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정은 체제 개막기의 북한 핵무기의 실질 전력화 위협과 한국의 국방안보 대비 = Military Threat of Realization of Nuclear Power of North Korea under the Beginning Period of Kim Jong-Eun Governing System of North Korea and National Defense Security Preparedness of R.O.K.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Kim Jong-IL died suddenly on 17th of December in last year, security situation of Far East including Korean Peninsular is faced with uncertainty because of impossibility of prediction about the future and phobia of North Korea Nuclear Missile threat which is not resolved. In such a situation the writer try to grope for reformation of model for peace and stability that we could appropriately cope with realization of North Korea Nuclear Weapon through this study, casting off the already frame which was processed mainly in the style of negotiation and dialogue by sincere attitude of R.O.K.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cold war period that offensive nuclear strategy could not be offset only by defensive non-nuclear strategy of Republic of Korea, we have to reconstruct the new model for the peace and strategy by preparedness of real power that we could deter nuclear power of North Korea by nuclear strategy.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national security preparedness for the overcoming the nuclear threat and crisis of North Korea, above all the writer survey the essence of nuclear development of North Korea by inquiring into the process, degree and propellent model of nuclear development of Nor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nuclear threat of N.K.
      And then the writer survey the employment concept of realistic nuclear power of North Korea which has been led by Kim Jong-Eun as one of objectives of ‘the Construction of Great Power State’, and try to not only look into the influence and wave length of realization of nuclear power of N.K. in security situation of Far East, but also observe the counteraction and response of power stat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r, almost of which leaders will be replaced in this year.
      In conclusion, in proportion as the increase of probability of realization of nuclear power of N.K., the writer, considering the use of active denial strategy and military preparedness concept against the possibility of attack of nuclear weapon of North Korea, would like to propose some effective guarantee- measures for the peace and the stability in Korean Peninsular as follows ;At first, in order to cope with realization of nuclear power of North Korea, we have to develop not only the nuclear strategy , but also non-nuclear strategy as the National Defense Concept for preparedness against the nuclear strategy of North Korea.
      At second, in order to guarantee the efficiency of use of military forces in the situation of realization of nuclear power of North Korea, we have to increase and reinforce the system of main battle strength rapidly including th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capability, offensive operation and active defense.
      At third, we have to prepare the nuclear strategy as well as non-nuclear strategy as like nuclear option strategy or nuclear dual key system and reassignment of tactical nuclear weapons which is regarded now as a concrete measures of nuclear deterrence.
      번역하기

      Since Kim Jong-IL died suddenly on 17th of December in last year, security situation of Far East including Korean Peninsular is faced with uncertainty because of impossibility of prediction about the future and phobia of North Korea Nuclear Missile th...

