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형의 집>의 수용과 1920년대 ‘생명’담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15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의 근대 희곡 장르 성립에 미친 ‘생명담론(Discourses of Vitalism)’ 의 의의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생명담론’의 영향이 특히 희곡 양식에서 두드러진 것은 입센?버나드 쇼에 의한 ‘생명력(life force)’ 사상 작품의 한국어 번역에 힘입은 바 크다. 따라서 1920년대 한국에서의 입센의 <인형의 집> 수용을 중심으로 희곡 평론이 생명담론과 결부되는 양상을 논의했다. <인형의 집> 수용에 대한 역사적 실증적인 선행 연구의 성과 위에서 이 글에서는 수용의 배경에 작용하는 ‘생명’ 개념이 개체의 자아와 공동체의 논의로 확산되는 양상을 조명했다. 1920년대 <인형의 집>에 관한 현철의 평론에서는 ‘내부생명’과 ‘조선의 생명’ 의 용어가 제출되었다. 또한 염상섭의 평론은 ‘정의로운 반역자’라는 노라 표상을 통해 양자는 ‘생명’ 이라는 주제를 공유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 베르그송의 ‘생명’ 담론이 희곡 작품 분석에 개입된 오스기 사카에의 <인형의 집>을 바라보는 시각에 근접한 논리가 전개된다. 이러한 점에서 양자는 여성의 자각에 초점을 둔 일본과 달리 한국에서 인간, 사회의 자각과 인간 해방의 주장이 현저한 ‘한국적’ 특질이 형성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즉 개체와 공동체의 관계를 제시하는 새로운 인간형을 모색하는 1920년대 문화주의 시대 흐름에 놓여 있는 <인형의 집>은 개체와 공동체의 자아의 논의를 확산시키는 기폭제가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공간에 의한 <인형의 집>의 굴절과 변용을 통해 공동체와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자아’ 탐색의 구체적 연관을 둘러싼 사유의 계기로서의 의의가 명확해졌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한국의 근대 희곡 장르 성립에 미친 ‘생명담론(Discourses of Vitalism)’ 의 의의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생명담론’의 영향이 특히 희곡 양식에서 두드러진 것은 입센?버나드 쇼에 의...

      이 글은 한국의 근대 희곡 장르 성립에 미친 ‘생명담론(Discourses of Vitalism)’ 의 의의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생명담론’의 영향이 특히 희곡 양식에서 두드러진 것은 입센?버나드 쇼에 의한 ‘생명력(life force)’ 사상 작품의 한국어 번역에 힘입은 바 크다. 따라서 1920년대 한국에서의 입센의 <인형의 집> 수용을 중심으로 희곡 평론이 생명담론과 결부되는 양상을 논의했다. <인형의 집> 수용에 대한 역사적 실증적인 선행 연구의 성과 위에서 이 글에서는 수용의 배경에 작용하는 ‘생명’ 개념이 개체의 자아와 공동체의 논의로 확산되는 양상을 조명했다. 1920년대 <인형의 집>에 관한 현철의 평론에서는 ‘내부생명’과 ‘조선의 생명’ 의 용어가 제출되었다. 또한 염상섭의 평론은 ‘정의로운 반역자’라는 노라 표상을 통해 양자는 ‘생명’ 이라는 주제를 공유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 베르그송의 ‘생명’ 담론이 희곡 작품 분석에 개입된 오스기 사카에의 <인형의 집>을 바라보는 시각에 근접한 논리가 전개된다. 이러한 점에서 양자는 여성의 자각에 초점을 둔 일본과 달리 한국에서 인간, 사회의 자각과 인간 해방의 주장이 현저한 ‘한국적’ 특질이 형성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즉 개체와 공동체의 관계를 제시하는 새로운 인간형을 모색하는 1920년대 문화주의 시대 흐름에 놓여 있는 <인형의 집>은 개체와 공동체의 자아의 논의를 확산시키는 기폭제가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공간에 의한 <인형의 집>의 굴절과 변용을 통해 공동체와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자아’ 탐색의 구체적 연관을 둘러싼 사유의 계기로서의 의의가 명확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s purpose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s of vitalism' in forming modern Korean play genres. Particularly, influence of discourses of vitalism, which particularly stood out in plays, owes much to Korean translation works of the plays written by Henrik Ibsen and George B. Show, which are based on the 'life force' theory. This paper discusses the aspects in which play reviews and discourses of vitalism are colligated, revolving around the acceptance of the play, A<br/>
      Doll's House written by Ibsen. In addition to the achievement of the empirical studies on accepting A Doll's House,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development of how the 'life' concept working in the background evolved into a discussion on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The terms 'inner life' and 'the life of Joseon' are submitted by Hyeon Cheol in his<br/>
      work, 'The criticism of A Doll's House' in 1920s. In addition, the criticism of Yeom -Sangseop about the same play shared the subject of 'life' with the criticism by Hyeon-Cheol through representing the main actor, Nora as 'a righteous traitor.' In the case of self criticism, in particular, its logic was similar to the viewpoint of Sakae Osugi - it engaged in analyzing the said play on the basis of H. Bergson's philosophy of 'life.' In this respect, unlike in Japan where the focus is put on women's awareness, the above two cases explain the reason why such 'Korean' characteristics are formed, clearly revealing human and social awareness and a claim for human liberation. In other words, set in the context of 'culturalism' in the 1920s, seeking a new human model which presented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A Doll's House became a catalyst for spreading discussion of individual self and community. In this article, the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 about vitalism became clear as something to be contemplated when specifically associated with 'self' search to be formed in relation with community through refraction and transformation of A Doll's House in the environment of 1920s under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번역하기

