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빈민의 주체적 공간재생산을 통한 주거 안정성 확보: 필리핀 마닐라 바세코(Baseco)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The Poor’s Struggles for Housing Security through their Reproduction of Space: Focusing on the Case of Baseco Compound, Mani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96690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부경대학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부경대학교 , 글로벌지역학협동과정 , 2021. 8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vi, 95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법모

      • UCI식별코드

        I804:21031-200000507962

      • 소장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thesis, the housing stability of the poor was analyzed based on the case study of the urban poor area Baseco Compound in Manila, Philippines. Baseco is an area facing the risk of continuous demolition, and it can be said that housing is unstable. Even though the government provide a relocation site, but the poor won't leave Baseco. In this paper, I began by exploring reasons behind this situation.
      Therefore, research questions are why there is a constant risk of demolition in baseco, why residents do not leave despite the risk of demolition, how residents respond to demolition orders, and how we, third parties, should view demolition orders and residents' responses.
      The research methods is to analyze various documents such as announcements released by the Philippine government or Manila City, interviews with Baseco residents in the media, Philippine NGO reports, reports from Korean and foreign NGOs visiting Baseco, and self-produced materials.
      As a theoretical framework, Henri Lefevre's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was formded. The theory is that social relations can produce spaces and produced spaces affect social relationships again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each other. There are three momentos of spatial production; at first, representation of space, which is planning and arranging spaces according to the ideas, knowledge, and ideology of groups such as governments and urban planners, at second, the representational space, which is experienced as images, symbols, and atmosphere in their daily lives and at third, the living space, which is repeated in people’s daily lives.
      Therefore,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three momentos of space, I analyzed Baseco explaining the situation in which capitalism caused space exploitation and exclusion. In addition, various opportunities were used to reverse the logic of existing spaces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producing their own space, especially residential space.
      First, the government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and activities and carried out media reports to create symbols and images that the residents of Baseco are illegal occupied, polluting environment, or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And the government provided the relocation site with demolition orders. However, the government's actions were actually not only to blame for the residents, but also to acquire a Baseco for a reclamation project. This act can be said to be a government’s abstraction of space focused more on profits from reclamation projects than on the value of a residential area for the poor.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s representation of the space is the process of justifying demolition orders and producing abstract spaces.
      In the next chapter, I focused on how residents experienced and recognized Baseco during various events. First, they got the opportunity to plan their ideal village by participating in a local plan called People's Plan. This later becomes a spatial imagination that motivated a movement from contradictory space to differential space. Second, the government continues to build various facilities (schools, health centers and disaster shelters) on the largest streets of Baseco, making it a place for residents to experience government power. The poor has experienced alienation by the lack of prevention facilities for natural disasters and basic infrastructure. Finally, in the absence of such a government, multinational companies supported Baseco so that the poor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Baseco.
      In the next chapter, the poor practically acquired space in response to the demolition order and further showed the spatial practice of residents to produce space as a "genuine residential space." The poor sought help from transnational and religious organizations which supported Baseco before, engaged in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asigning on the convention with presidential candidates. This is a strategy only for the poor in the Philippines, which has a large role in civil society, and the transnational network formed by multinational private companies in Baseco. In addition, the poor further developed their own identity, ownership, and sense of belonging not only to simply acquiring space, but also participating in garbage collection and PRRC Programme to make a living environment better and operating livelihood programmes with private cooperation.
      First of all, I were able to identify the phenomenon in which space was interpreted values as capitalist and was abstracted. The government issued demolition orders for capitalist values, after providing the relocation site as a solution to demolition. And the demolition was seemingly the reclamation project. This was the process of abstracting the value of the residential space called Baseco.
