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n Analysis of pei: ‘give’ in Myanm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912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GIVE’에 해당하는 어휘는 일반적으로 행위자, 대상, 수혜자의 논항 3개를 필요로 하는 다중 타동사로 사용된다. 그러나 남아시아어들을 중심으로 여러 언어들에서 ‘GIVE’에 해당하는 어...

      ‘GIVE’에 해당하는 어휘는 일반적으로 행위자, 대상, 수혜자의 논항 3개를 필요로 하는 다중 타동사로 사용된다. 그러나 남아시아어들을 중심으로 여러 언어들에서 ‘GIVE’에 해당하는 어휘가 이러한 일반 용법 이외에 다양한 방식과 기능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ord et al.(2002)는 아칸어, 태국어, 말레이어, 요루바어 등에서 GIVE 를 기존 다중 타동사의 기능 이외에 수혜자(benefactive) 표시자, 관점(perspective/stance) 표시자, 허락/사역(permissive/causative) 표시자, 목적/결과(purposive/consequence) 표시자, 그리고 사유(reason) 표시자로 분류하고 있다. Song(1997)은 태국어, 캄보디아어, 베트남어에서 기존의 다중 타동사의 어휘소와 더불어 수혜자 표시자, 목적 표시자, 그리고 부사-구성(adverb-formation) 표시자로서 GIVE 의 기능을 구분하고 있다. 다수의 언어에서 ‘GIVE’에 해당하는 어휘들의 다양한 기능들이 보고되고 분류되어 왔음에 반해 미얀마어의 pei:‘give’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고,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Okell and Allot(2001)과 Okano(2005)에서 pei:를 허락/사역 표시자 기능 정도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얀마어의 pei:에 대하여 허락과 사역 표시자 이외의 기능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pei:에 대한 일반화를 시도한다. 실제로 미얀마어의 pei:는 다중 타동사와 허락/사역의 기능뿐만 아니라 수혜자 및 의도(intention) 표시자로의 기능이 있음을 제안하고, 이를 통합하여 크게 세 가지 유형의 pei:, 즉 다중 타동사 pei:, 사역의 pei:그리고 상(aspectual)의 pei:로 정리한다. 특히 사역의 pei:에는 이중 절 구조가 이용되며, Hasegawa(2002) 등의 제안을 토대로 상위절 v에 [causative] 자질이 설정된다. 상의 pei: 활용을 위해서 본 연구는 상구(Aspectual Phrase)를 제시하며 그 머리어에는 [beneficiary] 혹은 [intention]의 자질을 설정한다. 그 동안 연구가 미진했던 미얀마어의 pei:에 대한 기능들을 일관성 있게 분류하고 세 가지 유형으로 일반화를 하였다는 점에서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분석에는 형태론적 그리고 통사론적 근거들이 활용되었으며, 향후 이 세 가지 유형으로의 변화에 대한 통시적 근거와 더불어 사역과 상의 pei:에서 하위 동사들과의 융합(incorporation)의 과정에 달라지는 어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rd ‘GIVE’ is highly productive in many languages. Lord et al. (2002) categorize the functions of the word ‘GIVE’ as a main verbal lexeme (ditransitive verb), a benefactive marker, a perspective/stance marker, a permissive and causative m...

      The word ‘GIVE’ is highly productive in many languages. Lord et al. (2002) categorize the functions of the word ‘GIVE’ as a main verbal lexeme (ditransitive verb), a benefactive marker, a perspective/stance marker, a permissive and causative marker, a purposive/consequence marker, and a reason marker in Akan, Thai, Malay, and Yoruba languages. Song (1997) groups the functions of the word ‘GIVE’ as a main verbal lexeme, a benefactive marker, a purposive marker, and an adverb-formation marker in Thai, Khmer, and Vietnamese languages. Lee (1993) reports further that the word ‘GIVE’ can be used as a main verbal lexeme, a benefactive marker, and a permission marker. Although analysis of the word ‘GIVE’ has been widely done in many languages, pei: ‘give’ in Myanmar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nd has been recently analyzed mainly in the causative construction. This paper thus analyzed the properties of pei: in Myanmar to see what aspects of pei: are used, how many functions it serves, and what patterns of pei: are used in the sentences. This paper categorized the functions of pei: into three types: a ditransitive pei:, a causative pei:, and an aspectual pei:All three functions of pei: have been generaliz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as well as syntactic aspects. Myanmar has thus been generaliz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universals and diversity in the study of languages. A further possible study will be on the issue of the left-right directionality of the incorporation of the lower verb onto pei:, which will surely reveal the morphological as well as the syntactic properties of pei: in Myanm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Three Types of pei: ‘give’ Ⅳ.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Three Types of pei: ‘give’ Ⅳ.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ord. C., "Typological Studies in Language 49: New Reflections on Grammaticaliza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217-235, 2002

      2 Zimmermann, J., "The New Testament of Our Lord and Saviour Jesus Christ" The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 1859-1861, 1859

      3 Chomsky, N., "The Minimalist Program" MIT Press 1995

      4 Song, J., "The Linguistics of Giving" John Benjamins 327-348, 1998

      5 Migge, B., "Substrate influence in creole formation: The origin of give-type serial verb constructions in the Surinamese Plantation Creole" 13 (13): 215-266, 1998

      6 Okano, K., "Studies in Burmese Linguistics, PL-570, Pacific Linguistic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97-104, 2005

      7 Okell, J., "Reference Grammar of Colloquial Burmese" Oxford University Press 1969

      8 Xu, Y.,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coarticulated tones" 95 : 2240-2257, 1994

      9 Collins, C., "Local Economy" MIT Press 1997

      10 Yuh-show Cheng, "Language Anxiety: Differentiating Writing and Speaking Components" Wiley 49 (49): 417-446, 1999

      1 Lord. C., "Typological Studies in Language 49: New Reflections on Grammaticaliza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217-235, 2002

      2 Zimmermann, J., "The New Testament of Our Lord and Saviour Jesus Christ" The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 1859-1861, 1859

      3 Chomsky, N., "The Minimalist Program" MIT Press 1995

      4 Song, J., "The Linguistics of Giving" John Benjamins 327-348, 1998

      5 Migge, B., "Substrate influence in creole formation: The origin of give-type serial verb constructions in the Surinamese Plantation Creole" 13 (13): 215-266, 1998

      6 Okano, K., "Studies in Burmese Linguistics, PL-570, Pacific Linguistic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97-104, 2005

      7 Okell, J., "Reference Grammar of Colloquial Burmese" Oxford University Press 1969

      8 Xu, Y.,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coarticulated tones" 95 : 2240-2257, 1994

      9 Collins, C., "Local Economy" MIT Press 1997

      10 Yuh-show Cheng, "Language Anxiety: Differentiating Writing and Speaking Components" Wiley 49 (49): 417-446, 1999

      11 Newman, J., "Conceptualization and mental processing in language" Moutan de Gruyter 433-473, 1993

      12 Hasegawa, N., "Causatives and the Role of v: Agent, Causer, and Experiencer"

      13 Okell, J., "Burmese/Myanmar dictionary of grammatical forms" Curzon Press 2001

      14 Lee, K., "A Korean Grammar on Sematic-Pragmatic Principles" Hankwuk Munhwasa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