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도가(道家)의 ‘도(道)’ 미학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9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목적은 탈현대적 가치를 갖는 도가사상의 ‘도(道)’ 미학에 주목하여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내재되어 있는 미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 및 관련 서적을 ...

      본 연구 목적은 탈현대적 가치를 갖는 도가사상의 ‘도(道)’ 미학에 주목하여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내재되어 있는 미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 및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 통해 서양 미니멀리즘과 이와 연관성을 갖는 ‘도’ 미학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도가적 미니멀리즘 미의식을 도출한 후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의 미의식을 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2008년 이후부터 2021년까지 중국문화에 노출되어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은 중국계디자이너들이 전통적 미의식을 통해서 미니멀리즘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양 미니멀리즘과 상응하는 연관성을 갖는 ‘도’ 미학을 허(虛), 무위자연(無爲自然), 유(遊), 유무상생(有無相生) 등의 미적 개념으로 대별하여 조형적 특성 및 미적 가치를 살펴본 후 도출된 도가적 미니멀리즘의 미의식은 ‘비움의 허무미’, ‘미완의 약졸미’, ‘일기적 공간미’, ‘변증적 상생미’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내재된 미의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의 미니멀리즘의 ‘단순성’은 자연의 ‘본질추구’라는 특성을 내포한 ‘허’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허의 미니멀리즘적 단순성’에서 도출된 ‘비움의 허무미’는 무정형이며 일체의 꾸밈이 없는 직선형 실루엣의 간결한 형식으로 표출된다. 둘째, 미니멀리즘의 ‘환원성’은 ‘자연적 본질로의 회귀’라는 특성을 내포한 ‘무위자연’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무위자연의 미니멀리즘적 환원성’에서 도출된 ‘미완의 약졸미’는 인위적 흔적을 덜어내고 자연의 본성 그대로를 전시하기 위해 천연재료의 본형을 살리려는 방법으로 표출된다. 셋째, 미니멀리즘의 ‘상황성’은 ‘절대 자유의 공간 추구’의 특성을 내포한 ‘유’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유의 미니멀리즘적 상황성’에서 도출된 ‘일기적 공간미’는 비구조적 풍성한 실루엣, 천연의 질감을 갖는 소재 등을 통해 표출된다. 넷째, 미니멀리즘의 ‘전체성’은 ‘유무대립의 관계가 상생하여 강렬한 어울림’을 내포한 ‘유무상생’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유무상생의 미니멀리즘적 전체성’에서 도출된 ‘변증적 상생미’는 비대칭, 비균제적 조화를 통해 표출된다.
      이상으로 자연주의적 색채가 강한 도가적 미의식은 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Do’ aesthetics of the Taoism, which has post-modern values. As a research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Do’ aesthetics of the Taoism, which has post-modern values. As a research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books, Western minimalism and its related ‘Do’ aesthetics were examined,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oist minimalism was derived based on this, and the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inese minimalism fashion was analyzed. The scope of the study was targeted at works that were exposed to Chinese culture from 2008 to 2021 and reinterpreted as minimalism by Chinese designers who were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with a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oist minimalism, which was derived after examin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by dividing the aesthetics of ‘Do’, which has a corresponding connection with Western minimalism, into aesthetic concepts such as ‘Heo’, ‘Muwi-jayeon’, ‘Yu’, ‘Yumusangsaeng’, appeared as ‘Empty Heomu beauty’ and ‘Unfinished Yakzol beauty’, ‘Ilgijeok Space beauty’, ‘Dialectic Win-win beauty’.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icity’ of Western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Heo’ which implies the ‘pursuit of the essence’ of nature, the ‘Empty Heo-mu beauty’ derived from ‘Heo’s minimalistic simplicity’ is expressed in a concise form of a straight silhouette without any amorphous ornamentation. Second, the ‘reduction’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Muwi-jayeon’,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return to the essence of nature’ and ‘Unfinished Yakzol beauty’ derived from ‘minimalistic reducibility of Muwi-jayeon’ is expressed as a way to remove artificial traces and reveal nature. Third, the ‘situationality’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Yu’,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bsolute freedom space pursuit’, and the ‘Ilgijeok Space beauty’ derived from ‘minimalistic situationality of Yu’, is expressed through unstructured silhouettes and natural textures. Fourth, the ‘wholeness’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Yumusangsaeng’ that implies ‘intense harmony due to the coexistence of relationships’, and ‘Dialectic Win-win beauty’ derived from the ‘Yumusangsaeng’ of the aesthetics of the ‘existence-free coexistence’ is expressed through asymmetric and non-uniform harmony.
      As mentioned above, the Taoist aesthetic with strong naturalistic color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나타난 ‘도’ 미의식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나타난 ‘도’ 미의식
      • Ⅳ.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미,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젠(zen;禪)양식에관한 연구" 50 (50): 2000