      Secon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specific spatial practices of residents producing their residential space, which is a kind of differential spaces. In addition to acquiring physical property such as land and houses, the poor were making their living space better by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y alleviating poverty through livelihood programs, and improving structures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The Philippine government encourags the poor to move into an empty area, the relocation site or simply lays the roads and build houses for local development rather than reducing housing poverty. However, it only raises the resistance of the poor and does not help to solve serious urban problems. Therefore, the Philippine government needs to focus on spatial production of residents to improve housing condi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pecificity of space and the spatial practice of the poor to identify the needs of the poor. If the relocation is inevitable, various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whether in the relocation site people can live with enough livelihood, educ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NGOs should also support and encourage residents to produce their own space, not disrupting the production of residential spaces, thus true residential spaces can be produced by residents.
      And finally, we, who consume cities and live in cities, should not simply see conflicts between the people of Baseco and the Philippine government as a matter of land ownership. This is because the space of the city has a history and meaning beyond ownership. Therefore, we need a position to embrace and to understand the poor so that they can live together, rather than simply look them as monstrous.
      번역하기

      In this thesis, the housing stability of the poor was analyzed based on the case study of the urban poor area Baseco Compound in Manila, Philippines. Baseco is an area facing the risk of continuous demolition, and it can be said that housing is unstab...

      In this thesis, the housing stability of the poor was analyzed based on the case study of the urban poor area Baseco Compound in Manila, Philippines. Baseco is an area facing the risk of continuous demolition, and it can be said that housing is unstable. Even though the government provide a relocation site, but the poor won't leave Baseco. In this paper, I began by exploring reasons behind this situation.
      Therefore, research questions are why there is a constant risk of demolition in baseco, why residents do not leave despite the risk of demolition, how residents respond to demolition orders, and how we, third parties, should view demolition orders and residents' responses.
      The research methods is to analyze various documents such as announcements released by the Philippine government or Manila City, interviews with Baseco residents in the media, Philippine NGO reports, reports from Korean and foreign NGOs visiting Baseco, and self-produced materials.
      As a theoretical framework, Henri Lefevre's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was formded. The theory is that social relations can produce spaces and produced spaces affect social relationships again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each other. There are three momentos of spatial production; at first, representation of space, which is planning and arranging spaces according to the ideas, knowledge, and ideology of groups such as governments and urban planners, at second, the representational space, which is experienced as images, symbols, and atmosphere in their daily lives and at third, the living space, which is repeated in people’s daily lives.
      Therefore,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three momentos of space, I analyzed Baseco explaining the situation in which capitalism caused space exploitation and exclusion. In addition, various opportunities were used to reverse the logic of existing spaces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producing their own space, especially residential space.
      First, the government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and activities and carried out media reports to create symbols and images that the residents of Baseco are illegal occupied, polluting environment, or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And the government provided the relocation site with demolition orders. However, the government's actions were actually not only to blame for the residents, but also to acquire a Baseco for a reclamation project. This act can be said to be a government’s abstraction of space focused more on profits from reclamation projects than on the value of a residential area for the poor.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s representation of the space is the process of justifying demolition orders and producing abstract spaces.
      In the next chapter, I focused on how residents experienced and recognized Baseco during various events. First, they got the opportunity to plan their ideal village by participating in a local plan called People's Plan. This later becomes a spatial imagination that motivated a movement from contradictory space to differential space. Second, the government continues to build various facilities (schools, health centers and disaster shelters) on the largest streets of Baseco, making it a place for residents to experience government power. The poor has experienced alienation by the lack of prevention facilities for natural disasters and basic infrastructure. Finally, in the absence of such a government, multinational companies supported Baseco so that the poor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Baseco.
      In the next chapter, the poor practically acquired space in response to the demolition order and further showed the spatial practice of residents to produce space as a "genuine residential space." The poor sought help from transnational and religious organizations which supported Baseco before, engaged in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asigning on the convention with presidential candidates. This is a strategy only for the poor in the Philippines, which has a large role in civil society, and the transnational network formed by multinational private companies in Baseco. In addition, the poor further developed their own identity, ownership, and sense of belonging not only to simply acquiring space, but also participating in garbage collection and PRRC Programme to make a living environment better and operating livelihood programmes with private cooperation.
