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1년 유엔묘지 전몰장병 헌정식 - 1950~1951년 임시 유엔묘지의 통합에서 헌정식에 이르는 과정 고찰 - = Dedication Ceremony of the UN Cemetery During the Korean War, 1951 - A Study on the Integration Process from Temporary UN Cemeteries 1950~1951 to the Dedic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41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한국전쟁 70주년과 더불어 2021년은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유엔군 전사자들의 공식 묘지인 재한 유엔기념공원이 조성된 지 7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이러한 기념비적 사건이 교차하는 ...

      2020년 한국전쟁 70주년과 더불어 2021년은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유엔군 전사자들의 공식 묘지인 재한 유엔기념공원이 조성된 지 7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이러한 기념비적 사건이 교차하는 시점에서 유엔기념공원의 위상을 고찰하는 작업은 이 장소의 역사적 함의를 시의 적절하게 되짚어 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전쟁기인 1950년 7월 이후 한반도에 산재하던 임시 유엔묘지의 조성과 통합을 거쳐 현재 유엔기념공원의 전신인 유엔묘지가 1951년 4월에 준공되는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그간 학계에서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던 1951년 4월 6일 유엔묘지 헌정식의 양상을 최초로 자세히 짚어보았다. 임시 유엔묘지의 조성 과정과 본 헌정식에 관해서는 선행연구에서도 다루어진 바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다각도의 멀티 아카이브(multi-archival) 조사를 통해 발굴한 헌정식 관련 문서와 영상사료를 처음으로 교차 분석함으로써 차별화를 두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유엔기념공원은 2030년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앞두고 부산광역시가 추진하고 있는 ‘피란수도 부산유산’의 주요 구성자산 중 하나인 점을 감안할 때 논문에서 제시하는 1951년 헌정식 사료는 향후 세계유산 등재에 필요한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1950년대 유엔묘지 연구의 공백을 보완하고 학술 담론의 외연을 넓히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고가 유엔묘지 건립 70주년을 맞이하는 2021년, 한국전쟁이라는 국제 규모의 군사(軍史)와 대한민국 현대사, 그리고 부산 역사가 중첩되는 교차로를 재점검하고 향후 한반도와 참전국 간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탐색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2021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establishing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UNMCK), the official cemetery of UN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s these monumental events intersect, it would be timely to re-examine the ...

      2021 marks the 70th anniversary of establishing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UNMCK), the official cemetery of UN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s these monumental events intersect, it would be timely to re-examine the status of the UNMCK and reflect on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place.
      This research explores the integration progress of temporary UN graveyards scat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July 1950 to the completion of the Tanggok UN Cemetery in April 1951. I attempted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dedication ceremony of the UN Cemetery held on April 6, 1951, which has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Notably, this study looks into unreleased historical documents and video materials conducted through multi-archival surveys.
      The study thus seeks to fill the research gap of the UN graveyards in the 1950s and expand the scope of academic discourse. Considering that the UN Memorial Cemetery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War-time Capital Busan Heritage” in Busan in preparation for the UNESCO’s World Heritage listing in the 2030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vital for World Heritage listing. This research will also play a consolidating role for the future-oriented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UN allied nations in 2021, commemorat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construction of the UN Cemete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재일, "헤이든 화이트의 서사적 관점으로 본 부산근대문화유산의 가치에 관한 고찰-부산항 제 1부두와 재한유엔기념공원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2020

      2 이정선, "한국전쟁기 유엔묘지에는 왜 미군 전사자가 안장되지 않았는가? - 미군 전사자 유해의 전시 중 동시 송환 정책과 일본 고쿠라(小倉)에서의 신원 확인을 중심으로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0) : 281-310, 2020

      3 "한국에 소년으로 왔다가 사나이가 되어 돌아갔다"

      4 차성환, "참전기념 조형물 도감" 국가보훈처 1996

      5 조성훈, "정전협정 직후 유해교환 성과와 한계 재조명" 한국정치외교사학회 42 (42): 197-225, 2020

      6 강인철, "전쟁과 희생: 한국의 전사자 숭배" 역사비평사 2019

      7 이정선, "유엔묘지에서 재한 유엔기념묘지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1955~1960년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9) : 1-34, 2021

