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유무역협정(FTA)이 환경오염산업 교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한・칠레 FTA와 한・싱가포르 FTA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5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today's trend toward globalization and trade liberalization, such crucial issues as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have been under controversial debate in the policy community.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Along with today's trend toward globalization and trade liberalization, such crucial issues as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have been under controversial debate in the policy community.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that Korea-Chile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Korea-Singapore FTA have had on inter-country trades in environmental pollution industries. For empirical analysis, it employs an interrupted time series (ITS) analysis method 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hich needs to use comparison group(s) in analyzing net effects of FTA policy. Thus, it utilizes a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 to reduce the potential problem of selection bias. Mexico and Canada were selected as comparison countries for Chile and Singapore, respectively. It uses the monthly data on imports and exports (measured in tons) covering January 2000 to August 2014.According to empirical findings, Korea-Chile FTA had no effects on the inter-country trades in pollution industries either between Korea and Chile or between Korea and Mexico. However, Korea-Singapore FTA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both exports and imports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Korea-Singapore FTA took effect, the importing amounts from Canada to Korea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the exporting amounts from Korea to Canada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In summary, these findings do not seem to provide conclusive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e and environment. In future, more empirical analyses and cas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rade and enviro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훈, "환경정의에 기초한 환경정책 평가기준: 전자폐기물의 국가간 이동문제를 중심으로" 1-14, 2004

      2 심기은, "환경오염산업에서 유럽과 한국 간 환경투자의 상대적 차이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2281-2297, 2010

      3 김지욱, "환경오염과 경제성장 간의 관게에 대한 모형구축 및 실증분석" 한국환경경제학회 12 (12): 515-529, 2003

      4 강만옥, "환경기준 강화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국제무역 및 생산성을 중심으로" 삼성경제연구소 1997

      5 김현, "환경규제의 오염 집약적 재화 수입에 대한 영향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30 (30): 1-17, 2012

      6 이지연, "환경규제가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규제학회 20 (20): 69-92, 2011

      7 강만옥, "환경규제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9

      8 이영범, "환경규제, 기술혁신, 생산성과의 관계: Porter 가설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5 (45): 171-197, 2011

      9 고희채, "한・캐나다 수교 50주년: 경제협력 성과와 과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10 오수현, "한・캐나다 FTA의 현황과 경제적 의미" 7 (7): 1-8, 2013

      1 김정훈, "환경정의에 기초한 환경정책 평가기준: 전자폐기물의 국가간 이동문제를 중심으로" 1-14, 2004

      2 심기은, "환경오염산업에서 유럽과 한국 간 환경투자의 상대적 차이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2281-2297, 2010

      3 김지욱, "환경오염과 경제성장 간의 관게에 대한 모형구축 및 실증분석" 한국환경경제학회 12 (12): 515-529, 2003

      4 강만옥, "환경기준 강화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국제무역 및 생산성을 중심으로" 삼성경제연구소 1997

      5 김현, "환경규제의 오염 집약적 재화 수입에 대한 영향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30 (30): 1-17, 2012

      6 이지연, "환경규제가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규제학회 20 (20): 69-92, 2011

      7 강만옥, "환경규제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9

      8 이영범, "환경규제, 기술혁신, 생산성과의 관계: Porter 가설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5 (45): 171-197, 2011

      9 고희채, "한・캐나다 수교 50주년: 경제협력 성과와 과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10 오수현, "한・캐나다 FTA의 현황과 경제적 의미" 7 (7): 1-8, 2013

      11 이종구, "하수처리시설 민간위탁의 성과에 관한 연구: 비교집단을 활용한 단절시계열분석(G-Arch)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7 (17): 23-53, 2013

      12 이성우, "정책평가의 패러다임과 과제" 28-47, 2008

      13 장용진, "정부신뢰의 원인: 국가간 비교연구" 정부학연구소 19 (19): 189-214, 2013

      14 조원혁, "정보통신분야 경쟁력의 국가간 비교: ICT 국제지표의 특징, 유용성, 그리고 한계" 2012

      15 성봉석, "재생에너지 산업에서의 환경규제와 수출특화패턴 간 관계분석" 국제지역연구원 17 (17): 103-125, 2010

      16 이정전, "우리는 왜 행복해지지 않는가" 토네이도 2012

      17 김용원, "우리나라 폐기물 수출입 관리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9 (9): 151-171, 2008

      18 황석준, "오염피난처 가설과 교역상대국" 한국경제연구학회 30 (30): 119-139, 2012

      19 송근원, "아리마 시계열분석" 부산 : 금정 2005

      20 정동빈, "시계열 수요예측 1 (SPSS PASW)" 한나래아카데미 2009

      21 민인식, "성향점수매칭추정량을 이용한 자원봉사와 기부와의 인과관계 추정" 2010

      22 황진영, "사회보호 지출에 대한 경제사회적ㆍ정치적 영향: OECD 국가 간 실증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27-43, 2009