      First of all, I were able to identify the phenomenon in which space was interpreted values as capitalist and was abstracted. The government issued demolition orders for capitalist values, after providing the relocation site as a solution to demolition. And the demolition was seemingly the reclamation project. This was the process of abstracting the value of the residential space called Baseco.
      Secon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specific spatial practices of residents producing their residential space, which is a kind of differential spaces. In addition to acquiring physical property such as land and houses, the poor were making their living space better by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y alleviating poverty through livelihood programs, and improving structures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The Philippine government encourags the poor to move into an empty area, the relocation site or simply lays the roads and build houses for local development rather than reducing housing poverty. However, it only raises the resistance of the poor and does not help to solve serious urban problems. Therefore, the Philippine government needs to focus on spatial production of residents to improve housing condi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pecificity of space and the spatial practice of the poor to identify the needs of the poor. If the relocation is inevitable, various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whether in the relocation site people can live with enough livelihood, educ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NGOs should also support and encourage residents to produce their own space, not disrupting the production of residential spaces, thus true residential spaces can be produced by residents.
      And finally, we, who consume cities and live in cities, should not simply see conflicts between the people of Baseco and the Philippine government as a matter of land ownership. This is because the space of the city has a history and meaning beyond ownership. Therefore, we need a position to embrace and to understand the poor so that they can live together, rather than simply look them as monstro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필리핀 마닐라의 바세코라는 대표적인 빈민 지역을 사례로 하여 빈민의 주거 안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바세코라는 공간은 지속적인 철거 위험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주거가 불안정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주거 불안정에도 빈민들은 바세코를 떠나려 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의문을 가져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 질문은 왜 바세코에서는 지속적인 철거 위험이 발생하는지와 왜 철거 위험에도 주민들이 떠나지 않는지, 주민들은 철거 명령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그리고 제 3자인 우리는 철거 명령과 주민들의 대응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 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필리핀 정부 또는 마닐라시에서 발표한 여러 보도 자료, 그리고 언론에 나온 바세코 주민들 인터뷰, NGO 보고서, 바세코 지역을 방문한 한국/외국 NGO 단체의 보고서, 주민단체가 자체적으로 생산한 자료 등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으로는 주로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활용하였다. 공간생산론은 사회적 관계가 공간을 생산하고 생산된 공간은 다시 사회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으로, 공간생산의 3가지의 계기로서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반복되고 공간을 전유하는 것인 공간적 실천, 정부나 도시 계획자와 같은 집단이 가진 관념, 지식, 이데올로기 등에 따라 공간이 기획되고 배열되는 공간 재현, 공간의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이미지, 상징, 분위기 등으로 체험하는 일상의 공간인 재현 공간을 언급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공간의 3가지의 계기에 따라 바세코라는 공간을 분석하고 그사이에 자본주의로 인해 공간 착취와 배제가 일어나는 상황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속에서 다양한 계기로 기존의 공간의 논리를 뒤집고 자신들의 공간을, 특히 주거 공간을 생산하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정부는 바세코 거주민들은 불법 점유했고, 오염시켰고 또는 재해 위험이 있는 곳이라는 상징과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과 활동을 시행하고 언론 보도를 하였다. 