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감시와 인권의 딜레마: 어린이집 CCTV 의무화 입법사례를 중심으로 = Dilemma between surveillance and human rights : Analysis of legislation procedure for compulsory installation of CCTV in nurs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81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urveillance, CCTV is one of the most universal but also dangerous means in terms of human rights by expansion of its area and subject, elaboration of technology and generalization. From this view,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procedure of re...

      In surveillance, CCTV is one of the most universal but also dangerous means in terms of human rights by expansion of its area and subject, elaboration of technology and generalization. From this view,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procedure of reformation of 'Infant Care Act' in 2015. First, there was no framework act about CCTV so that no issue was raised with the dilemma between surveillance and human rights. Second, through the legislation procedure, there was not enough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n the controversial values on human rights in surveillance because of lack of coherence and speciality in Standing Commissioners Committee. Third, this legislation became a model which suggests that surveillance can be a easiest way to escape from social issues about security.
      Finally, by this legislation we will be faced with a brand new and grand system of surveillance without critical review and debat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ith CCTV, first of all,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hould be reformed as soon as possible. Then, it seems necessary to establish 'Image Date protection Act' for political legitimacy and valid and legal regulation of personal image date prote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CCTV를 통한 감시 범위와 주체의 확대, 방법의 정교화와 감시의 일상화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감시는 인권의 가장 치명적인 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

      CCTV를 통한 감시 범위와 주체의 확대, 방법의 정교화와 감시의 일상화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감시는 인권의 가장 치명적인 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은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화 입법사례를 분석하여, 여러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첫째,「영유아보육법」개정을 통한 어린이집CCTV 의무화 입법과정에서는 감시와 인권의 쟁점이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둘째, 법안의 심의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쟁점에 대한 일관성 · 전문성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셋째, 이해 당사자들의 주장을 무시하고, 포퓰리즘에 따른 감시 체계의 도입이라는 선례를 남겼다. 넷째, 단시간에 충분한 비판적 검토 없이 대규모 감시체계가 수립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CTV와 관련한 현행「개인정보보호법」을 개정하고, 영상정보관련기본법을 제정하여 인권침해의 가능성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법적 보완은 감시 체계의 법적 타당성과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입법과정을 통해 감시와 인권의 문제를 공론화하는 데에 주요한 목적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andy, Oscar H. Jr, "한국사회와 언론 8호" 한울 208-228, 1997

      2 조인식, "학교 영상정보처리기기(CCTV) 현황과 개선방안" (625) : 2013

      3 홍성욱, "파놉티콘 : 정보사회 정보감옥" 책세상 2002

      4 이광석, "지배양식의 국면 변화와 빅데이터 감시의 형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191-231, 2013

      5 "제 332회국회(임시회) 제2차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2015. 4. 29)"

      6 "제 332회국회(임시회) 제1차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2015. 4. 23)"

      7 "제 332회국회(임시회) 국회본회의 회의록(2015. 4. 30)"

      8 "제 331회국회(임시회) 제6차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2015. 4. 2)"

      9 "제 331회국회(임시회) 제6차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2015. 3. 3)"

      10 "제 331회국회(임시회) 제2차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2015. 2.24)"

      1 Gandy, Oscar H. Jr, "한국사회와 언론 8호" 한울 208-228, 1997

      2 조인식, "학교 영상정보처리기기(CCTV) 현황과 개선방안" (625) : 2013

      3 홍성욱, "파놉티콘 : 정보사회 정보감옥" 책세상 2002

      4 이광석, "지배양식의 국면 변화와 빅데이터 감시의 형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191-231, 2013

      5 "제 332회국회(임시회) 제2차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2015. 4. 29)"

      6 "제 332회국회(임시회) 제1차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2015. 4. 23)"

      7 "제 332회국회(임시회) 국회본회의 회의록(2015. 4. 30)"

      8 "제 331회국회(임시회) 제6차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2015. 4. 2)"

      9 "제 331회국회(임시회) 제6차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2015. 3. 3)"

      10 "제 331회국회(임시회) 제2차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2015. 2.24)"

      11 "제 331회국회(임시회) 제1차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2015. 2. 9)"

      12 "제 331회국회(임시회) 국회본회의 회의록(2015. 3. 3)"

      13 김동윤, "정보테크놀로지, 전자감시, 그리고 프라이버시 위기: 푸코와 루크스의 권력개념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43-68, 2006

      14 이창범, "정보기술의 발달과 개인정보 침해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공법학회 32 (32): 219-246, 2004

      15 김기창, "정보 주체 동의 : 동의 허구성과 해결방안" 개인정보보호법제 개선토론회Ⅰ: 프라이버시 보호 신화에서 현실로 2013

      16 박정훈, "전자감시와 프라이버시의 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 법조협회 59 (59): 124-177, 2010

      17 안전행정부, "전국 10만 대 CCTV 범죄현장 24시간 감시"