      Since Kim Jong-IL died suddenly on 17th of December in last year, security situation of Far East including Korean Peninsular is faced with uncertainty because of impossibility of prediction about the future and phobia of North Korea Nuclear Missile threat which is not resolved. In such a situation the writer try to grope for reformation of model for peace and stability that we could appropriately cope with realization of North Korea Nuclear Weapon through this study, casting off the already frame which was processed mainly in the style of negotiation and dialogue by sincere attitude of R.O.K.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cold war period that offensive nuclear strategy could not be offset only by defensive non-nuclear strategy of Republic of Korea, we have to reconstruct the new model for the peace and strategy by preparedness of real power that we could deter nuclear power of North Korea by nuclear strategy.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national security preparedness for the overcoming the nuclear threat and crisis of North Korea, above all the writer survey the essence of nuclear development of North Korea by inquiring into the process, degree and propellent model of nuclear development of Nor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nuclear threat of N.K.
      And then the writer survey the employment concept of realistic nuclear power of North Korea which has been led by Kim Jong-Eun as one of objectives of ‘the Construction of Great Power State’, and try to not only look into the influence and wave length of realization of nuclear power of N.K. in security situation of Far East, but also observe the counteraction and response of power stat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r, almost of which leaders will be replaced in this year.
      In conclusion, in proportion as the increase of probability of realization of nuclear power of N.K., the writer, considering the use of active denial strategy and military preparedness concept against the possibility of attack of nuclear weapon of North Korea, would like to propose some effective guarantee- measures for the peace and the stability in Korean Peninsular as follows ;At first, in order to cope with realization of nuclear power of North Korea, we have to develop not only the nuclear strategy , but also non-nuclear strategy as the National Defense Concept for preparedness against the nuclear strategy of North Korea.
      At second, in order to guarantee the efficiency of use of military forces in the situation of realization of nuclear power of North Korea, we have to increase and reinforce the system of main battle strength rapidly including th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capability, offensive operation and active defense.
      At third, we have to prepare the nuclear strategy as well as non-nuclear strategy as like nuclear option strategy or nuclear dual key system and reassignment of tactical nuclear weapons which is regarded now as a concrete measures of nuclear deterr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해 12월 17일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이 갑자기 사망한 이래, 북한 내부 권력체제의 향후 변화에 대한 예측 불가성과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북 핵미사일 위협의 가공성으로 인해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안보정세는 급격한 변화와 함께, 한치 앞을 제대로 내다 볼 수 없을 만큼 불확실한 상황으로 접어들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논자는 본 논문을 통해 우리가 북 핵 문제의 해결과정에서 지금까지 한국 측이 성실하게 보여주었던 협상과 대화방식 위주의 기존의 틀을 과감히 벗어나, 날로 가속화 되고 있는 북한 핵무장화의 현실적 위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한반도 평화안정 대비 모델의 재정형화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논자는 북한의 공세적 핵전략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이 한국 측의 수세적 비핵 전략 일변도 정책만으로는 상쇄될 수 없다는 냉전시절의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 대화와 협상을 진척시키는 가운데서도 비핵전략과 핵전략을 병행 구사하여 북 핵을 억제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힘의 대응 원리에 의한 평화 및 안정모델로의 조형작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북 핵 위협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국방안보대비태세 구축을 위해 우선 북 핵 위협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 핵 개발의 진행 경과와 그 개발 수준 및 북 핵 개발 추진 모델을 고찰함으로써 북 핵 개발의 본질을 가늠해 보고, 김정일 통치기간 중 특히 세습체계 구축을 염두에 두면서 공개 및 비공개적으로 추진한 것으로 예측되는 김정은 주도하의 강성대국 완성 목표 중의 하나인 북 핵 무장화에 따른 북한의 대남 군사력 운용개념을 고찰하여 군사적 위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다음, 동북아 안보환경에 대한 북 핵 무장화의 영향과 파장, 그리고 2012년도에 그 지도자들의 대부분이 교체될 것으로 예측되는 한반도 주변 국가들의 북한 핵 무장화에 대한 반응과 대응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논자는 끝으로, 지금까지의 분석 및 고찰내용을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는 북 핵 현실화에 따른 한반도 평화안정 보장책으로서, 적의 핵미사일 공격에 대비할 수 있는 적극적 거부 전략 및 대응 개념을 살펴보면서, 북 핵 무장화에 대한 효율적 대비 및 관리 방향을 다음과 같이 결론으로 제시해 보았다.
      첫째, 북핵 무장화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한국군의 국방목표와 전쟁수행 개념, 그리고 대응수단 및 방법 강구 등 군사력 운용개념이 재래전 대비 개념뿐만 아니라, 핵전 대비개념으로 병행 정립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북한 핵무기의 실질 전력화 상황에서 예상되는 전쟁수행과 군사력 운용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감시 및 탐지능력과 공격 및 방어 작전 관련 한국군 주요 전력체계의 증강 및 보완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북한의 핵무기 실질 전력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핵 전략 뿐만 아니라, 핵 선택권 전략(Nuclear Opton Strategy)이나 이중 관리체제(Nuclear Dual Key System) 운용, 그리고 확장적 핵억제의 구체화 방책으로서의 전술 핵무기의 재배치 검토 등과 같은 핵전략의 신중한 병행 추진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지난해 12월 17일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이 갑자기 사망한 이래, 북한 내부 권력체제의 향후 변화에 대한 예측 불가성과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북 핵미사일 위협의 가공성으로 인해 한반...

