 30-year longitudinal study" 61 (61): 315-327, 2006

      68 Fukada, 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sociometic status among preschool children" 158 (158): 481-486, 1997

      69 Barnett, L. A, "The playful child :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4 : 51-74, 1991

      70 Farooqi, S., "The emotionally intelligent school leader : Enhancing adolesc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3 (3): 74-81, 2019

      71 Reivich, K., "The Resilience Factor: 7 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s hurdles" Broadway Books 2002

      72 Masten. A. S.,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Childhood Advers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9, 2003

      73 Lieberman, J. N.,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107 : 219-224, 1965

      74 Nagin, D. S., "Parental and early childhood predictors of persistent physical aggression in boys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58 (58): 389-394, 2001

      75 Oliver, S., "Paly and learning day by day incorporating constructive paly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149 : 62-63, 2003

      76 Masten, A. S., "Ordinary magic :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56 (56): 227-238, 2001

      77 Northouse, P. G.,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2007

      78 Mitchell, A.,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NAEYC 85-96, 1997

      79 Bonstingl, J. J., "Every child is leader" 35 (35): 34-36, 2006

      80 Masten, A. S., "Encyclopedia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entre of Excellence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1-6, 2006

      81 Demir, M., "Encyclopedia of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Research" 2359-2364, 2014

      82 Denham, S. A., "Emotional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preschool peer ratings" 61 (61): 1145-1152, 1990

      83 Bohlin, L. C., "Determinants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dominance strategies during play" Indiana University 2000

      84 Klohnen, E. C., "Conceptual an 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uct of ego-resiliency" 70 (70): 1067-1079, 1996

      85 Garmezy, 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Modern Approaches" Blackwell Scientific.Guilford Press 152-176, 1985

      86 Denham, S. A., "Assess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63 : 37-52, 2009

      87 Walsh, F.,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 :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s" 51 (51): 130-137, 2002

      88 김진숙, "4차 산업혁명 대응 미래교육 Big Picture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6

      89 교육부, "2019 개정누리과정 총론" 교육부 2019

      90 교육부, "2019 개정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교육부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