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내러티브 형식과 수사학 연구 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9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패션 필름이 브랜드 충성도와 실제적인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포스트 팬데믹으로 인한 언택트 마케팅이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표는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을 대상으로 수사법과 이를 통해 전달되는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스포츠웨어 브랜드들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에서는 시각적 수사학에 대해 살펴본 다음,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내러티브를 종합하여 요약하였다. 그리고 실증연구에서는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내러티브를 토대로 수사적 표현 방식의 특징과 의미를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패션 필름에 내재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스포츠웨어 브랜드들은 각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와 개성에 따라 영감과 통찰력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통해 소비자와 정서적으로 연결, 브랜드 페르소나를 호의적으로 인식시키고, 정치적 · 사회적으로 부과된 주제를 다루어 공익적 메시지를 송출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공공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었다. 또한, 패션 필름에 기쁨과 감동, 행복 등의 긍정적인 감정을 담아내어 효과적으로 관객이 브랜드가 목표한 메시지를 기억하고 오랫동안 연상하게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개별화, 다양화된 소비자 소유 및 사용에 대한 즐거운 스토리, 스포츠 튜토리얼,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융합하여 대중의 일상을 파고드는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스토리를 자신만의 이야기로 만들고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사회적 관계와 브랜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을 분석한 본 연구는 브랜드들이 다양한 콘텐츠들을 조합하고 해석한 매력적인 패션 필름을 송출하고 있으며, 패션 필름이 관객으로 하여금 거부감 없이 쉽게 브랜드를 경험하고 우호적인 감정,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시각적인 콘텐츠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활발하게 다뤄질 디지털 미디어 혁신이 불러올 패션 미디어와 패션 문화에 대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융 · 복합적 접근방식의 패션 필름 개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립 등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패션 필름이 브랜드 충성도와 실제적인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포스트 팬데믹으로 인한 언택트 마케팅이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표는 스포츠웨어 ...

      패션 필름이 브랜드 충성도와 실제적인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포스트 팬데믹으로 인한 언택트 마케팅이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표는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을 대상으로 수사법과 이를 통해 전달되는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스포츠웨어 브랜드들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에서는 시각적 수사학에 대해 살펴본 다음,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내러티브를 종합하여 요약하였다. 그리고 실증연구에서는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내러티브를 토대로 수사적 표현 방식의 특징과 의미를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패션 필름에 내재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스포츠웨어 브랜드들은 각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와 개성에 따라 영감과 통찰력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통해 소비자와 정서적으로 연결, 브랜드 페르소나를 호의적으로 인식시키고, 정치적 · 사회적으로 부과된 주제를 다루어 공익적 메시지를 송출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공공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었다. 또한, 패션 필름에 기쁨과 감동, 행복 등의 긍정적인 감정을 담아내어 효과적으로 관객이 브랜드가 목표한 메시지를 기억하고 오랫동안 연상하게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개별화, 다양화된 소비자 소유 및 사용에 대한 즐거운 스토리, 스포츠 튜토리얼,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융합하여 대중의 일상을 파고드는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스토리를 자신만의 이야기로 만들고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사회적 관계와 브랜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을 분석한 본 연구는 브랜드들이 다양한 콘텐츠들을 조합하고 해석한 매력적인 패션 필름을 송출하고 있으며, 패션 필름이 관객으로 하여금 거부감 없이 쉽게 브랜드를 경험하고 우호적인 감정, 일체감을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시각적인 콘텐츠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활발하게 다뤄질 디지털 미디어 혁신이 불러올 패션 미디어와 패션 문화에 대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융 · 복합적 접근방식의 패션 필름 개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립 등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shion films are actively being used to influence brand loyalty, actual purchasing power, and untact marketing due to the post-pandemic becoming important. At this poin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sportswear brands by analyzing the rhetoric and the meaning conveyed through it.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In the literature study, after reviewing the visual rhetoric, the narratives that appeared in the fashion films of sportswear brands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were synthesized and summarized. And in the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narrative expressed by the sportswear brand fashion film,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rhetorical expression method were analyzed in three dimensions to derive the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inherent in fashion films.
      As a result of this study, sportswear brands were emotionally connected to consumers and favorably recognized brand persona through content that provided inspiration and insight depending on the value and personality each brand pursues. In addition, by dealing with politically and socially imposed topics and transmitting public messages, they formed a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brand and created public value. In addition, by capturing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emotion, and happiness in fashion films, the audience is effectively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brand to remember the message it aims at and remind them of it for a long time. By combining individualization, diversified consumer ownership and use, sports tutorials, and entertainment elements to provide lifestyle content that penetrates the public’s daily lives, it can be seen to encourage consumers to create their own stories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brand communities. This study, which analyzes the fashion films of sportswear brands, is sending out attractive fashion films in which brands combine and interpret various content, and the fashion film allows the audience to easily experience the brand without reluctance, and to form a friendly feeling and a sense of unity. It can be said to show that it has important value as visual content from what it indu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research on fashion media and fashion culture, which will be actively handled in the future, and la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fashion film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번역하기