      23 김영생, "무역과 환경" 두남 2002

      24 성봉석, "무역과 환경" 大經 2004

      25 김기흥, "무역과 환경" 집문당 2005

      26 문남권, "멕시코의 자유무역과 환경 상관관계 고찰" 중남미연구소 30 (30): 97-120, 2011

      27 김기흥, "동북아지역의 경제통합이 지속가능 무역에 미치는 영향 -한ㆍ중ㆍ일의 국제환경협력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통상학회 7 (7): 47-74, 2002

      28 서인석, "단절시계열을 활용한 국회입법지원제도의 정책효과분석:동형화(isomorphism)이론의 제도수용과 안정화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245-269, 2013

      29 강소랑, "기초노령연금제도가 고령자의 경제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3 (23): 59-85, 2013

      30 환경부, "기술발전을 고려한 통합환경관리 도입방안" 환경부 2014

      31 조인성, "금융시장ㆍ경제위기의 시대에 환경보호와 경제 사이의 긴장관계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17 (17): 277-301, 2010

      32 임완섭,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 효과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2 (22): 219-243, 2012

      33 이대웅, "근로장려세제(EITC)의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 성향점수 매칭(PSM) 이중・삼중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4 (24): 27-56, 2015

      34 김태헌, "국제환경협약과 WTO체제의 Green라운드"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155-196, 2006

      35 도미니크 살바토레, "국제무역론" 시그마 프레스 2010

      36 최강식, "고용영향 분석평가 방법론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181-202, 2007

      37 윤유진, "경향점수매칭 분석방법을 통한 사교육, 방과후학교, EBS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38 김덕기, "개입 분석 모형 예측력의 비교분석" 한국통계학회 16 (16): 10-303, 2003

      39 제갈돈, "간여시계열분석을 통한 안동댐의 기상영향평가" 29 (29): 47-60, 1995

      40 Porter, M. E., "Toward a new conception of the environment competitiveness relationship" 9 (9): 97-118, 1995

      41 Box, G. E. P., "Time Series Analysis : Forecasting and Control" Holden Day 1976

      42 Tobey, J. A., "The effects of domestic environmental policies on patterns of world trade: An empirical test" 43 (43): 191-209, 1990

      43 Rosenbaum, P. R.,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70 (70): 41-55, 1983

      44 Ambec, S. M., "The Porter hypothesis at 20: Can environmental regulation enhance innovation and competitiveness?" Resources for the Future 2011

      45 Kellough, J., "The 1978 civil service reform and federal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19 (19): 313-324, 1989

      46 Caliando, M., "Some practical guidance for the implementation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22 (22): 31-72, 2008

      47 Cook, T. D., "Quasi-experimentation : Design & Analysis Issues For Field Settings" Houghton Mifflin 1979

      48 Franklin, S., "Propensity Score Matching: An Application using the ABS Business Characteristics Survey"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2

      49 Neumayer, E., "Pollution havens: An analysis of policy operation for dealing with an elusive phenomenon" 10 (10): 147-177, 2001

      50 Low, P., "International Trade and the Environment" World Bank 89-103, 1992

      51 Esty, D., "Greening the GATT: Trade, Environment, and the Future"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94

      52 Liddle, B., "Free trade and the environment-development system" 39 (39): 21-36, 2001

      53 Dean, J. M.,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pollution havens: Evaluating the evidence from China. U. 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2004

      54 조미진, "FTA 활용률, 한・칠레는 90% 한・싱가포르는 26%" 2012 (2012): 42-43, 2012

      55 김기흥, "FTA 를 통한 경제통합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무역 -환경 정책" 한국응용경제학회 5 (5): 73-109, 2003

      56 Campbell, D. T.,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research" Rand McNally College Pub. Co 1966

      57 Becker, S., "Estimation of average treatment effects based on propensity scores" 2 (2): 358-377, 2002

      58 Jaffe, A. B.,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innovation: A panel data study" 79 (79): 610-619, 1997

      59 Siebert, H., "Environmental quality and the gains from trade" 30 (30): 657-673, 1977

      60 Grossman, G. M., "Environmental impact of a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91

      61 김일중,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Korean Trades" 한국환경경제학회 22 (22): 785-815, 2013

      62 Field, B. C., "Environmental Economics : An Introduction" McGraw-Hill 1994

      63 은웅, "EU에 대한 산업내무역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세학회 9 (9): 197-219, 2008

      64 Managi, S., "Does trade openness improve environmental quality?" 58 (58): 346-363, 2009

      65 McAusland, C., "Do national borders matter? International trade and the environment" 65 (65): 411-437, 2013

      66 Bhagwati, J., "Debate : does free trade harm the environment?" 269 (269): 17-29, 1993

      67 Porter, M. E., "America’s green strategy" 264 (264): 168-, 1991

      68 제갈돈, "ARIMA 방법을 이용한 간이시계열 실험과 분석" 自由아카데미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5 0.73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