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高麗 後期 天龍山城의 現況과 性格 = A Study of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heonryong Fortress in Chu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05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충주 천룡산성의 현황과 구조를 정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축조배경과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문헌기록을 통해 천룡산성의 역사지리적 위치를 검토하였다. 천룡산...

      본고에서는 충주 천룡산성의 현황과 구조를 정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축조배경과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문헌기록을 통해 천룡산성의 역사지리적 위치를 검토하였다. 천룡산성은 보련산(해발 764.2m)의 능선과 계곡부를 에워싼 包谷式 석축산성으로 평면은 남쪽의 甬道가 돌출된 역삼각형 모양이다. 둘레는 2,801m이다. 이 산성은 대몽항쟁기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내륙에 축성된 입보형 산성에 해당한다. 특히 1253년 김윤후의 충주산성 승첩 직전에 몽골군이 통과한 성곽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입지는 고험처에 해당하며 내외협축 성벽에는 기둥홈 흔적이 남아있다. 시설물로는 치성, 용도, 망대지 등 주변지역의 감제와 방어를 위한 시설과 함께 주민들의 입보 농성에 필요한 집수지와 건물지도 확인된다. 천룡산성에 대해서는『高麗史』를 비롯한 각종 지지류 및 지도류에 기록되었으나, 보련산성 및 봉황성 등의 명칭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남매축성설화가 구전되는 지근거리의 장미산성과 혼동되어 나타난 결과로 파악된다. 한편 천룡산성은 고종 40년(1253) 몽골군의 5차 침입시 충주산성 전투前 마지막으로 통과한 성곽으로 그 전략적 중요성을 가늠케 한다. 따라서 천룡산성은 대몽항쟁기 몽골군에 대항하기 위한 전형적인 ‘山城立保’형으로 축조되었는데 이는 충주지역의 북쪽 내륙교통로를 통제하는 전략적 요충지에 입지한 결과로 생각된다. 당시 천룡산성 防護別監 趙邦彦이 몽골군에게 투항하면서 쉽게 무너진 결과 충주산성이 큰 위협에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만큼 천룡산성이 충주산성을 방어를 위한 최후 방어선이었던 점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and structure of Cheonryong Fortress in Chungju. Based on the summary, it investigated the construction background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tress. In addition, through the records in literatures...

      This study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and structure of Cheonryong Fortress in Chungju. Based on the summary, it investigated the construction background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tress. In addition, through the records in literatures, it reviewed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Cheonryong
      Fortress. Cheonryong Fortress is a stone fortress built along the ridge of Mt. Boryeon (at an altitude of 764.2m) surrounding the valleys. On the plane view, it seems like a triangle protruded to the south. The fortress is classified as a security fortress(Ipbo-type) built in an inland area prepared against the invasion of Mongolia in Goryo Dynasty. Especially, the fortress has been widely known as the fortress through which the Mongolian army passed just before the Kim Yoon-hoo’s victory in Chungju Fortress in 1253. It was located in high and stiff place and the wall has the traces of grooves in columns. As for the facilities in the fortress, there were facilities for domination and defense for surrounding areas and there were also sites for wells and buildings for the resistant residents who stayed there. There are records on the Cheonryong Fortress in various papers and maps including “History of Coryo” but it was recorded in the name of Boryeon Fortress or Bonghwang Castle, which were used in mix. It is assumed due to the mixed use of Jangmi Fortress nearby on which a fable has been passed on,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a fortress by siblings. Cheonryong Fortress had highly strategic importance as it was the last fortress through which the Mongolian army passed before the war in Chungju Fortress at the time of the 5th invasion of the Mongolian Army in the 40th year of King Gojong’s regime (1253). Therefore, Cheonryong Fortress was built as a typical “security fortress” to defend the fortress against the Mongolian Army. Due to the geological location of the fortress which was located in a strategic point that could control inland transportation to the north in Chungju Area. At that time, a defense official, Bang-eon Jo who surrendered too easily to Mongolian Army, which resulted that Chungju Fortress was disclosed to a big threat. This proved that Cheonryong Fortress was the final defense line against the Mongolian ar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현황
      • Ⅲ. 성격
      • Ⅳ. 맺는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현황
      • Ⅲ. 성격
      • Ⅳ. 맺는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한국의 성곽과 봉수 上"

      2 조순흠, "한국 중세의 기둥 홈을 가진 석축산성 성벽에 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7

      3 충청대학교박물관, "충주 보련산성 및 천룡사지 지표조사 보고서" 2011

      4 상명대학교박물관, "충주 대림산성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1997

      5 충주박물관, "충주 노은면의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0

      6 원문화재연구원, "춘천 삼악산성"

      7 원문화재연구원, "제천 성산성·와룡산성·오치봉수 지표조사보고서" 2000

      8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장흥 수인산성 종합학술조사" 2009

      9 중원문화재연구원, "원주 영원산성·해미산성" 1998

      10 강원고고문화연구원, "영월 정양산성(사적 제446호) 2차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1

      1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한국의 성곽과 봉수 上"

      2 조순흠, "한국 중세의 기둥 홈을 가진 석축산성 성벽에 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7

      3 충청대학교박물관, "충주 보련산성 및 천룡사지 지표조사 보고서" 2011

      4 상명대학교박물관, "충주 대림산성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1997

      5 충주박물관, "충주 노은면의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0

      6 원문화재연구원, "춘천 삼악산성"

      7 원문화재연구원, "제천 성산성·와룡산성·오치봉수 지표조사보고서" 2000

      8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장흥 수인산성 종합학술조사" 2009

      9 중원문화재연구원, "원주 영원산성·해미산성" 1998

      10 강원고고문화연구원, "영월 정양산성(사적 제446호) 2차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1

      11 원문화재연구원, "영월 왕검성"

      12 윤용혁,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 혜안 2011

      13 수원대학교박물관, "양평 양근성지-지표 및 시굴조사 보고서-" 1999

      14 강원문화재연구소, "속초 권금성 지표조사 보고서" 2007

      15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상주 금돌성 지표조사보고서" 2001

      16 원문화재연구원, "봉화 청량산성Ⅱ"

      17 원문화재연구원, "봉화 청량산성Ⅰ"

      18 중원문화재연구원, "봉화 청량산성 지표조사 보고서" 2003

      19 충북대학교중원문화연구소, "보은 호점산성 지표조사 보고서" 1998

      20 한국성곽학회, "미륵산성"

      21 원문화재연구원, "문경 노고산성-지표조사 보고서" 2006

      22 관동대학교박물관, "동해 두타산성-지표조사보고서-" 1997

      23 서영일, "남한강 수로의 물자유통과 흥원창" 단국대학교사학회 37 : 2005

      24 원문화재연구원, "괴산 미륵산성 지표조사 보고서" 1996

      25 한정훈, "고려시대 13조창과 주변 교통로 연구" 한국중세사학회 (23) : 153-190, 2007

      26 백종오, "경기지역 고려성곽 연구" 단국대학교사학회 35 : 2002

      27 강릉대학교박물관, "강릉 정동진 고려성지 지표조사 보고서" 1998

      28 "高麗史"

      29 정요근, "高麗前期 驛制의 整備와 22驛道" 서울대인문대학국사학과 45 : 2001

      30 김호준, "高麗 對蒙抗爭期의 築城과 入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31 "新增東國輿地勝覽"

      32 "擇里志"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43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