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0년 전후 일본의 역사 교육  :  상황, 교육과정, 교과서 = 1910年前後の日本の歴史教育-その状況·教育課程·教科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32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10년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교육과정 가운데 역사교육이 어떻게 위치했으며 역사교과서에 조선사 관련 기술, 특히 조선 고대에 관한 기술이 어떻게 변화하고 교수되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대표적인 학자들 가운데에는 한국병합이 고대 일본의 한국지배에서 기원한 '쾌거'라고 환영하는 논조가 대부분이었지만 고대에 일본이 한국을 지배했다는 설은 역사적 실재가 아니라고 비판한 논조(시라토리 구라키치)와 한국병합이 일본에게 큰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고 위구하는 견해(다케고시 요사부로), 이에 한 발 더 나아가서 제국주의적 침략정책을 공격하는 시선에서 한국병합을 비판한 이시카와 다쿠보쿠, 고토쿠 슈스이 등의 주장도 보였다.
      그러나 1910년 이후 역사교육은 역사학자의 학문적 입장과는 달리 국체의 관점에서 봐야하고 역사연구의 결과가 국민도덕을 파괴해서는 안된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고대 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부정한 기타 사다키치가 오히려 고대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명시한 역사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 일본의 역사교육에서 조선에 관한 부분은 일본과의 관계이거나 중국과의 관계에서만 다뤄졌다. 『동양사』 교육은 오로지 중국사에 국한되었으며 조선사는 교수되지 않았다. 외국역사 교육에서도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방제국과 서구제국으로 나뉘어 교수되었는데 조선은 「동방제국」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1909년 9월 발행된 『심상초등학교 일본역사』제1권은 심상초등학교 5학년에서 교수되었는데 신공황후가 신라를 정벌하여 신라가 복종을 맹세했다는 내용이 상황을 묘사한 창작이 덧붙여져서 서술되었다. 1910년 9월 발행된 2권(6학년용)에는 한국병합이 한국황제가 통치권을 양도하여 이뤄졌다고 적었다.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미네기시 요네조의 「신편일본약사」(1908), 동양사는 구와바라 지츠조의 『동양사교과서』(1907)인데 임나가 조공을 바쳤고 백제가 복속했고 고구려도 조공을 바쳤다고 기술하였다.
      이와 같이 당시의 역사교과서에서 조선 고대 관련 기술은 「일본서기」, 「고사기」 신화를 비판적으로 서술한 것은 없고 한국병합에 대해서는 「병합에 관한 조서」를 부연하는 기술이었다. 이는 국민국가 형성기와 제국주의 시대의 역사교육에 공통되는 大國 내셔널리즘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황국사관이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1910년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교육과정 가운데 역사교육이 어떻게 위치했으며 역사교과서에 조선사 관련 기술, 특히 조선 고대에 관한 기술이 어떻게 변화하고 교수되었는지를 검...

      이 논문은 1910년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교육과정 가운데 역사교육이 어떻게 위치했으며 역사교과서에 조선사 관련 기술, 특히 조선 고대에 관한 기술이 어떻게 변화하고 교수되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한국병합 무렵 일본의 대표적인 학자들 가운데에는 한국병합이 고대 일본의 한국지배에서 기원한 '쾌거'라고 환영하는 논조가 대부분이었지만 고대에 일본이 한국을 지배했다는 설은 역사적 실재가 아니라고 비판한 논조(시라토리 구라키치)와 한국병합이 일본에게 큰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고 위구하는 견해(다케고시 요사부로), 이에 한 발 더 나아가서 제국주의적 침략정책을 공격하는 시선에서 한국병합을 비판한 이시카와 다쿠보쿠, 고토쿠 슈스이 등의 주장도 보였다.
      그러나 1910년 이후 역사교육은 역사학자의 학문적 입장과는 달리 국체의 관점에서 봐야하고 역사연구의 결과가 국민도덕을 파괴해서는 안된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고대 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부정한 기타 사다키치가 오히려 고대한국에 대한 일본지배설을 명시한 역사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 일본의 역사교육에서 조선에 관한 부분은 일본과의 관계이거나 중국과의 관계에서만 다뤄졌다. 『동양사』 교육은 오로지 중국사에 국한되었으며 조선사는 교수되지 않았다. 외국역사 교육에서도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방제국과 서구제국으로 나뉘어 교수되었는데 조선은 「동방제국」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1909년 9월 발행된 『심상초등학교 일본역사』제1권은 심상초등학교 5학년에서 교수되었는데 신공황후가 신라를 정벌하여 신라가 복종을 맹세했다는 내용이 상황을 묘사한 창작이 덧붙여져서 서술되었다. 1910년 9월 발행된 2권(6학년용)에는 한국병합이 한국황제가 통치권을 양도하여 이뤄졌다고 적었다.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미네기시 요네조의 「신편일본약사」(1908), 동양사는 구와바라 지츠조의 『동양사교과서』(1907)인데 임나가 조공을 바쳤고 백제가 복속했고 고구려도 조공을 바쳤다고 기술하였다.
      이와 같이 당시의 역사교과서에서 조선 고대 관련 기술은 「일본서기」, 「고사기」 신화를 비판적으로 서술한 것은 없고 한국병합에 대해서는 「병합에 관한 조서」를 부연하는 기술이었다. 이는 국민국가 형성기와 제국주의 시대의 역사교육에 공통되는 大國 내셔널리즘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황국사관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article, I examined the position of Japanese history education in the course of study in Japan and how descriptions related to history of Joseon, especially descriptions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changed and how it was taught around 1910,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t that time, most of Japanese representative scholars displayed the tone of argument welcom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hich originated from the ancient Japan's rule of Korea, however, there were critical remarks, that is, Siratori Gurakichi criticized the theory of the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the ancient Korea and commented that it was not a historical fact, and Dakegoshi Yosaburo comment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ould make the burden too heavy for Japan, and furthermore, Ishikawa Dakuboku and Gotoku Shusui criticize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attacking the Japanese imperial policy of aggression.
      But Japanese history education after 1910 was performed to the direction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be rea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olitical system of a countr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academic point of view of the historians and the result of historical study should not destroy national morality. Therefore Kita Sadakichi who denied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led the compilation of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stating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At that time, the part of Korean history in Japanese history education was covered in connection with its relations only with Japan or China. The education of Oriental history was only about Chinese history, and Korean history was not taught. In the course of foreign history, the history of Eastern countries with China as the center and the history of European countries were taught, however, Korea was not included in Eastern countries.
      Book one of Japanese history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ublished in September, 1909 was taught in the fifth-grade clas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ents that the Japanese Empress, Jingukogo conquered Shilla (an ancient Korean kingdom) and Shilla pledged obedience to Japan were described with a story describing situation. Book two for the 6th-grade class published in September, 1910 describ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done by the Korean Emperor's sovereignty transfer. "New short Japanese history (1908)" by Minegishi Yonezo and "Textbook of oriental history (1907)" by Guwabara Jichuzo were the most used for a secondary school. And these books described that Geumgwangaya kingdom brought a tribute to Japan, and Baekje was subject to Japan, and Goguryeo brought a tribute to Japan, too. There were no textbooks describing critically the myth of "Japanese history -Nihonshoki" and "Ancient Japanese history -Kojiki", and regard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re was a description expatiating on a protocol on annexation. This was a great power's nationalism appearing in history education during a nation-state formative period and the period of imperialism, and was supported by Japanese historical view of nationalism with Japanese Emperor as the central figure.
      번역하기