      Fashion films are actively being used to influence brand loyalty, actual purchasing power, and untact marketing due to the post-pandemic becoming important. At this poin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sportswear ...

      Fashion films are actively being used to influence brand loyalty, actual purchasing power, and untact marketing due to the post-pandemic becoming important. At this poin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sportswear brands by analyzing the rhetoric and the meaning conveyed through it.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In the literature study, after reviewing the visual rhetoric, the narratives that appeared in the fashion films of sportswear brands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were synthesized and summarized. And in the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narrative expressed by the sportswear brand fashion film,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rhetorical expression method were analyzed in three dimensions to derive the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inherent in fashion films.
      As a result of this study, sportswear brands were emotionally connected to consumers and favorably recognized brand persona through content that provided inspiration and insight depending on the value and personality each brand pursues. In addition, by dealing with politically and socially imposed topics and transmitting public messages, they formed a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brand and created public value. In addition, by capturing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emotion, and happiness in fashion films, the audience is effectively trying to communicate with the brand to remember the message it aims at and remind them of it for a long time. By combining individualization, diversified consumer ownership and use, sports tutorials, and entertainment elements to provide lifestyle content that penetrates the public’s daily lives, it can be seen to encourage consumers to create their own stories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brand communities. This study, which analyzes the fashion films of sportswear brands, is sending out attractive fashion films in which brands combine and interpret various content, and the fashion film allows the audience to easily experience the brand without reluctance, and to form a friendly feeling and a sense of unity. It can be said to show that it has important value as visual content from what it indu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research on fashion media and fashion culture, which will be actively handled in the future, and la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fashion film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수사학과 커뮤니케이션 전략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수사학과 커뮤니케이션 전략
      • Ⅳ.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희,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07

      2 Hans-Georg. G., "진리와 방법Ⅰ" 문학동네 2007

      3 이진희, "윤리적 소비가치(코즈마케팅)가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 14 (14): 19-31, 2015

      4 이현이, "예술 활용 공익마케팅이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마리몬드의 공익연계활동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7

      5 장호현, "영화에 있어서 수사법에 입각한 시각표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6 (6): 423-432, 2006

      6 Joly M., "영상 이미지 읽기" 문예출판 1999

      7 박현주, "영상 광고 프로덕션 디자인에서 비주얼 메타포의 설득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8

      8 김수진, "시각적 수사법을 활용한 광고의 유형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71-82, 2008

      9 이미숙,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내러티브 형식과 수사학 연구 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7 (27): 283-305, 2021

      10 유성호, "스포츠 브랜드의 온라인 광고영상 디자인 요인 분석"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3 : 195-204, 2020

      1 김윤희,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07

      2 Hans-Georg. G., "진리와 방법Ⅰ" 문학동네 2007

      3 이진희, "윤리적 소비가치(코즈마케팅)가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IT서비스학회 14 (14): 19-31, 2015

      4 이현이, "예술 활용 공익마케팅이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마리몬드의 공익연계활동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7

      5 장호현, "영화에 있어서 수사법에 입각한 시각표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6 (6): 423-432, 2006

      6 Joly M., "영상 이미지 읽기" 문예출판 1999

      7 박현주, "영상 광고 프로덕션 디자인에서 비주얼 메타포의 설득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8

      8 김수진, "시각적 수사법을 활용한 광고의 유형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71-82, 2008

