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업용 부동산의 건축VMD에 관한 연구 : 복합건축물의 상업시설에 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VMD(Visual Merchanding) of Commercial Real Estate : Focused on commercial part mixed-use-build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5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상업용 부동산 사례를 선정하여 시지각적 건축요인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상업시설의 활성화에 플러스(+)로 작용하는 요소와 마이너스(-)로 작용하는 건축 요소를 구분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업용 부동산의 집객능력 향상을 통한 수익성의 창출을 이끌어내는 건축계획의 방향을 정립하여 이를 건축 VMD(Architectural Visual Merchandising)로 정의하고, 그 구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상업시설의 시인성과 연관된 요소는 파사드 전면기둥, 파사드의 재질, 입점업체의 외부 사인, 가로변 상점의 입면 연속성, 예술장식품이나 조경, 배기설비를 포함한 외부시설물의 배치 등으로 건축물의 폐쇄성을 제거하고 내부 점포의 존재감을 인식시키는 것이다.
      둘째, 상업시설의 접근성과 연관된 요소는 건물의 주 출입구, 주 수직동선, 코어의 배치, 평면의 구성, 외부공간의 구성 등이다. 시지각적 시퀀스의 설정을 통한 건축요소의 적절한 배치를 통하여 고객의 동선을 시설 내부로 끌어들이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특색있는 건물의 외관디자인, 체험적 공간의 구성, 그리고 최근의 트렌드인 펀(Fun) 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인지도 향상은 상업시설의 집객능력을 배가시킨다.
      넷째, 상업시설의 사용 편리성과 연관된 요소로는 내부공간의 유연성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계획이 포함된다.
      상업시설을 설계하는 건축가는 기능적이고 미적인 관점에서의 디자인적인 접근과 더불어 상업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 컨셉의 수립과 건축물 전체의 일관된 마케팅적 요소를 건축과 접목시키려는 전략적 건축VMD를 고려한 접근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상업용 부동산 사례를 선정하여 시지각적 건축요인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상업시설의 활성화에 플러스(+)로 작용하는 요소와 마이너스(-)로 작용하는 건축 요소를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상업용 부동산 사례를 선정하여 시지각적 건축요인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상업시설의 활성화에 플러스(+)로 작용하는 요소와 마이너스(-)로 작용하는 건축 요소를 구분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업용 부동산의 집객능력 향상을 통한 수익성의 창출을 이끌어내는 건축계획의 방향을 정립하여 이를 건축 VMD(Architectural Visual Merchandising)로 정의하고, 그 구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상업시설의 시인성과 연관된 요소는 파사드 전면기둥, 파사드의 재질, 입점업체의 외부 사인, 가로변 상점의 입면 연속성, 예술장식품이나 조경, 배기설비를 포함한 외부시설물의 배치 등으로 건축물의 폐쇄성을 제거하고 내부 점포의 존재감을 인식시키는 것이다.
      둘째, 상업시설의 접근성과 연관된 요소는 건물의 주 출입구, 주 수직동선, 코어의 배치, 평면의 구성, 외부공간의 구성 등이다. 시지각적 시퀀스의 설정을 통한 건축요소의 적절한 배치를 통하여 고객의 동선을 시설 내부로 끌어들이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특색있는 건물의 외관디자인, 체험적 공간의 구성, 그리고 최근의 트렌드인 펀(Fun) 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인지도 향상은 상업시설의 집객능력을 배가시킨다.
      넷째, 상업시설의 사용 편리성과 연관된 요소로는 내부공간의 유연성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계획이 포함된다.
      상업시설을 설계하는 건축가는 기능적이고 미적인 관점에서의 디자인적인 접근과 더불어 상업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 컨셉의 수립과 건축물 전체의 일관된 마케팅적 요소를 건축과 접목시키려는 전략적 건축VMD를 고려한 접근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exist diverse factors which affecting the profitability of commercial real estate such as location, social economic condition, operation method, building condition, etc.
      Among those factors, this study concentrated on physical building condition of commercial real estate and intended to find out the architectural design courses which create prosperity or failure of the commercial real estate buildings. In this study, the strategic course of architectural design which draws commercial prosperity by alluring consumers was determined as 'Architectural Visual Merchandising' (hearafter Architectural VMD).
      By analysing diverse cases, Architectural VMD elements were set as follows.
      First, the elements affecting Visibility of the commercial real estate are columns of the facade, facade transparency, external signage, facade continuity of street shops, external objects such as sculpture, landscape elements, air exhaust tower, etc. To get the visibility, the building should get rid of exclusivity and internal shops should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by transparency, signage or other special method.