그리고 철거 명령과 함께 이주 단지를 제공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행위는 사실 주민들에게 잘못이 있거나 주민들을 위해서가 아닌 바세코라는 공간을 획득하여 원활한 간척 사업을 위함이었다. 이러한 행위는 정부의 공간 재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빈민 거주지로서의 가치보다 간척 사업을 통한 이익에 치중하여 발현된 추상화라고 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여러 사건으로 주민이 바세코를 어떻게 체험하고 인지하는가에 집중하였다. 다음으로 주민들은 철거 위험 속에서 피플스 플랜이라는 지역 계획에 참여하면서 자신들의 이상적인 마을을 계획하는 기회를 얻었다. 이는 훗날 모순공간에서 차이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기가 된 공간적 상상력이 된다. 반면 정부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생계나 기초 인프라 시설이 아닌 다양한 시설(학교, 헬스 센터, 재난 대피소) 등을 바세코의 가장 큰 거리에 지속적으로 건설하면서 주민들은 바세코가 정부의 권력을 체험하는 공간이 된다. 하지만 더불어 계속 일어나는 화재와 부족한 자연재해의 예방 시설과 기초 인프라 시설 건설로 정부의 소외를 체험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부의 부재 속에서 다양한 계기로 다국적 기업들이 바세코에 지원하게 되면서 주민들은 바세코의 발전을 경험했다. 특히, 민간 협력에 있어서 주민과 주민 조직의 역할이 컸다는 점으로 민간 단체의 협력을 체험했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주민들이 철거 명령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공간을 획득하고, 더 나아가 ‘진정한 주거 공간’으로서 공간을 생산하기 위한 주민들의 공간적 실천을 보았다. 주민들은 정치 활동을 하고, 대통령 후보와 약속을 맺고, 위기 때마다 바세코에 지원했던 초국적 민간단체와 종교 단체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시민 사회의 역할이 큰 필리핀의 배경과 바세코에 다국적 민간 기업이 지원하면서 형성했던 초국적 네트워크를 이용한 빈민만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빈민들은 단순한 공간 획득에 그치지 않고 주체적으로 쓰레기 수거, 마닐라 정비 사업에 참여하면서 주거 환경을 가꾸고, 민간의 협력으로 생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더 나아가 미래 세대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자신들의 주체성과 주인 의식, 소속감 등을 키워 진정한 주거 공간을 생산하고 있었다.
      이 사례를 통해서 첫 번째로 우리는 공간이 자본주의 가치로 해석되어 추상화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는 자본주의 가치를 위해 철거 명령을 내리고, 철거의 해결책으로 제공된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하는 주거지인 ‘이주 단지’를 제공했다. 그리고 철거는 원활한 간척 사업의 일환이었다. 이는 바세코라는 주거 공간이 가지고 있던 가치를 추상화하는 과정이었다.
      두 번째로는 차이 공간인 주거 공간을 생산하는 구체적인 주민의 공간적 실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민의 토지와 집이라는 물리적 재산의 획득에 그치지 않고, 주거 환경 개선, 생계 프로그램을 통한 빈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구조 개선 등으로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주거 공간을 더 나은 공간으로 만들고 있었다.
      한편 필리핀 정부는 주거 빈곤을 퇴치하기보다는 허울뿐인 주거 단지로의 이주를 장려한다거나 지역 개발을 위해 단순히 도로를 깔고 집을 지어주고 있다. 하지만 이는 주민의 반발을 불러올 뿐이고 앓고 있는 도시 문제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필리핀 정부는 주민의 공간생산에 집중하여 실질적인 주거 빈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간이 가진 특수성과 빈민의 공간적 실천에 집중하여 실질적으로 빈민의 필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주 명령이 불가피하다면 이주 단지가 여러 사람이 생계나 교육, 공동체 활동 등 다양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인지 등 다양한 요소를 확인해야 한다.
      NGO와 같은 민간단체에서도 주거 공간생산에 개입하는 것이 아닌 주민이 공간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독려하여 주민에 의한 진정한 주거 공간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시를 소비하고 도시에 거주하는 우리는 바세코 주민과 필리핀 정부의 갈등을 단순히 토지 소유권의 문제로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 도시라는 공간은 소유권을 넘어선 역사와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빈민을 단순히 흉물스러운 것으로 바라보지 말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그들을 보듬고 이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필리핀 마닐라의 바세코라는 대표적인 빈민 지역을 사례로 하여 빈민의 주거 안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바세코라는 공간은 지속적인 철거 위험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주거가...