      18 이희성, "작업장내에서의 전자메일 및 CCTV의 감시와 근로자의 프라이버시보호" 한국비교사법학회 10 (10): 509-546, 2003

      19 김왕배, "인터넷 사용과 직무감시-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57 : 8-226, 2003

      20 국회법제사법위원회, "영유아보육법 일부개정법률안 (위원회안) 검토보고"

      21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영유아보육법 일부개정법률안 (위원회안) 검토보고"

      22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영유아보육법 일부개정법률안 (위원회안)"

      23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영유아보육법 일부개정법률안 (대안) 검토보고"

      24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영유아보육법 일부개정법률안 (대안)"

      25 국회법제사법위원회, "영유아보육법 일부 개정법률안 (대안) 검토보고"

      26 강상현,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 확산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이슈 분석" (4) : 2013

      27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아동학대 근절대책안"

      28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어린이집 아동학대 근절대책 관련 공청회"

      29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아동폭력 근절대책 추진 관련 보도자료"

      30 김은하, "어린이집 CCTV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99-117, 2015

      31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아동학대의 방지 및 피해아동의 보호관련법 제정 관련 공청회"

      32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국가승인통계 제15407호, 어린이집 및 이용자 통계)"

      33 이인규, "벤담의 파놉티콘과 근대 계몽주의 기획 : 파놉티콘 내 피감시자의 시선" 비판사회학회 (91) : 143-166, 2011

      34 김양현, "범죄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CCTV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3 (3): 59-80, 2007

      35 이상원, "방범용 CCTV의 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8 (8): 195-217, 2006

      36 박주상, "방범 감시 카메라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7) : 369-396, 2006

      37 허경미, "미국 전자감시제의 효과성 및 정책적 시사점연구" 한국교정학회 59 : 35-60, 2013

      38 성홍재, "디지털감시치안시스템설치에 대한 법적 고찰 - 디지털 CCTV설치를 중심으로 -" 한독사회과학회 20 (20): 163-186, 2010

      39 전명산, "국가에서 마을로" 갈무리 2014

      40 국회안전행정위원회, "공공기관의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 검토보고서" 2014

      41 신영진,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관리 개선방안 : CCTV 도입 및 운영을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10) : 591-606, 2007

      42 張校植, "공공기관의 CCTV감시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고찰" 한국토지공법학회 66 : 279-297, 2014

      43 안전행정부, "공공기관 CCTV 관리 가이드라인"

      44 손주연, "개인영상정보 보호체계의 문제점과 입법적 보완방안" (905) : 2014

      45 김상진, "감시사회의 도래에 따른 사회적 이슈에 관한 고찰: 혜택인가, 통제인가?" 한국융합보안학회 14 (14): 73-79, 2014

      46 이주락, "가두 방범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천안・아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18 (18): 107-132, 2008

      47 Gras, Marianne L, "The Legal Regulation of CCTV in Europe" 2 (2): 216-229, 2004

      48 Cole, Mark, "Signage and Surveillance : interrogating the textual context of CCTV in the UK" 2 (2): 430-445, 2004

      49 Coleman, Roy, "Reclaiming the streets : Closed Circuit Television, Neoliberalism and the Mystification of social divisions in Liverpool, UK" 2 (2): 293-309, 2004

      50 Fussey, Pete, "New Labour and New Surveillance : Theoretical and Political Ramifications of CCTV implementation in the UK" 2 (2): 251-269, 2004

      51 이철호, "CCTV와 인권" 13 : 27-65, 2005

      52 박동균, "CCTV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을 통한 캠퍼스에서의 활용방안" 395-492, 2006

      53 정태호, "CCTV감시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율에 대한 헌법적 평가" 한국헌법학회 14 (14): 167-196, 2008

      54 Graham, Stephen, "CCTV: The Stealthy Emergence of a Fifth Utility?" 3 (3): 237-241, 2002

      55 한국정보보호진흥원, "CCTV, 웹 카메라 개인영상정보보호 이슈 검토"

      56 배재현, "CCTV 운영 및 개인정보보호법에서의 문제점과 보완" (559) : 2012

      57 고현욱, "CCTV 운영 및 개인정보보호법에서의 문제점과 보완" (559) : 2012

      58 이민영, "CCTV 규제의 현황과 그 시사점" 18 (18): 1-31, 2006

      59 장여경, "CCTV 감시의 실태와 대응 : 직장의 감시 카메라에 대한대응 지침" 18-23, 2002

      60 Gallagher, Caoilfhionn, "CCTV and human rights : the Fish and the bicycle? An Examination of Peck V. United Kingdom (2003) 36 E.E.R.R. 41" 2 (2): 270-292, 2004

      61 Cameron, Heather, "CCTV and (In)dividuation" 2 (2): 136-14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ivil Society and NGO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79 1.155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