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상태변화와 청소년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change of economic status during COVID-19 among adolesc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91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종바이러스인 코로나19 감염병의 발발 및 감염병 유행의 확산으로 인하여 전세계는 긴장감 속에서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각지자체별로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의 방법을 통해 코로나19의 전염을 막기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정책들이 소비를 위축시켜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더불어 가정경제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제활동의 변화 이외에도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일상생활의 다양한 변화들은 우울감, 무기력증 등 정신건강에도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성인에 비하여 정신건강에 취약함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등교제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 친구들과의 만남 제한 등 일상생활에 가져온 변화가 우울감, 불안감, 스트레스 등 청소년 정신건강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증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제활동의 제약으로 인한 가정의 경제 상태 변화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사태에 대비하여 청소년 정신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 통계를 산출하여 청소년 건강정책과 건강증진 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해당연도의 8월부터 11월까지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청소년 정신건강은 청소년의 우울감 경험과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험으로 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청소년의 주관적 가정경제 상태, 코로나19이후 경제적 상태변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 변화 결과로 3가자 범주의 변수를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별, 학년, 학업성적, 거주형태, 주관적 건강상태, 스마트폰 의존도, 스트레스 인지도, 현재 음주 상태, 현재 흡연(일반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상태, 아침식사 횟수를 통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독립변수별로 청소년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독립변수와 정신건강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 총 54,948명중 남자 청소년은 51.9%(28,353명), 여자 청소년은 48.1%(26,595명)가 응답하였으며, 청소년의 주관적 가정경제 상태에 따라 경제 상태가 상 39.9%(21,339명), 중 47.5%(26,397명), 하 12.6%(7,212명)로 분석되었으며, 코로나19이후 가정의 경제적 상태가 이전보다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30.0%(16,839명)로 분석되었다.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 변화 결과에 대한 분석결과 경제적 상태가 나빠져서 상 7.8%(4,320명), 나빠져서 중 15.0%(8,403명), 나빠져서 하 7.2%(4,116명)의 비율로 분석되었다. 한편 연구대상자중 우울감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25.2%(13,840명), 자살생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10.9%(5,979명)로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자의 가정경제 상태변화별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우울감 경험과 자살생각 경험 모두 주관적 경제상태, 코로나19 이후 가정 경제 상태변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변화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정경제 상태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Model 1은 주관적 경제상태, 코로나19이후 경제 상태변화로 지정하였고 Model2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변화결과로 지정하여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정경제 상태변화가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Model 1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상에 비하여 하가 1.104배 오즈비 만큼 높았으며, 코로나19이후 가정경제 상태변화 없음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가 나빠진경우 1.309배 오즈비 만큼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Model2에서는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상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하, 경제적 상태 나빠져서 상, 중, 하 모두 오즈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모두 우울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정경제 상태변화가 자살 생각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울 경험과 비슷한 양상의 결과로 나타났는데 Model 1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상에 비하여 하가 1.380배 오즈비 만큼 높았으며, 코로나19이후 가정경제 상태변화 없음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가 나빠진 경우 1.242배 오즈비 만큼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Model2에서는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상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하, 경제적 상태 나빠져서 상, 중, 하 모두 오즈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자살 생각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변화 결과 동일 그룹이더라도 경제상태가 변화 없는 그룹보다 경제상태가 나빠진 그룹에서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2020년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한 단면연구로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구축된 자료이기 때문에 추후 해당 연구결과를 전체 청소년 대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변수의 항목을 생성할 수 없는 이차 자료의 한계점이 있으며, 청소년건강행태조사가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이기 때문에 연구 대상자들의 불성실한 응답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항은 연구 결과의 신뢰성에 한계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에 따라 가정경제 상태가 나빠져 정신건강에 영향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감 경험 및 자살생각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각도의 인지기능 저하 방지 프로그램을 시행 및 그들의 정신건강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 이외에 가족 및 지역사회 관계, 부모의 교육수준, 부양가족의 존재등 다양한 변수를 추가하여 청소년 정신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보다 명확하게 분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신종바이러스인 코로나19 감염병의 발발 및 감염병 유행의 확산으로 인하여 전세계는 긴장감 속에서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각지자체별로 사회...