      지난해 12월 17일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이 갑자기 사망한 이래, 북한 내부 권력체제의 향후 변화에 대한 예측 불가성과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북 핵미사일 위협의 가공성으로 인해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안보정세는 급격한 변화와 함께, 한치 앞을 제대로 내다 볼 수 없을 만큼 불확실한 상황으로 접어들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논자는 본 논문을 통해 우리가 북 핵 문제의 해결과정에서 지금까지 한국 측이 성실하게 보여주었던 협상과 대화방식 위주의 기존의 틀을 과감히 벗어나, 날로 가속화 되고 있는 북한 핵무장화의 현실적 위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한반도 평화안정 대비 모델의 재정형화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논자는 북한의 공세적 핵전략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이 한국 측의 수세적 비핵 전략 일변도 정책만으로는 상쇄될 수 없다는 냉전시절의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 대화와 협상을 진척시키는 가운데서도 비핵전략과 핵전략을 병행 구사하여 북 핵을 억제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힘의 대응 원리에 의한 평화 및 안정모델로의 조형작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북 핵 위협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국방안보대비태세 구축을 위해 우선 북 핵 위협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 핵 개발의 진행 경과와 그 개발 수준 및 북 핵 개발 추진 모델을 고찰함으로써 북 핵 개발의 본질을 가늠해 보고, 김정일 통치기간 중 특히 세습체계 구축을 염두에 두면서 공개 및 비공개적으로 추진한 것으로 예측되는 김정은 주도하의 강성대국 완성 목표 중의 하나인 북 핵 무장화에 따른 북한의 대남 군사력 운용개념을 고찰하여 군사적 위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다음, 동북아 안보환경에 대한 북 핵 무장화의 영향과 파장, 그리고 2012년도에 그 지도자들의 대부분이 교체될 것으로 예측되는 한반도 주변 국가들의 북한 핵 무장화에 대한 반응과 대응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논자는 끝으로, 지금까지의 분석 및 고찰내용을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는 북 핵 현실화에 따른 한반도 평화안정 보장책으로서, 적의 핵미사일 공격에 대비할 수 있는 적극적 거부 전략 및 대응 개념을 살펴보면서, 북 핵 무장화에 대한 효율적 대비 및 관리 방향을 다음과 같이 결론으로 제시해 보았다.
      첫째, 북핵 무장화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한국군의 국방목표와 전쟁수행 개념, 그리고 대응수단 및 방법 강구 등 군사력 운용개념이 재래전 대비 개념뿐만 아니라, 핵전 대비개념으로 병행 정립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북한 핵무기의 실질 전력화 상황에서 예상되는 전쟁수행과 군사력 운용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감시 및 탐지능력과 공격 및 방어 작전 관련 한국군 주요 전력체계의 증강 및 보완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북한의 핵무기 실질 전력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핵 전략 뿐만 아니라, 핵 선택권 전략(Nuclear Opton Strategy)이나 이중 관리체제(Nuclear Dual Key System) 운용, 그리고 확장적 핵억제의 구체화 방책으로서의 전술 핵무기의 재배치 검토 등과 같은 핵전략의 신중한 병행 추진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2008

      2 천관희, "핵 도미노 현상을 통한 북한의 딜레마 연구" 도서출판 신성 1 (1): 2008

      3 하정열, "한반도의 평화통일전략" 박영사 2004

      4 박준홍,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 박영사 1978

      5 문성묵,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 군사회담 의제와 전략" 국방부 (47) : 2010

      6 조성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 군사회담" 국방부 (47) : 2010

      7 김국신, "한미 정상회담 결과 분석" 통일연구원 2009

      8 "한겨레신문, 1991년 10월 13일자 보도"

      9 한국전략문제연구소, "통일 후 북한 핵ㆍ미사일 처리 방향, In 2000 국방정책 연구보고서" 도서출판 전광 2000

      10 오경섭, "중국의 대북한 영향력 분석 : 2차 북 핵 위기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011