      8 김선미, "국제평화도시의 환상을 넘어: 유엔기념공원과 부산" 선인 2013

      9 우신구, "국제평화도시의 환상을 넘어: 유엔기념공원과 부산" 선인 2013

      10 "世界平和의 守護神 英靈에 길이 冥福 잇스라"

      1 전재일, "헤이든 화이트의 서사적 관점으로 본 부산근대문화유산의 가치에 관한 고찰-부산항 제 1부두와 재한유엔기념공원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2020

      2 이정선, "한국전쟁기 유엔묘지에는 왜 미군 전사자가 안장되지 않았는가? - 미군 전사자 유해의 전시 중 동시 송환 정책과 일본 고쿠라(小倉)에서의 신원 확인을 중심으로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0) : 281-310, 2020

      3 "한국에 소년으로 왔다가 사나이가 되어 돌아갔다"

      4 차성환, "참전기념 조형물 도감" 국가보훈처 1996

      5 조성훈, "정전협정 직후 유해교환 성과와 한계 재조명" 한국정치외교사학회 42 (42): 197-225, 2020

      6 강인철, "전쟁과 희생: 한국의 전사자 숭배" 역사비평사 2019

      7 이정선, "유엔묘지에서 재한 유엔기념묘지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1955~1960년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9) : 1-34, 2021

      8 김선미, "국제평화도시의 환상을 넘어: 유엔기념공원과 부산" 선인 2013

      9 우신구, "국제평화도시의 환상을 넘어: 유엔기념공원과 부산" 선인 2013

      10 "世界平和의 守護神 英靈에 길이 冥福 잇스라"

      11 Lee, Chungsun, "’Moment to be one’: Senses of Place in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University of Leuven 2020

      12 Anders, S. E., "With All Due Honors: A History of the Quartermaster Graves Registration Mission"

      13 이상호, "The Domestic Management and Media Coverage of Fallen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한국학중앙연구원 60 (60): 55-74, 2020

      14 Appleman, Roy,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United States Army in the Korean War (June-November 1950)"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92

      15 Lee, Chungsun, "Other Spaces: Exploring Kyushu as ‘Heterotopia for Humanity’in Japan’s Korean War" 10 (10): 2020

      16 "NARA, RG 111: Records of the Office of the Chief Signal Officer 1860 - 1985, Cpl. Gene La Grone (1951.06.17, SC 370707), "Aerial view of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공중에서 본 유엔묘지]," 사료건 (AUS005_06_04V00 00_231), (원본 소장: NARA, 디지털화 자료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 료관)"

      17 "NARA (복제: 전자자료.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13), 1950~1952, RG 306 Records of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 Record Group)(PS ; Series), Box129, Cemeteries - Korea, United Nations /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Taegu, Korea. Two men replacing plain headboards with crosses on graves in the left cavalry division temporary cemetery 1950.08.25 = 1.”"

      18 "NARA (복제: 전자자료.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05), RG 92 Records of the Office of the Quartermaster General; Record Group (Copies of Unclassified Documents Relating to the QM Corps in the Korean War, 1948~52 ; Series), 소장원본청구기호: 390/8/05/06-07/E.2116K/Box3, Graves Registration thru Brig. Gen. Hastings Folder(2) /Office of the Quartermaster General, 1947, “82. Disposition of United Nations dead in Korea:비망록/MacArthur, Command of General 발신;Commanding General, Eighth Army 수신, 1951.01.08 = 126”, “127. Dedication, United Nations Cemetery:Records, 1951.04.06 = 233”, “127. Dedication, United Nations Cemetery: Records, 1951.04.06 = 234”, “127.2. Dedication of United Nations Cemetery: Records = 236”, “127.3. Dedication, United Nations Cemetery:Records = 237”, “127.4. VIP guest list, dedication, United Nations Cemetary(sic) = 238”, “127.4. VIP guest list, dedication, United Nations Cemetary(sic) = 238(“VIP GUEST LIST DEDICATION UNITED NATIONS CEMETERY 6 APRIL 1951”)”, “127.4. VIP guest list, dedication, United Nations Cemetary(sic) = 238(“Chaplains, Flag Bearers, Wreath Bearers DEDICATION CEREMONY, United Nations Cemetery”).”"

