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홍콩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49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홍콩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이후 한국으로 유학을 온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학습생애사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 같은 홍콩출신 한국어 학습자의 사례를 바탕으로 그들이 경험한 한국어 학습과정의 의미를 구조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홍콩에서 유학 온 한국어 학습자의 홍콩에서의 한국어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홍콩에서 유학 온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에서의 한국어 및 전공학습은 어떠한가? 셋째, 홍콩에서 유학 온 한국어 학습자의 두 지역에서 학습경험은 생애과정에서 어떻게 의미화되는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같은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홍콩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본인의 학습경험을 한국어로 이야기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이 있으며 셋째, 현재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학생으로 넷째, 성실하고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전달할 수 있는 대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자를 물색하였으며, 세평적 사례방식(Reputational case selection)을 통해 연구문제에 적합한 자료를 제공해줄 것으로 판단되는 홍콩 출신 유학생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 생애 연구에서 강대중(2009, 2012)이 제시한 ‘학습조건’, ‘학습내용’, ‘학습자 자세’, ‘조건화된 학습자’라는 네 가지 분석단위와 생애사 연구에서 Mandelbaum(1973)이 제시한 ‘차원’, ‘전환’, ‘적응’이라는 세 가지 분석단위를 통합한 구조모델 1, 2를 설정하였다. 통합적 구조모델 1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생애과정(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서 작동되는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요인을 상호작용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했고, 통합적 구조모델 2에서는 학습 환경의 변화(홍콩, 한국, 또는 제3국)에 따른 적응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이렇게 개발한 모형을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서사를 통해 드러나는 의미구조로 다시 통합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드러난 연구 결과를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 학습 이전인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주어진 학습 환경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학습자의 태도와 자세를 형성하였다. 또한 각자의 학습조건 속에서 학습내용을 수용하였으며 조건화된 학습자로서 태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중에는 적극적인 학습자 자세를 유지한 사례도 있었으나, 부정적인 생애사건으로 인해 수동적인 학습자로서 삶을 살았던 사례도 존재했다. 이처럼 다양한 학습 환경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삶의 전환의 계기로 삼고자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모두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으며, 조건화된 학습자의 어려움들을 극복하면서 한국어 학습을 지속하고자 했다. 이 같은 학습자의 자세와 태도를 유지하는 와중에 한국어 구사능력은 증진되었으며, 이에 따른 자신감이나 자기효능감은 점차 높아졌다.
      한국 유학은 학습조건과 학습내용 측면에서 또 하나의 전환점이었다. 적극적인 학습 자세를 견지해오던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 유학생활을 통해 부족한 한국어 능력이나 한국 대학문화에 만연한 외국인에 대한 편견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같은 학습 환경 속에서 연구 참여자는 좌절감과 위기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같은 위기의식 속에서도 연구 참여자들은 적극적인 학습자의 자세를 취하면서 삶의 전환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자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런데 이 같은 삶의 전환의 시도 속에는 실존적인 자기이해가 밑바탕이 되었다. 즉, 한국 유학과정에서 겪는 좌절과 고통은 그들 스스로 선택한 결과이며,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 역시도 자신들의 몫이라는 상황인식이 새로운 전환을 가능하게 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그들이 겪는 좌절과 고통은 하나의 성장통이라 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홍콩에서 좌절과 무기력에서 벗어나게 한 계기로서 작용한 한국어 학습은 좌절과 고통을 주는 원인이 아니라 새로운 성장을 위한 발판이라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연구 참여자들은 향후 자신의 미래를 개척해나가는데 있어서 한국어가 삶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정리해보면, 홍콩에서 유학을 온 연구 참여자에게 한국어는 단순히 외국어가 아닌, 자신의 성장이야기가 담긴 ‘디딤돌’, ‘나이테’, ‘나의 언어 -길라잡이’였다. 아동청소년기나 성인기를 거치면서 자신의 청춘과 성장 기억들이 담겨진 언어가 한국어였으며, 자신의 미래를 기획하는 데 발판이 되는 것도 한국어였다.
      논의에서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Dewey가 제시한 교육철학과 이에 기반 한 경험학습이론과 전환학습이론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자기서사를 통해 제시한 한국어학습 과정과 의미가 구성주의 교육철학과 이론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기틀을 마련함에 있어서 전환학습이론이 갖는 유용성을 밝히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했다. 먼저 이론적 함의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경험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적응’내지는 ‘배타적인 대학문화’와 같은 내용들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시켰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를 지지하고 강화하는 측면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반면에, 경험학습이나 전환학습 관점에서 성장의 의미를 제시함으로서 선행연구들이 밝히지 못했던 새로운 이론적 함의도 같이 제시하였다. 둘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심리정서서비스나 구체적인 학교행정서비스, 교수자의 감수성교육과 같은 보다 실천적인 지원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언어사용능력을 키우기 위한 제도적인 방안으로 한국어능력시험제도의 관리, 한국어교원자격제도의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홍콩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이후 한국으로 유학을 온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학습생애사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 같은 홍콩출신 한국어 학습자의 사례를 바탕으로 그들...

