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 제도화된 협동을 위한 조건과 노력 = Northeast Asia Plus Community of Responsibility : Conditions and Efforts for Institutionalized Collabor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theoretically grounded empirical contribution aimed at shedding light on what conditions and efforts are necessary toward institutionalized collaboration of Northeast Asia Plus Community of Responsibility overcoming geopolitical instab...

      This paper is a theoretically grounded empirical contribution aimed at shedding light on what conditions and efforts are necessary toward institutionalized collaboration of Northeast Asia Plus Community of Responsibility overcoming geopolitical instability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of peace and prosperity. Institutionalized collaboration has been developed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of generalization of moral authority, the pursuit of common interests, and adjustment and cooperation on the reinterpretation of sovereignty. What’s important here is that Northeast Asia Plus Community of Responsibility, which play a role as a module to link existing regional vision can expand South Korea’s diplomatic position as overcoming exclusiveness and extending inclusiveness of regional vision in neighboring countries. In this sense, practical efforts such as installation of department in charge of implementation, creation transnational collaborative networking, and government-level policy support for fund raising based on the conditions of strategic linkage with various new-regional order of G2, active response for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virtuous management for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of should be required in order to successfully settle down the institutionalized collaboration of Northeast Asia Plus Community of Responsibility. In other words, the institutionalized collaboration of Northeast Asia Plus Community of responsibility based on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sharing responsibility need ‘two-track strategy’ not only to solve security problems through political and diplomatic efforts but also to settle down the peace and prosperity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정학적 불안정성을 극복하고 평화와 번영의 미래를 준비하는 한국의 지역 비전인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의 제도화된 협동을 향한이론화 작업을 기반으로 어떠한 성공적인 조...

      본 연구는 지정학적 불안정성을 극복하고 평화와 번영의 미래를 준비하는 한국의 지역 비전인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의 제도화된 협동을 향한이론화 작업을 기반으로 어떠한 성공적인 조건과 노력이 필요한지를 실증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제도화된 협동은 최근의 현상이 아니라 오랜 기간을 통해 진행되어 온 것으로 도덕적 권위의 일반화, 공동 이익의 추구, 주권의 재해석을 둘러싼 조정과 협조의 논의를 중심으로 전개되어왔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가 기존 지역 비전들을 연결하는 모듈 역할을 할뿐 아니라 주변국의 지역 비전들이 가지고 있는 배타성을극복하고 포용성을 확대함으로써 한국의 외교적 입지를 확대할 수 있다는사실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의 제도화된 협동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G2의 다양한 신지역질서 구상과의 전략적연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적극적 대응, 한일관계의 협력 증진을위한 선순환적 관리 등과 같은 조건을 기반으로 추진 담당 부서의 설치, 추진 방향의 구체화, 초국가적 협력 네트워킹의 구축, 재원 조달을 위한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 등과 같은 실질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다시 말하면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의 제도화된 협동은 책임 공유를 통한 지역협력의 기 반하에 정치⋅외교적인 노력으로 안보 문제를 풀어나가는 동시에 경제 협 력을 통해 평화와 번영을 정착시키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재인, "한국과 아세안 :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상생의 파트너"

      2 최강, "폼페오 국무장관 3차 방북 이후 비핵화 협상 전망"

      3 김치욱, "중견국 외교론으로 본 동북아평화협력구상" 동아연구소 35 (35): 1-27, 2016

      4 김영철, "외환위기 이후 동아시아 지역주의: 한,중,일 3국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21 (21): 1-31, 2005

      5 남덕우, "왜 동북아개발은행이 필요한가?"

      6 박번순, "신남방정책의 과제와 추진전략" 2018

      7 전재성, "동아시아 지역질서 이론: 불완전 주권과 지역갈등" 사회평론 2018

      8 박인휘,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 추진방향" 2017

      9 김준형,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구상" 2017

      10 마상윤, "동북아평화협력플랫폼 구축" 2018

      1 문재인, "한국과 아세안 :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상생의 파트너"

      2 최강, "폼페오 국무장관 3차 방북 이후 비핵화 협상 전망"

      3 김치욱, "중견국 외교론으로 본 동북아평화협력구상" 동아연구소 35 (35): 1-27, 2016

      4 김영철, "외환위기 이후 동아시아 지역주의: 한,중,일 3국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21 (21): 1-31, 2005

      5 남덕우, "왜 동북아개발은행이 필요한가?"

      6 박번순, "신남방정책의 과제와 추진전략" 2018

      7 전재성, "동아시아 지역질서 이론: 불완전 주권과 지역갈등" 사회평론 2018

      8 박인휘, "동북아플러스책임공동체 추진방향" 2017

      9 김준형,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구상" 2017

      10 마상윤, "동북아평화협력플랫폼 구축" 2018

      11 대한민국 외교부, "동북아평화협력 구상: 아시아 패러독스를 넘어 평화협력의 동북아로" 외교부 2014

      12 이상현,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이행을 위한 과제와 전략" (213) : 2013

      13 진행남,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의 의제 및 추진 전략" (11) : 2013

      14 김한권, "동북아 정세와 동북아 평화협력구성의 과제" 49-59, 2014

      15 송영길, "동북아 정세변화와 신북방정책" 2018

      16 전병곤, "뉴노멀 시대 미중 전략 경쟁 관계와 한반도에의 함의" 통일연구원 2017

      17 阪本義和, "東アジアを越えた: “東アジア共同体”の構想を" 2010

      18 日本国 外務省, "日韓外相会談"

      19 東京財團, "提言 ‘北東アジア開發銀行(NEADB)’創設のための5つの提言" 2002

      20 山本吉宣, "国際レジー厶とガバナンス" 有斐閣 2008

      21 進藤栄一, "アジア力の世紀" 岩波書店 2013

      22 Haas, Ernst B, "Why collaborate? Issue-linkage and international regimes" 32 (32): 357-383, 1980

      23 Keohane, R. O, "Whose World Order? Uneven Globalization and the End of the Cold War" Westview Press 165-186, 1995

      24 Krasner, S. D, "Regime The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larendon Press 139-167, 1993

      25 Chacko, Priya, "New Regional Geopolitics in the Indo-Pacific:Drivers, Dynamics and Consequences" Routledge Contemporary Asia Series 2016

      26 Ruggie, J. G, "Neorealismand Its Crit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131-157, 1987

      27 Thomson, Janice E, "Mercenaries, Pirates and Sovereigns:State-Building and Extraterritorial Violence in Early Modern"

      28 Khanna, Parag, "Connectography: Mapping the Future of Global Civilization" Random House 2016

      29 Beeson, Mark, "Collective Goods, Collective Futures in Asia" RoutledgeCurzon 25-40, 2002

      30 Kaisa, LAhteenmAki-Smith, "Bordrerless [sic] region? The role of cultural and institutional differences in regional regimes" 2001

      31 Hveem, Helge, "AndrAs Inotai and Osvaldo Sunkel (eds) Globalism and Regionalism" Macmillan Press 85-115, 1999

      32 Keohane, R. O, "After Hegemony: Co-operation and Discord in the World Political Ec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33 이상현, "2017 동북아다자협력포럼 성공적 이행을 위한 제언"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