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법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수용을 위한 기초 연구 - 사법접근권(Access to Justice)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485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공지능이 다방면으로 상용화됨에 따라 사법절차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 역시 본격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사법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은 분쟁해결의 효율성 제고, 사법접근권...

      인공지능이 다방면으로 상용화됨에 따라 사법절차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 역시 본격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사법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은 분쟁해결의 효율성 제고, 사법접근권의 향상, 그리고 법적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당성에 근거하여 적극적인 수용이 검토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사법부의 지능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밑바탕에는 국민의 사법접근권(access to justice) 고양이라는 사법정책적 목표가 뒷받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사법 분야에서 지능정보기술의 활용이 사법접근권의 맥락에서 정당화되고 있는 최근의 논의 추이를 반영하여, 사법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 필요성 및 수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사법절차 및 사법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법접근권의 제고라는 사법정책의 일환으로 각국의 사법부에서 추진·진행되고 있는 인공지능을 비롯한 지능정보기술의 활용 현황을 검토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법부의 지능정보화 및 사법의 디지털화에 대한 정당성 기반으로서 사법접근권의 의의에 대해 논하고, 사법접근권의 관점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이 발전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쟁점 및 분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제시하고자 한다: i) 사법적 의사결정에 대한 지능형 분석 도구의 제공; ii) 온라인 분쟁해결 플랫폼 및 자동화된 의사결정; 그리고 iii) 나홀로 소송을 위한 사법지원 서비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commercialized in various field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possibility of using AI in judicial proceedings is also being discussed in earnest. The use of AI in the judicial system is expe...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commercialized in various field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possibility of using AI in judicial proceedings is also being discussed in earnest. The use of AI in the judicial system is expect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dispute resolution, to improve access to justice, and to secure legal transparency. In particular, the judicial policy towards ‘intelligent informatization of justice’ is supported by the concept of ‘access to justice’ as a justific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recent trend that the us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judicial field is introduced in the context of ‘access to justice,’ and aims to highlight the areas where the use of AI is probable and desirable to enhance the citizen’s accessibility to the judicial system.
      Specifically, the paper reviews the policy efforts promoted by the judiciary in several countries to enhance the right to access to justice, and focuses on the following three areas as follows: i) providing intelligent analytical tools for judicial decision-making; ii) online dispute resolution platforms and automated decision-making; and iii) judicial services for self-representative lawsuits. Finall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paper concludes the discussion by mentioning some reflections that can be considered in Koreas judicial poli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들어가며: 사법의 지능정보화를 위한 정책 노력
      • II. 사법접근권의 제고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현황
      • III. 사법의 지능정보화에 대한 정당성 기반으로서 사법접근권
      • IV. 결어: 성찰과 과제
      • 국문초록
      • I. 들어가며: 사법의 지능정보화를 위한 정책 노력
      • II. 사법접근권의 제고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현황
      • III. 사법의 지능정보화에 대한 정당성 기반으로서 사법접근권
      • IV. 결어: 성찰과 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공지능법학회, "인공지능과 법" 박영사 2019

      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법부에서의 인공지능(AI)활용방안" 법원행정처 2020

      3 Jānis Dreimanis, "Yearbook of Estonian Courts 2019" The Estonian Supreme Court 2019

      4 James E. Cabral, "Using Technoogy to Enhance Access to Justice" 26 (26): 2012

      5 John Zeleznikow, "Using Soft Computing to Build Real World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s in Uncertain Domains" 31 : 2001

      6 Sundaresh Menon, "The Split-up Project : Induction, Context and Knowledge Discovery in Law" 3 : 2004

      7 Franciska Zsó fia Gyuranecz, "The AI Is Now in Session :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Courts" 2019

      8 E. Bellucci, "Representations for Decision Making Support in Negotiation" 10 : 2001

      9 Esm é e A. Bickel, "Online Legal Advice and Conflict Support: A Dutch Experience" University of Twente 2015

      10 Online Dispute Resolution Advisory Group, "Online Dispute Resolution for Low Value Civil Claims"

      1 한국인공지능법학회, "인공지능과 법" 박영사 2019

      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법부에서의 인공지능(AI)활용방안" 법원행정처 2020

      3 Jānis Dreimanis, "Yearbook of Estonian Courts 2019" The Estonian Supreme Court 2019

      4 James E. Cabral, "Using Technoogy to Enhance Access to Justice" 26 (26): 2012

      5 John Zeleznikow, "Using Soft Computing to Build Real World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s in Uncertain Domains" 31 : 2001

      6 Sundaresh Menon, "The Split-up Project : Induction, Context and Knowledge Discovery in Law" 3 : 2004

      7 Franciska Zsó fia Gyuranecz, "The AI Is Now in Session :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Courts" 2019

      8 E. Bellucci, "Representations for Decision Making Support in Negotiation" 10 : 2001

      9 Esm é e A. Bickel, "Online Legal Advice and Conflict Support: A Dutch Experience" University of Twente 2015

      10 Online Dispute Resolution Advisory Group, "Online Dispute Resolution for Low Value Civil Claims"

      11 Davide Carneiro, "Online Dispute Resolution : An Artificial Intelligence Perspective" 41 : 2014

      12 Legal Aid Commission of Western Australia, "New Digital Resource: New Virtual Dispute Resolution Service amica: Simple, Smart Separation, Annual Report 2019-2020" 2020

      13 J. Webb, "Legal Services" 2018

      14 Eloi Buat-M é nard, "La Justice Dite “Pré dictive” en Mati è re Judiciaire:Pré requis, Risques et Attentes–La Ré flexion en Cours en France" CEPEJ–Administration Judicaire de Lettonie 2018

      15 Joint Technology Committee (COSCA NCSC NACM), "Introduction to AI for Courts" 2020

      16 Emilia Bellucci,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gumentation and Game Theory to Develop and Online Dispute Resolution Environment" IEEE 2004

      17 Felicity Bell, "Family Law, Access to Justice, and Automation" 19 : 2019

      18 Ethan Katsh, "Digital Justice : Technology and the Internet of Disputes"

      19 Darin Thompson, "Creating New Pathways to Justice Using Simpl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nline Dispute Resolution" 152 : 2015

      20 Ephraim Nissan, "Computer Tools and Techniques for Lawyers and the Judiciary" 49 (49): 2018

      21 John Zeleznikow, "Ca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nline Dispute Resolution Enhanc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Courts" 8 (8): 2017

      22 Dory Reiling, "Beyond Court Digitalization with Online Dispute Resolution" 8 (8): 2017

      23 Cary Cogliane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judication and Administration : A Status Report on Governmental Use of Technology in the United States" 2118 : 2020

      24 Elisa Alfaia Sampai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Judicial Ruling" European Judicial Training Network (EJTN) 2019

      25 L. Karl Branting, "Advisory Systems for Pro Se Litigants" 2001

      26 William D. Eggers, "AI-Augmented Government: Using Cognitive Technologies to Redesign Public Sector Work" Deloitte University Press 2017

      27 Legal Services Commission of South Australia, "42nd Annual Report 2019-2020"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7 0.7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