      This article's purpose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s of vitalism' in forming modern Korean play genres. Particularly, influence of discourses of vitalism, which particularly stood out in plays, owes much to Korean translation works...

      This article's purpose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s of vitalism' in forming modern Korean play genres. Particularly, influence of discourses of vitalism, which particularly stood out in plays, owes much to Korean translation works of the plays written by Henrik Ibsen and George B. Show, which are based on the 'life force' theory. This paper discusses the aspects in which play reviews and discourses of vitalism are colligated, revolving around the acceptance of the play, A<br/>
      Doll's House written by Ibsen. In addition to the achievement of the empirical studies on accepting A Doll's House,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development of how the 'life' concept working in the background evolved into a discussion on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The terms 'inner life' and 'the life of Joseon' are submitted by Hyeon Cheol in his<br/>
      work, 'The criticism of A Doll's House' in 1920s. In addition, the criticism of Yeom -Sangseop about the same play shared the subject of 'life' with the criticism by Hyeon-Cheol through representing the main actor, Nora as 'a righteous traitor.' In the case of self criticism, in particular, its logic was similar to the viewpoint of Sakae Osugi - it engaged in analyzing the said play on the basis of H. Bergson's philosophy of 'life.' In this respect, unlike in Japan where the focus is put on women's awareness, the above two cases explain the reason why such 'Korean' characteristics are formed, clearly revealing human and social awareness and a claim for human liberation. In other words, set in the context of 'culturalism' in the 1920s, seeking a new human model which presented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A Doll's House became a catalyst for spreading discussion of individual self and community. In this article, the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 about vitalism became clear as something to be contemplated when specifically associated with 'self' search to be formed in relation with community through refraction and transformation of A Doll's House in the environment of 1920s under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인형의 집>수용의 ‘생명’
      • 2. 현철의 희곡론(1921) -‘내부생명’의 입센
      • 3. 염상섭의 희곡론(1922) -‘반역의 전사’의 입센
      • 4. 맺음말 - ‘내부생명’에서 ‘조선의 생명’으로
      • 국문초록
      • 1. 머리말-<인형의 집>수용의 ‘생명’
      • 2. 현철의 희곡론(1921) -‘내부생명’의 입센
      • 3. 염상섭의 희곡론(1922) -‘반역의 전사’의 입센
      • 4. 맺음말 - ‘내부생명’에서 ‘조선의 생명’으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鈴木貞美, "「生命」読む日本近代" 日本放送出版協会 1996

      2 박태규, "현철의 문예론과 일본" 인문과학연구소 (52) : 193-226, 2007

      3 전성운, "한국학의 개념과 세계화의 방안" 한국학연구소 32 : 317-337, 2010

      4 민족문학사 연구소 기초학문연구단, "한국근대문학의 형성과 문학 장의 재발견" 소명출판 2004

      5 류진희, "한국 근대의 입센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1920~1930년대 '인형의 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6 앙리 베르그송,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05

      7 이민영, "조선적 근대극의 창출, 김우진의 근대극론" 한국문학언어학회 (55) : 549-571, 2011

      8 이상우, "입센주의와 여성, 그리고 한국 근대극 -1930년대 입센주의의 한국 수용과 창작극의 관련 양상" 한국문학연구학회 (25) : 119-164, 2005

      9 이승희, "입센의 번역과 성 정치학" 한국여성문학학회 (12) : 37-68, 2004

      10 앙리 베르그송, "웃음/ 창조적 진화/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동서출판 2008