      본 연구에서는 홍콩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이후 한국으로 유학을 온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학습생애사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 같은 홍콩출신 한국어 학습자의 사례를 바탕으로 그들이 경험한 한국어 학습과정의 의미를 구조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홍콩에서 유학 온 한국어 학습자의 홍콩에서의 한국어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홍콩에서 유학 온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에서의 한국어 및 전공학습은 어떠한가? 셋째, 홍콩에서 유학 온 한국어 학습자의 두 지역에서 학습경험은 생애과정에서 어떻게 의미화되는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같은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홍콩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본인의 학습경험을 한국어로 이야기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이 있으며 셋째, 현재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학생으로 넷째, 성실하고 자신의 삶을 솔직하게 전달할 수 있는 대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자를 물색하였으며, 세평적 사례방식(Reputational case selection)을 통해 연구문제에 적합한 자료를 제공해줄 것으로 판단되는 홍콩 출신 유학생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 생애 연구에서 강대중(2009, 2012)이 제시한 ‘학습조건’, ‘학습내용’, ‘학습자 자세’, ‘조건화된 학습자’라는 네 가지 분석단위와 생애사 연구에서 Mandelbaum(1973)이 제시한 ‘차원’, ‘전환’, ‘적응’이라는 세 가지 분석단위를 통합한 구조모델 1, 2를 설정하였다. 통합적 구조모델 1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생애과정(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에서 작동되는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요인을 상호작용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했고, 통합적 구조모델 2에서는 학습 환경의 변화(홍콩, 한국, 또는 제3국)에 따른 적응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이렇게 개발한 모형을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서사를 통해 드러나는 의미구조로 다시 통합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드러난 연구 결과를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 학습 이전인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주어진 학습 환경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학습자의 태도와 자세를 형성하였다. 또한 각자의 학습조건 속에서 학습내용을 수용하였으며 조건화된 학습자로서 태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중에는 적극적인 학습자 자세를 유지한 사례도 있었으나, 부정적인 생애사건으로 인해 수동적인 학습자로서 삶을 살았던 사례도 존재했다. 이처럼 다양한 학습 환경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삶의 전환의 계기로 삼고자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모두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으며, 조건화된 학습자의 어려움들을 극복하면서 한국어 학습을 지속하고자 했다. 이 같은 학습자의 자세와 태도를 유지하는 와중에 한국어 구사능력은 증진되었으며, 이에 따른 자신감이나 자기효능감은 점차 높아졌다.
      한국 유학은 학습조건과 학습내용 측면에서 또 하나의 전환점이었다. 적극적인 학습 자세를 견지해오던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 유학생활을 통해 부족한 한국어 능력이나 한국 대학문화에 만연한 외국인에 대한 편견 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같은 학습 환경 속에서 연구 참여자는 좌절감과 위기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같은 위기의식 속에서도 연구 참여자들은 적극적인 학습자의 자세를 취하면서 삶의 전환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자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런데 이 같은 삶의 전환의 시도 속에는 실존적인 자기이해가 밑바탕이 되었다. 즉, 한국 유학과정에서 겪는 좌절과 고통은 그들 스스로 선택한 결과이며,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 역시도 자신들의 몫이라는 상황인식이 새로운 전환을 가능하게 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그들이 겪는 좌절과 고통은 하나의 성장통이라 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홍콩에서 좌절과 무기력에서 벗어나게 한 계기로서 작용한 한국어 학습은 좌절과 고통을 주는 원인이 아니라 새로운 성장을 위한 발판이라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연구 참여자들은 향후 자신의 미래를 개척해나가는데 있어서 한국어가 삶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정리해보면, 홍콩에서 유학을 온 연구 참여자에게 한국어는 단순히 외국어가 아닌, 자신의 성장이야기가 담긴 ‘디딤돌’, ‘나이테’, ‘나의 언어 -길라잡이’였다. 아동청소년기나 성인기를 거치면서 자신의 청춘과 성장 기억들이 담겨진 언어가 한국어였으며, 자신의 미래를 기획하는 데 발판이 되는 것도 한국어였다.
      논의에서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Dewey가 제시한 교육철학과 이에 기반 한 경험학습이론과 전환학습이론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자기서사를 통해 제시한 한국어학습 과정과 의미가 구성주의 교육철학과 이론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기틀을 마련함에 있어서 전환학습이론이 갖는 유용성을 밝히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했다. 먼저 이론적 함의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경험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적응’내지는 ‘배타적인 대학문화’와 같은 내용들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시켰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를 지지하고 강화하는 측면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반면에, 경험학습이나 전환학습 관점에서 성장의 의미를 제시함으로서 선행연구들이 밝히지 못했던 새로운 이론적 함의도 같이 제시하였다. 둘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심리정서서비스나 구체적인 학교행정서비스, 교수자의 감수성교육과 같은 보다 실천적인 지원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언어사용능력을 키우기 위한 제도적인 방안으로 한국어능력시험제도의 관리, 한국어교원자격제도의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pplies the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to the investig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who studied Korean language in Hong Kong and subsequently came to Korea as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such cases, it seeks to provid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The investigation focuses on thre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are the subject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n Hong Kong? Second, how are the subjects’ learning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and other subjects in Korea? Third, how do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se two different places become signified in their life histories?