      9 이미숙,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패션 필름에 나타난 내러티브 형식과 수사학 연구 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7 (27): 283-305, 2021

      10 유성호, "스포츠 브랜드의 온라인 광고영상 디자인 요인 분석"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3 : 195-204, 2020

      11 김봉현, "소셜미디어의 시대, 광고 커뮤니케이션 의 진화와 소비자 이해 : 해석주의 관점 에서 내러티브 패러다임의 적용 가능성 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30 (30): 53-102, 2019

      12 차배근,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 나남 1998

      13 변현진, "범죄예방 포스터에 나타난 이미지의 특성과 시각적 수사 접근 연구- 아동학대 예방 포스터를 중심으로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5) : 261-277, 2018

      14 박현주, "미디어 프로덕션 디자인에서 이미지 수사학의 의미작용 분석 ‘갤럭시 노트3’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25-35, 2017

      15 양웅, "광고표현의 수사적 특징 변화 연구- 1993년∼2003년 국내 잡지광고를 대상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66) : 239-265, 2005

      16 임성택, "광고에서의 수사학적 표현기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 2007년 이후 세계 3대 광고제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33 : 36-45, 2010

      17 정창희, "광고에 나타난 수사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 국내 아파트 분양광고의 슬로건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7

      18 Peninou G., "광고기호읽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3-, 1998

      19 이현주, "공익연계마케팅의 설득 효과: 적합성과 메시지 제시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2 (22): 62-99, 2020

      20 강태완, "공익광고의 언어와 이미지의 수사학과 수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3) : 299-329, 2004

      21 조각현, "공익광고의 비주얼 펀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공익광고제' 공익포스터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7 : 69-82, 2016

      22 "www.socialmediatoday.com/content/how-brands-sho uld-show-their-authentic-voice-social-media"

      23 "www.forbes.com/sites/work-in-progress/2013/02/05/5-secrets-to-using-storytelling-for-brand-marketing-s uccess/#33de8f5e3dd9"

      24 "digitalmarketinginstitute.com/blog/what-is-emotiona l-branding-and-how-is-it-effective"

      25 "business.trustpilot.com/guides-reports/build-trustedbr and/the-personality-behind-the-most-reputable-brands"

      26 Sheth J. N., "Why We Buy What We Buy: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22 (22): 1991

      27 문영화, "WWF 광고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공익광고 커뮤니케이션 연구 : 시각적 수사학 관점에서 접근" 국민대학교 2016

      28 Phillips B. J., "The Impact of Verbal Anchoring on Consumer Response to Image Ads" 29 (29): 2000

      29 Eckler P., "Spreading the Virus: Emotional Tone of Viral Advertising and Its Effect on Forwarding Intentions and Attitudes" 11 (11): 2011

      30 Jacques Durand, "Rhétorique et Image Publicitaire" (15) : 1970

      31 Van Enschot R., "Rhetoric in Advertising: Attitudes Towards Verbo-pictorial Rhetorical Figures" 16 (16): 2008

      32 Kress G., "Reading Images" Roultedge 1996

      33 Forceville C., "Pictorial Metaphor in Advertising" Routledge 1996

      34 Polkinghorne D. E., "Narrative Knowing and Human Scien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35 Mijovic N., "Narrative Form and the Rhetoric of Fashion in the Promotional Fashion Film" 2 (2): 2013

      36 Herold M., "Mass Entertainment" College & University Press 1966

      37 Barthes R., "L’aventure Sémiologique" Editions du Seuil 1985

      38 McQuarrie E. F., "Indirect Persuasion in Advertising: How Consumers Process Metaphors Presented in Pictures and Words" 34 (34): 2005

      39 Sonja K. Foss, "Handbook of Visual Communication:Theory, Methods, and Media" Routledge 2004

      40 Maes A., "Go Figure New Directions in Advertising Rhetoric" Sharpe 2008

      41 Amarachi N., "Branded Documentaries: Exploring the Effect of Utilizing Documentary Film Making Styles on Emotional Connections with Audiences" The University of Texas 2020

      42 Gkiouzepas L., "Articulating a New Framework for Visual Metaphors in Advertising" (Spring) : 2011

      43 Cornwell T. B., "An “International Review of Sponsorship Research”" 27 (27): 2001

      44 Eco U., "A Theory of Semio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