      2 채혜숙, "현대 복식에 나타난 에스닉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8 (58): 63-78, 2008

      3 이상옥, "현대 미학의 이론에서 본 도가 미학 -노자와 장자의 미학 본체론을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37 : 109-164, 2012

      4 조각현, "현대 디자인에 반영된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 광고·패션디자인을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30 : 23-33, 2009

      5 김지연, "현대 건축과 패션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의비교 연구" 2011 (2011): 2011

      6 최광진, "한국의 미학: 서양, 중국, 일본과의 다름을 논하다" 미술문화 2016

      7 이규락, "한국 미와 도가적 미의식 간의 관계성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393-403, 2015

      8 양건화, "한·중 시각디자인의 미학적 특성 비교연구 : 1950년대 이후의 포스터디자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9 강병석,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 시대의 미니멀 스타일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3 (3): 137-146, 2002

      10 언규, "중국회화에 나타난 ‘빔’의 미학" (3) : 2009

      1 조정미,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젠(zen;禪)양식에관한 연구" 50 (50): 2000

      2 채혜숙, "현대 복식에 나타난 에스닉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8 (58): 63-78, 2008

      3 이상옥, "현대 미학의 이론에서 본 도가 미학 -노자와 장자의 미학 본체론을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37 : 109-164, 2012

      4 조각현, "현대 디자인에 반영된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 광고·패션디자인을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30 : 23-33, 2009

      5 김지연, "현대 건축과 패션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의비교 연구" 2011 (2011): 2011

      6 최광진, "한국의 미학: 서양, 중국, 일본과의 다름을 논하다" 미술문화 2016

      7 이규락, "한국 미와 도가적 미의식 간의 관계성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393-403, 2015

      8 양건화, "한·중 시각디자인의 미학적 특성 비교연구 : 1950년대 이후의 포스터디자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9 강병석,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 시대의 미니멀 스타일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3 (3): 137-146, 2002

      10 언규, "중국회화에 나타난 ‘빔’의 미학" (3) : 2009

      11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1997

      12 천촨시, "중국산수사2" 심포니 2014

      13 박혜원, "젠(Zen : 禪)패션에 표현된 미적 특성에관한 연구" 3 : 1999

      14 이종선, "장자미학의 해체론적 성격연구" 74 : 2005

      15 서희봉, "일본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젠 스타일 미니멀리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297-309, 2015

      16 남소은, "유교적 개념의 미니멀리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293-303, 2008

      17 주랑즈, "미학으로 동양인문학을 꿰뚫다" 알마 2013

      18 김수휘, "미니멀리즘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9 황윤정, "미니멀리즘 조형의 동양 선(禪)사상적 해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593-608, 2018

      20 이종선, "미니멀리즘 ‘최소화’ 관점으로 본 SUSTAINABLE PACKAGE DESIGN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455-463, 2010

      21 정정옥, "문인화의 도가미학적 고찰" 한국동양예술학회 (32) : 317-331, 2016

      22 김동섭, "디지털 시대의 확장된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119-132, 2008

      23 송만용, "디지털 미디어에 나타난 디자인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예술과미디어학회 14 (14): 171-196, 2015

      24 이마미치 도모노부, "동양의 미학" 다하미디어 2005

      25 이규락, "도가적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 한국의 문화적 디자인 콘텐츠 개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6 김홍경, "노자: 삶의 기술, 늙은이의 노래" 들녘 2013

      27 박혜원, "文化 轉移(culture transition)의 視覺에서 본 젠(禪)패션 硏究" 4 (4): 2000

      28 김응학, "‘餘白’의 生命美學에 관한 고찰" 한국동양예술학회 (19) : 287-317, 2012

      29 "https://www.vogue.co.uk"

      30 "https://www.designboom.com"

      31 "https://wwd.com/fashion-news"

      32 "https://us.fashionnetwork.com"

      33 "https://nowfashion.com"

      34 "http://yangli.eu/collections"

      35 "http://www.umawang.com"

      36 "http://www.fi.co.kr/mobile/"

      37 정소라, "M. 메를로-퐁티 철학의 시각적 유형화 -미니멀리즘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391-403, 2012

      38 권현희, "<몽유도원도>의 심미(審美)와 창신(創新)에 관한 도교 미학적 고찰" 한국미학예술학회 47 : 215-252,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