      본 논문에서는 필리핀 마닐라의 바세코라는 대표적인 빈민 지역을 사례로 하여 빈민의 주거 안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바세코라는 공간은 지속적인 철거 위험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주거가 불안정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주거 불안정에도 빈민들은 바세코를 떠나려 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의문을 가져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 질문은 왜 바세코에서는 지속적인 철거 위험이 발생하는지와 왜 철거 위험에도 주민들이 떠나지 않는지, 주민들은 철거 명령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그리고 제 3자인 우리는 철거 명령과 주민들의 대응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 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필리핀 정부 또는 마닐라시에서 발표한 여러 보도 자료, 그리고 언론에 나온 바세코 주민들 인터뷰, NGO 보고서, 바세코 지역을 방문한 한국/외국 NGO 단체의 보고서, 주민단체가 자체적으로 생산한 자료 등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으로는 주로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활용하였다. 공간생산론은 사회적 관계가 공간을 생산하고 생산된 공간은 다시 사회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으로, 공간생산의 3가지의 계기로서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반복되고 공간을 전유하는 것인 공간적 실천, 정부나 도시 계획자와 같은 집단이 가진 관념, 지식, 이데올로기 등에 따라 공간이 기획되고 배열되는 공간 재현, 공간의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이미지, 상징, 분위기 등으로 체험하는 일상의 공간인 재현 공간을 언급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공간의 3가지의 계기에 따라 바세코라는 공간을 분석하고 그사이에 자본주의로 인해 공간 착취와 배제가 일어나는 상황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속에서 다양한 계기로 기존의 공간의 논리를 뒤집고 자신들의 공간을, 특히 주거 공간을 생산하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정부는 바세코 거주민들은 불법 점유했고, 오염시켰고 또는 재해 위험이 있는 곳이라는 상징과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과 활동을 시행하고 언론 보도를 하였다. 그리고 철거 명령과 함께 이주 단지를 제공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행위는 사실 주민들에게 잘못이 있거나 주민들을 위해서가 아닌 바세코라는 공간을 획득하여 원활한 간척 사업을 위함이었다. 이러한 행위는 정부의 공간 재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빈민 거주지로서의 가치보다 간척 사업을 통한 이익에 치중하여 발현된 추상화라고 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여러 사건으로 주민이 바세코를 어떻게 체험하고 인지하는가에 집중하였다. 다음으로 주민들은 철거 위험 속에서 피플스 플랜이라는 지역 계획에 참여하면서 자신들의 이상적인 마을을 계획하는 기회를 얻었다. 이는 훗날 모순공간에서 차이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기가 된 공간적 상상력이 된다. 반면 정부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생계나 기초 인프라 시설이 아닌 다양한 시설(학교, 헬스 센터, 재난 대피소) 등을 바세코의 가장 큰 거리에 지속적으로 건설하면서 주민들은 바세코가 정부의 권력을 체험하는 공간이 된다. 하지만 더불어 계속 일어나는 화재와 부족한 자연재해의 예방 시설과 기초 인프라 시설 건설로 정부의 소외를 체험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부의 부재 속에서 다양한 계기로 다국적 기업들이 바세코에 지원하게 되면서 주민들은 바세코의 발전을 경험했다. 특히, 민간 협력에 있어서 주민과 주민 조직의 역할이 컸다는 점으로 민간 단체의 협력을 체험했다고 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주민들이 철거 명령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공간을 획득하고, 더 나아가 ‘진정한 주거 공간’으로서 공간을 생산하기 위한 주민들의 공간적 실천을 보았다. 주민들은 정치 활동을 하고, 대통령 후보와 약속을 맺고, 위기 때마다 바세코에 지원했던 초국적 민간단체와 종교 단체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시민 사회의 역할이 큰 필리핀의 배경과 바세코에 다국적 민간 기업이 지원하면서 형성했던 초국적 네트워크를 이용한 빈민만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빈민들은 단순한 공간 획득에 그치지 않고 주체적으로 쓰레기 수거, 마닐라 정비 사업에 참여하면서 주거 환경을 가꾸고, 민간의 협력으로 생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더 나아가 미래 세대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자신들의 주체성과 주인 의식, 소속감 등을 키워 진정한 주거 공간을 생산하고 있었다.