      신종바이러스인 코로나19 감염병의 발발 및 감염병 유행의 확산으로 인하여 전세계는 긴장감 속에서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각지자체별로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의 방법을 통해 코로나19의 전염을 막기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정책들이 소비를 위축시켜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더불어 가정경제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제활동의 변화 이외에도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일상생활의 다양한 변화들은 우울감, 무기력증 등 정신건강에도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성인에 비하여 정신건강에 취약함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등교제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 친구들과의 만남 제한 등 일상생활에 가져온 변화가 우울감, 불안감, 스트레스 등 청소년 정신건강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증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제활동의 제약으로 인한 가정의 경제 상태 변화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사태에 대비하여 청소년 정신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 통계를 산출하여 청소년 건강정책과 건강증진 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해당연도의 8월부터 11월까지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청소년 정신건강은 청소년의 우울감 경험과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험으로 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청소년의 주관적 가정경제 상태, 코로나19이후 경제적 상태변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 변화 결과로 3가자 범주의 변수를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별, 학년, 학업성적, 거주형태, 주관적 건강상태, 스마트폰 의존도, 스트레스 인지도, 현재 음주 상태, 현재 흡연(일반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상태, 아침식사 횟수를 통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독립변수별로 청소년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독립변수와 정신건강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 총 54,948명중 남자 청소년은 51.9%(28,353명), 여자 청소년은 48.1%(26,595명)가 응답하였으며, 청소년의 주관적 가정경제 상태에 따라 경제 상태가 상 39.9%(21,339명), 중 47.5%(26,397명), 하 12.6%(7,212명)로 분석되었으며, 코로나19이후 가정의 경제적 상태가 이전보다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30.0%(16,839명)로 분석되었다.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 변화 결과에 대한 분석결과 경제적 상태가 나빠져서 상 7.8%(4,320명), 나빠져서 중 15.0%(8,403명), 나빠져서 하 7.2%(4,116명)의 비율로 분석되었다. 한편 연구대상자중 우울감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25.2%(13,840명), 자살생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10.9%(5,979명)로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자의 가정경제 상태변화별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우울감 경험과 자살생각 경험 모두 주관적 경제상태, 코로나19 이후 가정 경제 상태변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변화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정경제 상태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Model 1은 주관적 경제상태, 코로나19이후 경제 상태변화로 지정하였고 Model2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변화결과로 지정하여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정경제 상태변화가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Model 1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상에 비하여 하가 1.104배 오즈비 만큼 높았으며, 코로나19이후 가정경제 상태변화 없음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가 나빠진경우 1.309배 오즈비 만큼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Model2에서는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상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하, 경제적 상태 나빠져서 상, 중, 하 모두 오즈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모두 우울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정경제 상태변화가 자살 생각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울 경험과 비슷한 양상의 결과로 나타났는데 Model 1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상에 비하여 하가 1.380배 오즈비 만큼 높았으며, 코로나19이후 가정경제 상태변화 없음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가 나빠진 경우 1.242배 오즈비 만큼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Model2에서는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상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하, 경제적 상태 나빠져서 상, 중, 하 모두 오즈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자살 생각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변화 결과 동일 그룹이더라도 경제상태가 변화 없는 그룹보다 경제상태가 나빠진 그룹에서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2020년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한 단면연구로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구축된 자료이기 때문에 추후 해당 연구결과를 전체 청소년 대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변수의 항목을 생성할 수 없는 이차 자료의 한계점이 있으며, 청소년건강행태조사가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이기 때문에 연구 대상자들의 불성실한 응답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항은 연구 결과의 신뢰성에 한계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에 따라 가정경제 상태가 나빠져 정신건강에 영향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감 경험 및 자살생각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각도의 인지기능 저하 방지 프로그램을 시행 및 그들의 정신건강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 이외에 가족 및 지역사회 관계, 부모의 교육수준, 부양가족의 존재등 다양한 변수를 추가하여 청소년 정신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보다 명확하게 분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sponse to the outbreak and spread of the new virus named COVID-19,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n tension and they are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end COVID-19. In case of South Korea,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is taking various measures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mandating facial masks to prevent spread of COVID-19.
      However, COVID-19 prevention policies such as social distancing decreased consumption and largely influenced on overall economic recession together with home economy. Other than changes in economic activities, diverse daily changes that happened in order to prevent COVID-19 are adversely affecting on the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d lethargy. Especially, in case of youth who show more vulnerable mental health compared to adults, changes in their everyday life such as school restriction, transition to online contactless class, and restriction in meeting friends are acting as factors that influence on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Meanwhile, there are only few empirical studies on mental health of youth in COVID-19 situation. In respons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the mental health of youth is related to changes in home economy caused by restriction in economic activities due to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such investigation results as basic data to develop a program for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youth in preparation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This study utilized raw data from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s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youth health strategies and health promotion projects by presenting the statistical data on health behaviors of youth.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0) utilized in this study conducted online self-administered survey on 7th graders to 12th grader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20 due to COVID-19.
      In this study,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experience on suicidal thinking of youth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subjective home economy status, changes in economic status after COVID-19, and results from changes in economic status after COVID-19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olled factors including gender, grade, academic performance, type of residen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level of dependence on smart phone, level of stress awareness, drinking status, smoking status (general tobacco, electronic cigarette), and breakfast which may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of youth.
      The analysis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gured out frequency and percentage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 Secondly, this study conducted a cross analys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youth mental health depending on each independent variable. Third,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ntal heal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54,948 subjects, 51.9% (28,353) were male subjects and 48.1% were female subjects (26,595). For the subjective home economic status, 39.9% (21,339)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is high-standing while 47.5% (26,397) and 12.6% (7,212) of them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is in mid-standing and low-standing respectively. Also, 30.0%(16,839)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 home economy got worse after COVID-19.
      Meanwhile, for the results from the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7.8% (4,320)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declined to high-standing while 15.0%(8,403) and 7.2%(4,116)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declined to mid-standing and low-standing each due to influence of COVID-19.
      Also, 25.2% (13,840)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depression while 10.9% (5,979)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ve thought about suicide.
      In the analysis on whether the subjects show the difference on mental health for changes in each home economy status, both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depending on subjective home economy status,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and results from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due to COVID-19.
      To analyze how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this study designated Model 1 as subjective economy status and changes in home economy after COVID-19 while Model 2 was designated as the result of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due to COVID-19. After that,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Model 1 and Model 2.