      For the exploration of these research questions, four participants were selected, who studied Korean language in Hong Kong, possess the ability to discuss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Korean, currently study at the collegiate level in Korea, and are willing and able to share their life experiences with opennes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m was analyzed with the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under two structural models that integrate the four analysis units – ‘learning conditions’, ‘learning contents’, ‘learner attitude’, and ‘conditioned learner’ – proposed by Kang, Dae-Jung(2009,2012) and the three analysis units – ‘dimensions’, ‘turning’, and ‘adaptations’ – proposed by Mandelbaum(1973). The integrated structural model 1 explores the interplay of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factors that operate in the subjects’ life history stages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The integrated structural model 2 approaches the research questions with a focus on the adaptation to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Hong Kong, Korea, or other countries). These models provide the basis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information, which is integrated into a meaning structure(의미구조) via the participants’ autobiographic narrativ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all the participants formed their learner attitude during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while interacting with their learning environments prior to thei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y started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in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and sought to use it as a transformative opportunity in life. They maintained active attitudes in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tried to continue learning while overcoming difficulties as conditioned learners. In the process, they grew in confidence and sense of self-efficacy. Coming to Korea served as another opportunity of transformation for the participants. By living as foreign students in Korea, they realized the limitations of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prevalent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on campuses. Nevertheless, they sought to accomplish life transformation by maintaining a positive attitude and overcoming various crises.
      The participants’ efforts for life transformation were founded on their existential self-understanding that the disappointments and pains they experienced while studying in Korea were the consequences of their own choices, and, thus, overcoming such difficulties was also their responsibility. In this sense, their difficulties were understood as a growing pain, and Korean language was regarded not as the cause of disappointment and pains, but, instead, as a stepping stone for new growth. In this way, to the participants, Korean language is not merely a foreign language but “their language” that serves as a vehicle of their stories of personal growth.
      Thes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light of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associated theorie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lso discusse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constructivism an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significance reflected in the research participants’ autobiographic narratives. In addition, the author seeks to highlight the usefulness of the transformative educational theory for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regarding foreign students. While pointing at the recurring themes of ‘adaptation’ and ‘exclusive campus culture’ addressed in existing literature on foreign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lso present new theoretical implications. Furthermore, they suggest the need of systematic improvements 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s, educator training in emotional sensitivity, Korean proficiency test programs, and Korean language educator certificat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applies the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to the investig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who studied Korean language in Hong Kong and subsequently came to Korea as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such cases, it...