      Second, the elements affecting accessibility are main entrance, main vertical circulation elements, core location, plan composition and shape, external landscape design, etc. Disposition each elements by considering visual and perceptive sequence setting will allure consumers inside facilities.
      Third, unique facade, experimental spaces, fun design affect the abillity of roundup people.
      Fourth, space flexibility and local consideration are required for commercial buildings.
      Architect of the commercial facility needs to have consideration of strategic architectural VMD which combines marketing elements and arhcitectural elements by setting up commercial concept, as well as consideration of functional and aesthetic design concept.
      번역하기

      There exist diverse factors which affecting the profitability of commercial real estate such as location, social economic condition, operation method, building condition, etc. Among those factors, this study concentrated on physical building conditio...

      There exist diverse factors which affecting the profitability of commercial real estate such as location, social economic condition, operation method, building condition, etc.
      Among those factors, this study concentrated on physical building condition of commercial real estate and intended to find out the architectural design courses which create prosperity or failure of the commercial real estate buildings. In this study, the strategic course of architectural design which draws commercial prosperity by alluring consumers was determined as 'Architectural Visual Merchandising' (hearafter Architectural VMD).
      By analysing diverse cases, Architectural VMD elements were set as follows.
      First, the elements affecting Visibility of the commercial real estate are columns of the facade, facade transparency, external signage, facade continuity of street shops, external objects such as sculpture, landscape elements, air exhaust tower, etc. To get the visibility, the building should get rid of exclusivity and internal shops should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by transparency, signage or other special method.
      Second, the elements affecting accessibility are main entrance, main vertical circulation elements, core location, plan composition and shape, external landscape design, etc. Disposition each elements by considering visual and perceptive sequence setting will allure consumers inside facilities.
      Third, unique facade, experimental spaces, fun design affect the abillity of roundup people.
      Fourth, space flexibility and local consideration are required for commercial buildings.
      Architect of the commercial facility needs to have consideration of strategic architectural VMD which combines marketing elements and arhcitectural elements by setting up commercial concept, as well as consideration of functional and aesthetic design concep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 ⅲ
      • 그림목차 = ⅳ
      • 국문초록 = ⅷ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1
      • 표목차 = ⅲ
      • 그림목차 = ⅳ
      • 국문초록 = ⅷ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1
      • 1.2 연구의 범위와 목적 = 3
      • 1.3 용어의 정의 = 4
      • 1.4 연구의 방법 = 4
      • 1.5 연구의 구성 및 절차 = 5
      • 제2장 상업시설의 VMD 요소에 관한 이론적 고찰 = 7
      • 2.1. VMD의 개념과 정의 = 7
      • 2.2. 상업시설의 건축 VMD 요소 = 11
      • 제3장 사례 대상 건축물 분석 = 13
      • 3.1. 사례대상의 선정 = 13
      • 3.1.1. 사례 대상 선정의 기준 = 13
      • 3.1.2. 사례대상 건물의 위치 및 선정이유 = 14
      • 3.2 개별 대상 건축물 분석 = 16
      • 3.2.1. 강남구 도곡동 H 주상복합 / K 주상복합 = 16
      • 3.2.1.1. 도곡동 H 주상복합 = 17
      • 3.2.1.2. 도곡동 K 주상복합 = 23
      • 3.2.2. 광진구 구의동 S 주상복합 = 28
      • 3.2.3. 강남역 SS빌딩/주변건물 = 31
      • 3.2.3.1. SS 빌딩 = 32
      • 3.2.3.2. Z 빌딩 = 35
      • 3.2.3.3. D 빌딩 = 36
      • 3.2.3.4. U 빌딩 = 37
      • 3.2.4. 서초구 방배동 L 주상복합 = 39
      • 3.2.4.1. 건축적 식별성 = 42
      • 3.2.4.2. 시지각적 접근성 = 45
      • 3.2.4.3. 기타 사항 = 51
      • 제4장 상업용 부동산의 건축 VMD 요소 = 54
      • 4.1 시인성과 연관된 건축요소 = 54
      • 4.2 접근성과 연관된 건축요소 = 59
      • 4.3 인지도와 연관된 건축요소 = 63
      • 4.4 사용편리성과 연관된 건축요소 = 68
      • 제5장 결론 = 70
      • 5.1 제언 = 70
      • 5.2 연구의 한계와 시사점 = 72
      • 참고문헌 = 74
      • ABSTRACT =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