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친환경적 유역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관리방안 - 평택호 사례를 중심으로 - = Land Use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Friendly Watershed Management – With a Focus on Pyeongtaek Lak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8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land-use policy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friendly watershed management for Pyeongtaek Lake. Primary research methods are 1) review of plans related to the land uses around Pyeongtaek Lake, 2) review of concepts about environmental friendly land use methods, 3) examination of relevant cases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fter the review of existing plans related to Pyeongtaek Lake and surrounding watershed areas, we found the following: 1) application of growth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area undesignated from Pyeongtaek Lake tourism sites, 2) consideration and application of developable areas and incentive-related growth management plan, 3) necessity for management of local run-off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for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watershed. Based on the observation w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we need land use management strategies especially for residential areas based on Low Impact Development, 2) land use strategie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urban planning and institutional tools, 3) application of LID is necessary through incentives and requirement. We advise that due to the limited nature of literature review, further studies from quantitative approaches for environmental friendly land use management strategie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land-use policy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friendly watershed management for Pyeongtaek Lake. Primary research methods are 1) review of plans related to the land uses around Pyeongtaek Lake, 2) review of co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land-use policy strategies for environmental friendly watershed management for Pyeongtaek Lake. Primary research methods are 1) review of plans related to the land uses around Pyeongtaek Lake, 2) review of concepts about environmental friendly land use methods, 3) examination of relevant cases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fter the review of existing plans related to Pyeongtaek Lake and surrounding watershed areas, we found the following: 1) application of growth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area undesignated from Pyeongtaek Lake tourism sites, 2) consideration and application of developable areas and incentive-related growth management plan, 3) necessity for management of local run-off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for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watershed. Based on the observation w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we need land use management strategies especially for residential areas based on Low Impact Development, 2) land use strategie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urban planning and institutional tools, 3) application of LID is necessary through incentives and requirement. We advise that due to the limited nature of literature review, further studies from quantitative approaches for environmental friendly land use management strategie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평택호 유역을 사례로 친환경 유역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1) 평택호 유역 토지이용과 관련된 주요 계획의 검토, 2) 친환경 토지이용 개발기법 개념의 검토, 3) 국내외 관련 사례 분석이다. 평택호 유역일대와 관련한 기존 계획을 검토한 결과 1) 평택호 관광단지 해제지역에 대한 성장관리방안의 고시 및 적용, 2) 개발가능지와 인센티브관련 성장관리계획의 신중한 검토와 적용, 3) 유역의 물순환 체계확립을 위한 지역별 유출량 및 비점오염 관리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저영향개발기법을 이용한 토지이용 및 관리방안, 둘째, 저영향개발기법 개념을 기본으로 한 택지개발, 셋째, 도시계획적 수단과의 결합 및 법규를 통한 실천, 넷째, 인센티브와 의무화방식을 통한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이다. 본 연구는 세부적인 유역의 친환경 토지이용 적용방안을 위한 정량분석에 앞선 문헌연구의 검토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평택호 유역의 토지이용 및 성장관리의 방향성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평택호 유역을 사례로 친환경 유역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1) 평택호 유역 토지이용과 관련된 주요 계획의 검토, 2) 친환경 토...

      본 논문의 목적은 평택호 유역을 사례로 친환경 유역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1) 평택호 유역 토지이용과 관련된 주요 계획의 검토, 2) 친환경 토지이용 개발기법 개념의 검토, 3) 국내외 관련 사례 분석이다. 평택호 유역일대와 관련한 기존 계획을 검토한 결과 1) 평택호 관광단지 해제지역에 대한 성장관리방안의 고시 및 적용, 2) 개발가능지와 인센티브관련 성장관리계획의 신중한 검토와 적용, 3) 유역의 물순환 체계확립을 위한 지역별 유출량 및 비점오염 관리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저영향개발기법을 이용한 토지이용 및 관리방안, 둘째, 저영향개발기법 개념을 기본으로 한 택지개발, 셋째, 도시계획적 수단과의 결합 및 법규를 통한 실천, 넷째, 인센티브와 의무화방식을 통한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이다. 본 연구는 세부적인 유역의 친환경 토지이용 적용방안을 위한 정량분석에 앞선 문헌연구의 검토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평택호 유역의 토지이용 및 성장관리의 방향성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성시, "화성호ㆍ탄도호 및 인근간척지의 친환경적 이용 및 관리방안" 2016

      2 평택시, "평택호 관광단지 해제(예정)지역 성장관리방안" 2018

      3 김미경, "제주도의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분산형 빗물관리방안" 1 (1): 57-63, 2007

      4 김영민, "우수저류시설에 따른 택지개발지구의 물순환 특성분석" 2008

      5 최희선,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있어 저영향개발기법(LID)의 적용방안 및 효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6 황희연, "생태도시ㆍ단지조성을 위한 핵심요소기술 개발 및 적용방안" 국토해양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8

      7 환경부, "부천시 에코시티 시범사업 기본계획 : 고강지구를 중심으로" 2008

      8 김동근, "그린 스쿨조성을 위한 학교 빗물이용시설의 설계인자" 2009

      9 경기도, "경기비전 2040" 2015

      10 경기도, "경기도 종합계획 2012-2020" 2012

      1 화성시, "화성호ㆍ탄도호 및 인근간척지의 친환경적 이용 및 관리방안" 2016

      2 평택시, "평택호 관광단지 해제(예정)지역 성장관리방안" 2018

      3 김미경, "제주도의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분산형 빗물관리방안" 1 (1): 57-63, 2007

      4 김영민, "우수저류시설에 따른 택지개발지구의 물순환 특성분석" 2008

      5 최희선, "수변지역 도시재생에 있어 저영향개발기법(LID)의 적용방안 및 효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6 황희연, "생태도시ㆍ단지조성을 위한 핵심요소기술 개발 및 적용방안" 국토해양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8

      7 환경부, "부천시 에코시티 시범사업 기본계획 : 고강지구를 중심으로" 2008

      8 김동근, "그린 스쿨조성을 위한 학교 빗물이용시설의 설계인자" 2009

      9 경기도, "경기비전 2040" 2015

      10 경기도, "경기도 종합계획 2012-2020" 2012

      11 "NRDC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12 조혜진,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의 도로설계 적용" 32 : 7-8, 2010

      13 "City of Seattle"

      14 Ewing, R., "Best development practices: a primer for smart growth" Smart Growth Network 2007

      15 화성시, "2040 화성시 장기발전계획" 2019

      16 화성시, "2035 화성 도시기본계획 재수립(안)" 2017

      17 평택시, "2035 평택시 도시기본계획" 2018

      18 평택시, "2026 평택 도시재생전략계획" 2017

      19 평택시, "2011 평택시 경관계획"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8-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연구원 -> 예술디자인연구원
      영문명 : Design Research Institute Kyunghee University -> Art·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