      This research applies the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to the investig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who studied Korean language in Hong Kong and subsequently came to Korea as foreign studen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such cases, it seeks to provid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The investigation focuses on thre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are the subject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n Hong Kong? Second, how are the subjects’ learning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and other subjects in Korea? Third, how do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se two different places become signified in their life histories?
      For the exploration of these research questions, four participants were selected, who studied Korean language in Hong Kong, possess the ability to discuss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Korean, currently study at the collegiate level in Korea, and are willing and able to share their life experiences with opennes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m was analyzed with the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under two structural models that integrate the four analysis units – ‘learning conditions’, ‘learning contents’, ‘learner attitude’, and ‘conditioned learner’ – proposed by Kang, Dae-Jung(2009,2012) and the three analysis units – ‘dimensions’, ‘turning’, and ‘adaptations’ – proposed by Mandelbaum(1973). The integrated structural model 1 explores the interplay of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factors that operate in the subjects’ life history stages (childhood, adolescence, and adulthood). The integrated structural model 2 approaches the research questions with a focus on the adaptation to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Hong Kong, Korea, or other countries). These models provide the basis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information, which is integrated into a meaning structure(의미구조) via the participants’ autobiographic narrativ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all the participants formed their learner attitude during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while interacting with their learning environments prior to thei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y started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in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and sought to use it as a transformative opportunity in life. They maintained active attitudes in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tried to continue learning while overcoming difficulties as conditioned learners. In the process, they grew in confidence and sense of self-efficacy. Coming to Korea served as another opportunity of transformation for the participants. By living as foreign students in Korea, they realized the limitations of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prevalent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on campuses. Nevertheless, they sought to accomplish life transformation by maintaining a positive attitude and overcoming various crises.
      The participants’ efforts for life transformation were founded on their existential self-understanding that the disappointments and pains they experienced while studying in Korea were the consequences of their own choices, and, thus, overcoming such difficulties was also their responsibility. In this sense, their difficulties were understood as a growing pain, and Korean language was regarded not as the cause of disappointment and pains, but, instead, as a stepping stone for new growth. In this way, to the participants, Korean language is not merely a foreign language but “their language” that serves as a vehicle of their stories of personal growth.
      Thes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light of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associated theorie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lso discusse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constructivism and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significance reflected in the research participants’ autobiographic narratives. In addition, the author seeks to highlight the usefulness of the transformative educational theory for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regarding foreign students. While pointing at the recurring themes of ‘adaptation’ and ‘exclusive campus culture’ addressed in existing literature on foreign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lso present new theoretical implications. Furthermore, they suggest the need of systematic improvements 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services, educator training in emotional sensitivity, Korean proficiency test programs, and Korean language educator certifi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Ⅱ. 선행연구 검토 6
      • 1. 한국어 교육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Ⅱ. 선행연구 검토 6
      • 1. 한국어 교육 6
      • A. 국내외 한국어 교육 현황 6
      • B. 한국어 능력시험과 대학(대학원)입학 8
      • C.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9
      • 2. 한국어학습자의 국내 유학 경험 11
      • 3. 홍콩의 한국어학습자 19
      • A. 홍콩의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특성 19
      • B. 홍콩 교육학제의 변화 21
      • C. 홍콩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현황 23
      • D. 홍콩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28
      • 4. 성장의 의미로서 교육 30
      • A. 교육철학 측면에서 본 성장 개념 30
      • B. 총체적 지식의 재구성으로서 ‘성장’ 34
      • C.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 이론과 성장 36
      • D.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이론과 성장 38
      • Ⅲ. 연구 방법 41
      • 1. 연구 방법으로서 생애사 41
      • A. 생애사 연구의 특성 41
      • B. 교육학 분야의 생애사 연구 42
      • C. 한국어 학습자와 학습생애 분석틀 46
      • 2. 연구 참여자 선정 49
      • A. 연구 참여자 1 52
      • B. 연구 참여자 2 53
      • C. 연구 참여자 3 54
      • D. 연구 참여자 4 54
      • 3. 자료 수집 55
      • A. 심층면담 55
      • B. 문서수집 57
      • 4. 자료 분석 57
      • 5. 연구의 타당성 및 윤리성 확보 61
      • Ⅳ. 연구 결과 63
      • 1. 사례별 생애사적 학습 모형 63
      • A. 참여자 1 63
      • B. 참여자 2 88
      • C. 참여자 3 106
      • D. 참여자 4 124
      • 2. 참여자의 자기서사에서 드러나는 한국어 학습의 의미 143
      • A. 홍콩에서 한국어 학습을 하던 시기 143
      • 1) 아동 청소년기/ 성년기 143
      • 2) 성인기 146
      • B. 한국에서 한국어 학습을 하던 시기 148
      • 1) 성인기 : 유학 초기 148
      • 2) 성인기 : 유학 중기 150
      • C. 생애사적 측면에서 한국어 학습의 의미 151
      • 1) 한국어는 성장을 위한‘디딤돌’ 151
      • 2) 한국어는 나를 크게 하는 ‘ 나이테’ 154
      • 3) 한국어는 외국어가 아닌 ‘나의 언어’, ‘길라잡이’ 158
      • Ⅴ. 논의 161
      • Ⅵ. 결론 165
      • 참고문헌 171
      • 부록 18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동성, "생애사연구",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5