      In the article, I examined the position of Japanese history education in the course of study in Japan and how descriptions related to history of Joseon, especially descriptions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changed and how it was taught around 1910, Ja...

      In the article, I examined the position of Japanese history education in the course of study in Japan and how descriptions related to history of Joseon, especially descriptions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changed and how it was taught around 1910,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t that time, most of Japanese representative scholars displayed the tone of argument welcom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hich originated from the ancient Japan's rule of Korea, however, there were critical remarks, that is, Siratori Gurakichi criticized the theory of the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the ancient Korea and commented that it was not a historical fact, and Dakegoshi Yosaburo comment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ould make the burden too heavy for Japan, and furthermore, Ishikawa Dakuboku and Gotoku Shusui criticize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attacking the Japanese imperial policy of aggression.
      But Japanese history education after 1910 was performed to the direction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be rea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olitical system of a countr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academic point of view of the historians and the result of historical study should not destroy national morality. Therefore Kita Sadakichi who denied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led the compilation of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stating the theory of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ancient Korea.
      At that time, the part of Korean history in Japanese history education was covered in connection with its relations only with Japan or China. The education of Oriental history was only about Chinese history, and Korean history was not taught. In the course of foreign history, the history of Eastern countries with China as the center and the history of European countries were taught, however, Korea was not included in Eastern countries.
      Book one of Japanese history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ublished in September, 1909 was taught in the fifth-grade clas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ents that the Japanese Empress, Jingukogo conquered Shilla (an ancient Korean kingdom) and Shilla pledged obedience to Japan were described with a story describing situation. Book two for the 6th-grade class published in September, 1910 describ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done by the Korean Emperor's sovereignty transfer. "New short Japanese history (1908)" by Minegishi Yonezo and "Textbook of oriental history (1907)" by Guwabara Jichuzo were the most used for a secondary school. And these books described that Geumgwangaya kingdom brought a tribute to Japan, and Baekje was subject to Japan, and Goguryeo brought a tribute to Japan, too. There were no textbooks describing critically the myth of "Japanese history -Nihonshoki" and "Ancient Japanese history -Kojiki", and regarding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re was a description expatiating on a protocol on annexation. This was a great power's nationalism appearing in history education during a nation-state formative period and the period of imperialism, and was supported by Japanese historical view of nationalism with Japanese Emperor as the central fig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상황-1910년 초가을(状況-1910年(明治43)の初秋)
      • 2. 교육·교육과정 행정과 역사 교육(教育·教育課程行政と歴史教育)
      • 3. 역사과「교과용 도서」의 서술의 실제(歴史科「教科用図書」の記述の実際)
      • 4. 맺음말-교과서 집필에서 실증주의 역사가의 퇴장(おわりに-実証主義史家の教科書執筆からの退場)
      • 일본어 원문
      • 1. 상황-1910년 초가을(状況-1910年(明治43)の初秋)
      • 2. 교육·교육과정 행정과 역사 교육(教育·教育課程行政と歴史教育)
      • 3. 역사과「교과용 도서」의 서술의 실제(歴史科「教科用図書」の記述の実際)
      • 4. 맺음말-교과서 집필에서 실증주의 역사가의 퇴장(おわりに-実証主義史家の教科書執筆からの退場)
      • 일본어 원문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영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