      The result for analysis on how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influence on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was as follows.
      In regard to subjective economy status, low-standing was higher than high-standing by 1.104 times odds ratio in Model 1. When the home economy status of subjects worsened after COVID-19, the subjects showed experience of depression higher than subjects who didn’t go through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by 1.309 times odds ratio.
      In Model 2, odds ratio was analyzed to be high for both cases where subjects subjectively think that their home economy is in low-standing without experiencing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compared to high-standing subjects and where subjects think their home economy is to be high, mid, or low-standing due to worsening of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Also, both cas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perience of depression.
      The analysis on how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influence on the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demonstrated that both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show similar patterns. The analysis result was as follows.
      In Model 1, subjects who subjectively think that their home economy status is in low-standing showed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higher than high-standing subjects by 1.380 times odds ratio. When the home economy status of subjects worsened after COVID-19, the subjects showed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higher than subjects who didn’t go through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by 1.242 times odds ratio.
      In Model 2, odds ratio was analyzed to be high for both cases where subjects are in low-standing without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compared to subjects who are in high-standing without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nd where subjects to be in high, mid, or low-standing due to worsening of home economy status. Also, all these cas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The results implied that even if the subjects belonged to the same standing after COVID-19, subjects who experienced the decline in home economy showed higher influence in mental health compared to the subjects that didn’t experience any change in economic status. Also, a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hat utilized the raw data from representative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the results are applicable on whole youth groups since it was designed for the youth nationwide.

      However, this study holds limitations in secondary materials because the variable items cannot be crea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addition, as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conducted an anonymous online self-administered survey, the subjects may have answered unfaithfully. Also, questions that ask about the subjective thought of subjects may act as the limitation in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results.
      To reduce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of youth whose mental health had been influenced by the worsening home economy after COVID-19,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rograms for preventing decline of precognitive function from various sides and carry out constant monitoring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Also, further researches need to add various variables including family, community relationship, education level of parents, and dependent family member other than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of youth more clearly.
      번역하기

      In response to the outbreak and spread of the new virus named COVID-19,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n tension and they are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end COVID-19. In case of South Korea,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is taking various me...

      In response to the outbreak and spread of the new virus named COVID-19,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n tension and they are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end COVID-19. In case of South Korea,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is taking various measures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mandating facial masks to prevent spread of COVID-19.
      However, COVID-19 prevention policies such as social distancing decreased consumption and largely influenced on overall economic recession together with home economy. Other than changes in economic activities, diverse daily changes that happened in order to prevent COVID-19 are adversely affecting on the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d lethargy. Especially, in case of youth who show more vulnerable mental health compared to adults, changes in their everyday life such as school restriction, transition to online contactless class, and restriction in meeting friends are acting as factors that influence on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Meanwhile, there are only few empirical studies on mental health of youth in COVID-19 situation. In respons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the mental health of youth is related to changes in home economy caused by restriction in economic activities due to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such investigation results as basic data to develop a program for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youth in preparation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This study utilized raw data from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s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youth health strategies and health promotion projects by presenting the statistical data on health behaviors of youth.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0) utilized in this study conducted online self-administered survey on 7th graders to 12th grader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20 due to COVID-19.
      In this study,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experience on suicidal thinking of youth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subjective home economy status, changes in economic status after COVID-19, and results from changes in economic status after COVID-19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olled factors including gender, grade, academic performance, type of residen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level of dependence on smart phone, level of stress awareness, drinking status, smoking status (general tobacco, electronic cigarette), and breakfast which may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of youth.
      The analysis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gured out frequency and percentage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 Secondly, this study conducted a cross analys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youth mental health depending on each independent variable. Third,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ntal heal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54,948 subjects, 51.9% (28,353) were male subjects and 48.1% were female subjects (26,595). For the subjective home economic status, 39.9% (21,339)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is high-standing while 47.5% (26,397) and 12.6% (7,212) of them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is in mid-standing and low-standing respectively. Also, 30.0%(16,839)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 home economy got worse after COVID-19.
      Meanwhile, for the results from the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7.8% (4,320)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declined to high-standing while 15.0%(8,403) and 7.2%(4,116)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declined to mid-standing and low-standing each due to influence of COVID-19.
      Also, 25.2% (13,840)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depression while 10.9% (5,979)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ve thought about suicide.
      In the analysis on whether the subjects show the difference on mental health for changes in each home economy status, both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depending on subjective home economy status,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and results from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due to COVID-19.
      To analyze how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this study designated Model 1 as subjective economy status and changes in home economy after COVID-19 while Model 2 was designated as the result of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due to COVID-19. After that,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Model 1 and Model 2.