      19 "NARA (복제: 전자자료.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05), RG 92 Records of the Office of the Quartermaster General; Record Group (Copies of Unclassified Documents Relating to the QM Corps in the Korean War, 1948~52 ; Series), 소장원본청구기호: 390/8/05/06-07/E.2116K/Box3, Graves Registration thru Brig. Gen. Hastings Folder(1) / Office of the Quartermaster General, 1950, “8. Graves registration in the Korean conflict(Quartermaster review, March-April, 1953):잡지/John C. Cook, QMC, 1953 = 95”, “12. Historical report - Headquarters, American Graves Registration Service Group, 8204th Army Unit APO 3 = 122.”"

      20 "Library and Archives Canada (LAC), RG25: Department of External Affairs Fonds (R219-0-2-E), ACA001_01_01C0037, [U.N. Cemetery in Korea, Part 2, 1955/08/01-1965/03/31 (File 7-3-3-5)], Box 10, “Letter dated 30th November, 1950(From A. Gascoigne to HCH Robertson)”, “Dedication of United Nations Cemetery in Korea”, (From: The Head of the Canadian Liaison Mission, Tokyo, To: THE SECRETARY OF STATE FOR EXTERNAL AFFAIRS, CANADA, Date: April 7, 1951, Despatch: No. 334), (원본 소장: LAC, 디지털화 자료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21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Hodgson, William Roy (1892– 1958)"

      22 Cook, John C., "Graves Registration in the Korean Conflict, The Quartermaster Review" Army Quartermaster Museum

      23 Congram, Derek, "Grave Influence: The Impact of Britain and the U.S. on Canada’s War Dead Policy" 10 (10): 2017

      24 Reuters Limited, "General Ridgway Attends Dedication Of Un Cemetery. 1951 (GROUP: Reuters - Including Visnews, FILM ID:VLVA6WRNKUNMFY8CQ427C19PCBRKG)"

      25 Simmons, Edwin, "Frozen Chosin: U.S. Marines At The Changjin Reservoir" Normanby Press 2015

      26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of the Navy, Naval Photographic Center (09/18/1947 - ?) 1951.04 ~ 1951.04, Folder H, 소장처: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출처: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사료참조코드 사료건 AUS060_01_00V0004_515, “Flags of Many Nation [부산의 UN묘지 헌정식에서 나부끼는 각 UN 회원국들의 깃발]”, 문서번호 467868)"

      27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of the Navy. Naval Photographic Center (09/18/1947-?) 1951.04~1951.04, Folder H, 소장처: NARA, (출처:국사편 찬위원회 전자사료관 사료참조코드 AUS060_01_00V0004_517, “Entering the UN Cemetary [부산의 UN묘지 헌정식에 참석한 한미 수뇌부들]”, 문서 번호 467870)"

      28 Westover, John G., "Combat Support in Korea"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90

      29 Assmann, Jan, "Collective Memory and Cultural Identity" 65 : 1995

      30 Keene, Judith, "Bodily Matters Above and Below Ground: The Treatment of American Remains from the Korean War" 32 (32): 2010

      31 "6·25 참전 21개국 전사자중 11개국 2311명 유해 영면"

      32 정기욱, "6.25전쟁 관련 유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잠재 가능성 분석-남한지역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2018

      33 "1951 U.N. Korean War Memorial Ceremony in Pusan (Silent) (Outtakes)"

      34 PeriscopeFilm, "1951 KOREAN WAR HOME MOVIE PUSAN WEST AIR BASE BURIAL DETAIL MARINE CORPS (SILENT) 24114"

      35 박동찬, "(한권으로 읽는)6. 25전쟁"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44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