      1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2008

      2 천관희, "핵 도미노 현상을 통한 북한의 딜레마 연구" 도서출판 신성 1 (1): 2008

      3 하정열, "한반도의 평화통일전략" 박영사 2004

      4 박준홍,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 박영사 1978

      5 문성묵,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 군사회담 의제와 전략" 국방부 (47) : 2010

      6 조성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 군사회담" 국방부 (47) : 2010

      7 김국신, "한미 정상회담 결과 분석" 통일연구원 2009

      8 "한겨레신문, 1991년 10월 13일자 보도"

      9 한국전략문제연구소, "통일 후 북한 핵ㆍ미사일 처리 방향, In 2000 국방정책 연구보고서" 도서출판 전광 2000

      10 오경섭, "중국의 대북한 영향력 분석 : 2차 북 핵 위기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011

      11 "조선일보, 2011년 12월 31일자 보도"

      12 정철호, "제43차 한미 안보협의회의 성과와 향후 과제" 세종연구소 2011

      13 박한규, "일본의 핵선택: 관념, 제도, 그리고 안보정책" 세종연구소 8 (8): 101-132, 2002

      14 조양현, "일본 핵무장의 동향 및 전망" 외교안보연구원 2009

      15 홍현익,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세종연구소 6 (6): 2010

      16 "연합뉴스, 2012년 1월 1일자 보도"

      17 "연합뉴스, 2011년 12월 31일자 보도"

      18 "연합뉴스, 2011년 12월 30일자 보도"

      19 "연합뉴스, 2011년 12월 29일자 보도"

      20 김희상, "시대정신" 도서출판 시대정신 2007

      21 윤덕민, "북핵 문제 해결 과제와 우리의 대응방향, In 북한 핵문제와 위기의 한국안보" 동진 문화사 2007

      22 남창희,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한 일본의 대응: 패턴과 전망" 세종연구소 16 (16): 63-94, 2010

      23 정영태, "북한의 핵 폐기 가능성과 미북 관계" 통일연구원 2004

      24 정영태, "북한의 전략과 핵 정책, In 북한 랙문제와 위기의 한국안보" 동진 문화사 2007

      25 박창권, "북한위협 관리를 위한 한미중 3자 협력 발전방향"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8 (18): 95-124, 2011

      26 엄상윤, "북한 핵무장의 전략적 유용성과 한계" 세종연구소 2011

      27 전성훈, "북한 비핵화와 핵우산 강화를 위한 이중경로정책" 세종연구소 16 (16): 61-88, 2010

      28 정철호, "미국의 대인도 핵 용인 정책과 대북 핵 정책 변화 가능성" 세종연구소 2011

      29 "문화일보, 2011년 12월 30일자 보도"

      30 "매일경제, 2012년 1월 1일자 보도"

      31 "동아일보, 2011년 12월 20일자 보도"

      32 "동아일보, 1991년 7월 15일자 보도"

      33 정석환, "대북포용정책의 차원과 타당화: 북한핵무장의 국제적 역학관계구조 관점에서" 한국행정학회 41 (41): 203-226, 2007

      34 정철호, "대북 핵정책 시나리오별 한국의 정책구상" 세종연구소 2011

      35 임길섭, "남북구도 변화시기와 전력규모 판단" 국방부 (47) : 2010

      36 한용섭, "국제 핵확산 금지조약과 국제 원자력 기구, In 국제기구와 한국 외교" 민음사 1996

      37 차영구, "국방정책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오름 2004

      38 육군사관학교, "국가안보론" 박영사 2001

      39 김열수, "국가안보" 법문사 2011

      40 "경향신문, 2006년 5월 16일자 보도"

      41 Siegfried S. Hecker, "What I found, Foreign Affairs"

      42 Joseph S. Nye, "Understanding International Conflicts :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History" Pearson Longman 2002

      43 국방대학교, "2011년도 안보정세 전망" 국가안보문제연구소 2010

      44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9 동북아 전략균형" 한국 양서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