      The result for analysis on how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influence on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was as follows.
      In regard to subjective economy status, low-standing was higher than high-standing by 1.104 times odds ratio in Model 1. When the home economy status of subjects worsened after COVID-19, the subjects showed experience of depression higher than subjects who didn’t go through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by 1.309 times odds ratio.
      In Model 2, odds ratio was analyzed to be high for both cases where subjects subjectively think that their home economy is in low-standing without experiencing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compared to high-standing subjects and where subjects think their home economy is to be high, mid, or low-standing due to worsening of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Also, both cas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perience of depression.
      The analysis on how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influence on the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demonstrated that both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show similar patterns. The analysis result was as follows.
      In Model 1, subjects who subjectively think that their home economy status is in low-standing showed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higher than high-standing subjects by 1.380 times odds ratio. When the home economy status of subjects worsened after COVID-19, the subjects showed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higher than subjects who didn’t go through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by 1.242 times odds ratio.
      In Model 2, odds ratio was analyzed to be high for both cases where subjects are in low-standing without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compared to subjects who are in high-standing without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nd where subjects to be in high, mid, or low-standing due to worsening of home economy status. Also, all these cas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The results implied that even if the subjects belonged to the same standing after COVID-19, subjects who experienced the decline in home economy showed higher influence in mental health compared to the subjects that didn’t experience any change in economic status. Also, a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hat utilized the raw data from representative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the results are applicable on whole youth groups since it was designed for the youth nationwide.

      However, this study holds limitations in secondary materials because the variable items cannot be crea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addition, as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conducted an anonymous online self-administered survey, the subjects may have answered unfaithfully. Also, questions that ask about the subjective thought of subjects may act as the limitation in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results.
      To reduce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of youth whose mental health had been influenced by the worsening home economy after COVID-19,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rograms for preventing decline of precognitive function from various sides and carry out constant monitoring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Also, further researches need to add various variables including family, community relationship, education level of parents, and dependent family member other than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of youth more clear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0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01
      • 2. 연구목적 04
      • 3. 가설 05
      • Ⅰ 서론 0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01
      • 2. 연구목적 04
      • 3. 가설 05
      • Ⅱ 이론적 배경 06
      • 1.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 06
      • 2.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요인 09
      • 3. 코로나19와 청소년 정신건강 15
      • Ⅲ 연구방법 18
      • 1. 연구설계 18
      • 2. 연구대상 및 자료 19
      • 3. 변수의 구분과 정의 21
      • 가. 종속변수 21
      • 나. 독립변수 21
      • 다. 통제변수 22
      • 4. 분석방법 25
      • Ⅳ 연구결과 26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 2. 연구대상자의 가정경제 상태 29
      • 3. 연구대상자의 정신건강 31
      •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정신건강 32
      • 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우울감 경험 32
      • 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자살 생각 경험 35
      • 5. 연구대상자의 가정경제 상태변화별 정신건강 38
      • 가. 연구대상자의 가정경제 상태별 우울감 경험 38
      • 나. 연구대상자의 가정경제 상태별 자살 생각 경험 40
      • 6. 가정경제 상태 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42
      • 가. 가정경제 상태 변화가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 42
      • 나. 가정경제 상태 변화가 자살 생각 경험에 미치는 영향 48
      • Ⅴ. 고 찰 54
      • 1.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54
      • 2. 연구의 제한점 61
      • VI. 결론 및 제언 63
      • 1. 결 론 63
      • 2. 제 언 67
      • 참고 문헌 68
      • 부록 77
      • Abstract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