      1 鈴木貞美, "「生命」読む日本近代" 日本放送出版協会 1996

      2 박태규, "현철의 문예론과 일본" 인문과학연구소 (52) : 193-226, 2007

      3 전성운, "한국학의 개념과 세계화의 방안" 한국학연구소 32 : 317-337, 2010

      4 민족문학사 연구소 기초학문연구단, "한국근대문학의 형성과 문학 장의 재발견" 소명출판 2004

      5 류진희, "한국 근대의 입센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1920~1930년대 '인형의 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6 앙리 베르그송,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05

      7 이민영, "조선적 근대극의 창출, 김우진의 근대극론" 한국문학언어학회 (55) : 549-571, 2011

      8 이상우, "입센주의와 여성, 그리고 한국 근대극 -1930년대 입센주의의 한국 수용과 창작극의 관련 양상" 한국문학연구학회 (25) : 119-164, 2005

      9 이승희, "입센의 번역과 성 정치학" 한국여성문학학회 (12) : 37-68, 2004

      10 앙리 베르그송, "웃음/ 창조적 진화/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동서출판 2008

      11 김경수, "염상섭 소설과 연극" 한국현대소설학회 (31) : 73-95, 2006

      12 朴泰圭, "쓰보우치쇼요(坪內逍遙)와 현철-연극 활동과 연극론을 중심으로 한 비교문학적 접근-" 한국일본문화학회 (32) : 339-360, 2007

      13 쓰보우치 쇼요, "소설신수(小説神髄)"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6

      14 앙리 베르그송, "사유와 운동" 문예출판사 1993

      15 김성곤, "문화와 제국주의" 도서출판 창 1995

      16 현철, "문화사업의 급선무로 민중극을 제창하노라, In 개벽, 임시 제10호" 개벽사 1921

      17 소영현, "문학청년의 탄생" 푸른 역사 2008

      18 현철, "문학상으로 보는 사상, In 개벽, 10월 임시호" 개벽사 1921

      19 김미혜, "모던연극의 초석 헨리크 입센" 연극과인간 2010

      20 현철, "근대문예와 입센, In 개벽, 7호" 개벽사 1921

      21 스가이 유키오, "근대 일본연극 논쟁사" 연극과 인간 2000

      22 최수일, "개벽 연구" 소명출판 2008

      23 中村都史子, "韓国におけるイプセンの上演:玄哲と洪海星" 梅光女学院大学 25 : 1992

      24 清水義和, "日本における唯美主義移入考ー坪内逍遥と島村抱月の弟 子ー本間久雄" 愛知学院大学 45 (45): 1998

      25 生田長江, "新文學辞典" 新潮社 1918

      26 坪内逍遥, "所謂新しい女”,坪内逍遥, In 逍遥選集, 8卷" 春陽堂 1926

      27 星野太, "崇高なる共同体-大杉栄の‘生の哲学’とフランス生命主義" 東京大学総合文化研究科 6 : 2008

      28 平岡敏夫, "宇宙との合一ー北村透谷“內部生命論”" 學燈社 40 (40): 1995

      29 宮山昌治, "大正期におけるベルクソン哲学の受容" 学習院大学人文科学研究所 4 : 2005

      30 大杉栄, "大杉栄全集 1卷" 大杉栄全集刊行會 1926

      31 염상섭, "地上善을 爲하야"

      32 신정옥, "北歐의 입센과 신극, In 한국 신극과 서양연극" 새문사 1994

      33 福田知子, "北村透谷“內部生命論”と明治浪漫主義" 立命館大学大学院総合学術研究科 3 : 2007

      34 槙林滉李, "內部生命論の流れー北村透谷を中心にして" 4 : 1967

      35 北村透谷, "內部生命論, In 文學界 5號" 文學界雜誌社 1893

      36 권정희, "‘생명력의 리듬’의 형식 —김우진의 <산돼지>" 반교어문학회 (30) : 149-174, 2011

      37 권정희,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간극―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와 일본의 생명담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63-92, 2011

      38 문경연, "1920년대 초반 현철(玄哲)의 연극론과 근대적 기획" 한국연극학회 (25) : 5-38, 2005

      39 김재석, "1920년대 <인형의 집> 번역에 대한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36) : 11-36, 2012

      40 허수(2006),"1920년 전후 이돈화의 현실인식과 근대철학 수용",윤해동 외, "1920년 전후 이돈화의 현실인식과 근대철학 수용, In 근대를 다시 읽는다 2권" 역사비평사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