      이 사례를 통해서 첫 번째로 우리는 공간이 자본주의 가치로 해석되어 추상화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는 자본주의 가치를 위해 철거 명령을 내리고, 철거의 해결책으로 제공된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하는 주거지인 ‘이주 단지’를 제공했다. 그리고 철거는 원활한 간척 사업의 일환이었다. 이는 바세코라는 주거 공간이 가지고 있던 가치를 추상화하는 과정이었다.
      두 번째로는 차이 공간인 주거 공간을 생산하는 구체적인 주민의 공간적 실천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민의 토지와 집이라는 물리적 재산의 획득에 그치지 않고, 주거 환경 개선, 생계 프로그램을 통한 빈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구조 개선 등으로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주거 공간을 더 나은 공간으로 만들고 있었다.
      한편 필리핀 정부는 주거 빈곤을 퇴치하기보다는 허울뿐인 주거 단지로의 이주를 장려한다거나 지역 개발을 위해 단순히 도로를 깔고 집을 지어주고 있다. 하지만 이는 주민의 반발을 불러올 뿐이고 앓고 있는 도시 문제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필리핀 정부는 주민의 공간생산에 집중하여 실질적인 주거 빈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간이 가진 특수성과 빈민의 공간적 실천에 집중하여 실질적으로 빈민의 필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주 명령이 불가피하다면 이주 단지가 여러 사람이 생계나 교육, 공동체 활동 등 다양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인지 등 다양한 요소를 확인해야 한다.
      NGO와 같은 민간단체에서도 주거 공간생산에 개입하는 것이 아닌 주민이 공간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독려하여 주민에 의한 진정한 주거 공간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시를 소비하고 도시에 거주하는 우리는 바세코 주민과 필리핀 정부의 갈등을 단순히 토지 소유권의 문제로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 도시라는 공간은 소유권을 넘어선 역사와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빈민을 단순히 흉물스러운 것으로 바라보지 말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그들을 보듬고 이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배경 1
      • Ⅱ.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6
      • 1. 선행연구 검토 6
      • 2. 이론적 틀 및 연구방법 10
      • 1) 공간생산론과 주거 10
      • Ⅰ. 연구배경 1
      • Ⅱ.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6
      • 1. 선행연구 검토 6
      • 2. 이론적 틀 및 연구방법 10
      • 1) 공간생산론과 주거 10
      • 2) 연구방법 15
      • Ⅲ. 마닐라의 빈민과 바세코 형성 17
      • 1. 마닐라의 도시 성장과 빈민의 변화 17
      • 2. 바세코의 개요와 형성 과정 25
      • 1) 바세코의 개요 25
      • 2) 주거 공간으로서의 바세코 형성 과정 27
      • Ⅳ. 정부의 공간 재현: 철거 명령의 정당화 31
      • 1. 불법 점유된 공간 31
      • 2. 재해 위험이 있는 공간 32
      • 3. 주민이 오염시킨 공간 38
      • Ⅴ. 주민의 재현 공간: 바세코에서의 체험 46
      • 1. 공간적 상상력의 발현 46
      • 2. 정부의 권력과 소외의 체험 51
      • 3. 민간단체와 협력의 체험 56
      • Ⅵ. 차이 공간 생산을 위한 주민의 노력 60
      • 1. 공간 획득을 위한 로컬 전략 60
      • 2. 진정한 ‘주거 공간’을 위한 공간적 실천 63
      • 1) 주거 환경 개선 프로그램 65
      • 2) 생계 프로그램 70
      • 3) 미래 세대를 위한 프로그램 72
      • Ⅶ. 결론 76
      • 참고문헌 79
      • 영문초록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