      2 이이정, 한경란, 조해경, "노인 자서전 쓰기", 서울: 학지사, 2004

      3 김신일, 박부권, "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 학지사, 2005

      4 서근원, "질적 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연구원, 46(3), 133-161, 2008

      5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파주: 교육과학사, 1999

      6 임태평, "존 듀이-철학적 탐구와 교육", 서울: 교육출판사, 2005

      7 김무길, "존 듀이의 교호작용과 교육론", 파주: 원미사, 2005

      8 김영천, 조재식,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질적연구", 교육인류학연구, 4(3), 25-80, 2001

      9 김신일, 이지혜, "학습생애사의 관점과 연구방법", 한국평생교육학회 하계 워크샵 발표자료, 2000

      10 김정숙,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1 이동성, "생애사연구",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5

      2 이이정, 한경란, 조해경, "노인 자서전 쓰기", 서울: 학지사, 2004

      3 김신일, 박부권, "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 학지사, 2005

      4 서근원, "질적 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연구원, 46(3), 133-161, 2008

      5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파주: 교육과학사, 1999

      6 임태평, "존 듀이-철학적 탐구와 교육", 서울: 교육출판사, 2005

      7 김무길, "존 듀이의 교호작용과 교육론", 파주: 원미사, 2005

      8 김영천, 조재식,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질적연구", 교육인류학연구, 4(3), 25-80, 2001

      9 김신일, 이지혜, "학습생애사의 관점과 연구방법", 한국평생교육학회 하계 워크샵 발표자료, 2000

      10 김정숙,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11 김수영, 이만영, "생애사 해석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지, 14 (1), 85-116, 1995

      12 박흥수, "홍콩의 언어교육 정책: 양문삼어", 中國硏究, 40, 169~184, 2007

      13 김영천, 정상원, "『질적연구방법론Ⅴ.Data Analysis』", 서울: 아카데 미프레스, 461-497, 2017

      14 김신일,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패러다임", 평생학습사회, 1(1), 151-170, 2005

      15 강민수, 문용린, "생애사 연구의 교육심리학적 고찰", 인간발달연 구, 14(1), 1-19, 2007

      16 김민애, 안경화,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 설계 연구", 중앙어문학 회, 59, 381-405, 2014

      17 김영천, 허창수, "생애사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49-81, 2004

      18 이해영,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한국어교육, 15(1), 137-164, 2004

      19 진대연, "한국어 교사의 수업 구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 429-466, 2009

      20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한국사회학,39(3), 120-148, 2005

      21 송금숙, "성취기준기반의 한국어 교수 설계 연구", 고려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4

      22 고예진, "한국어 학습 전략 교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4(9), 169-199, 2014

      23 김영천, 이동성, "생애사 연구에서의 일곱 가지 글쓰기 전략", 초등 교육연구. 27(4), 77-103, 2014

      24 조영아, "한국어 교육의 교육 과정과 교수요목 설계",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2003, 215-230, 2003

      25 이은희, "효과적인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6 최라영, "평생교육계 원로들의‘지혜로운 나이 듦’", 평생학습사회 10(4), 29-60, 2014

      27 신현란, "외국인 노동자-유학생의 이주경험과 정체성", 다문화교육 연구, 9(2), 115-145, 2016

      28 김영천, 이동성,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열 린교육연구. 21(1), 49-76, 2013

      29 김정숙,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연구", 이중언어 학회, 47, 331-349쪽, 2011

      30 박철흥, "‘성장으로서 교육’의 의미와 교육사적 의의", 한국교육 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2016(2), 68-87, 2016

      31 박성희, "평생교육으로서의 연구방법론: 생애사 분석법", 한국성인 교육학회, 6(1), 29-57, 2003

      32 박성희, "노인 자서전쓰기에 나타난 생애사 학습의 의의", 질적탐구 2(1), 181-204, 2016

      33 홍종명, "베트남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전략 분석 연구", 어문논 집, 71, 407-432, 2017

      34 정명숙, "비즈니스 한국어의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연구", 한국어 교육, 14(2), 403-421, 2003

      35 이미혜, "이민자 사회통합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외국어교 육, 23(1), 267-288, 2016

      36 하정희,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 학회지, 20(2), 473-496, 2008

      37 김미옥,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관한 연구", 외국어로 서의 한국어교육, 45, 27-57, 2016

      38 윤남주, 조위수,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특성 연구", 언어학연구, 36, 321-342, 2015

      39 황빙의, "중국 유학생의 한국대학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중앙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0 박성희,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 서울; 원 미사, 2004

      41 김지영, "학습생애사 사례 연구 – 세 할머니를 중심으로", – 대구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42 한상미,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언어와 문 화,12(1), 51-77, 2016

      43 김종백, 김태희, "내러티브 정체성을 통해 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교육심리연구, 30(1), 1-25, 2016

      44 김선남,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 론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29-46, 2007

      45 손정일, "중국동포와 한국어교육의 변천(2005~2015년)과 전망", 언 어와 문화, 12(1), 139-159, 2016

      46 김영천, 한광웅, "질적 연구방법으로 , 생애사 연구의 성격과 의의", 교육문화연구, 18(3), 5-43, 2012

      47 이병준, "평생학습 연구에 있어서의 교육학적 생애사 접근", 평생교 육학연구, 16(1), 91-113, 2010

      48 박승배, "교육평설 - 엘리어트 아이즈너의 질적연구방법론 -", 파 주: 교육과학사, 2006

      49 김선아, "홍콩 내 주요 대학의 한국어문화 교육 현황과 사례", 이화 어문논집, 42, 5-32, 2017

      50 강이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사상연구, 21(3), 65-88, 2013

      51 김경애, "비형식 및 무형식 학습 인정에 관한 새로운 접근방식", 비교교육 연구, 17(2), 133-156, 2007

      52 한상미,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론의 적용」", 한국 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04. 16-24, 2015

      53 김인규,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요구 분석 및 교수요목 개발", 한국어 교육, 14(3), 81-113, 2003

      54 강현화, 원미진,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구축 방안 연구", 한국사전학, 20, 7-30, 2012

      55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한국 어 교육, 14(3), 119-143, 2003

      56 이정은, 최윤희, "재한 중국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과 대학 생활 적응 연구", 대학생활연구, 22(1), 91-115, 2016

      57 박주희, "존 듀이의 경험의 개념과 유형분석을 통한 교육적 의미", 인문학연구, 53, 441-470, 2017

      58 김정숙,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교육, 11(2), 1-19, 2000

      59 권양이,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대학 초기 적응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교육학연구, 14(1), 301-333, 2008

      60 주희정,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대학 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교과 교육 문제 연구 36, 135-159, 2010

      61 강승혜,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각한 “좋은”한국어 교사의 특성", 한국어교육, 21(1), 1-27, 2010

      62 윤선미, "『한국어교육과정 실행 요인의 작용 양상에 관한 연구』", 부 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3 박종원,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과 교육. 대구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4 박성원, 신동일,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공동체 참여에 관한 내러티 브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7(1), 103-158, 2014

      65 김영천, 정상원, "질적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글쓰기의 전략과 방법 의 탐구", 교육문화연구, 20(3), 5-42, 2014

      66 정아경, "한국어 학습 경험을 통해 본 한국어 능력 발달 사례 연 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7 민진영,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원 학업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 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68 홍종명, "운영사례분석을 통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 찰", 국제어문 64, 173-295, 2015

      69 이동성, "생애사 연구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분석방법에 대한 탐구", 초등교육연구, 26(2), 71-96, 2013

      70 권동택, 주동범, 김정희, "홍콩의 고등교육 평가인증제도의 운영 실 태분석과 시사점", 比較育硏究, 25(4), 119-144, 2015

      71 염지숙,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 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2003

      72 최은지,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반한 학문 목적 한국어 작문 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73 김서정, "아시아 유학생의 한국 유학생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 구", 교육인류학연구, 19(3), 153-183, 2016

      74 강대중, "평생학습 연구 방법으로 학습생애사의 의의와 가능성 탐 색", 평생교육학연구, 15(1), 201-223, 2009

      75 왈지 파티마(WALJI, FATIMA ZAHRA), "아프리카 한국어 교육의 현 황 및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76 김영은, "스웨덴어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외국어교육. 23(4), 287-309, 2016

      77 정진옥, "홍콩 학습자를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유과정 설계방안 연구", 경희사이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78 양지선, "베트남 내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수요목설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79 신선희, 유문무, "재한(在韓)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홀리스틱교육연구, 18(2), 45-69, 2014

      80 김영천, 이동성,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관점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 찰」", 열린교육연구. 19(4), 1-27, 2011

      81 배영미, 유영림, 서홍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검정고시 학습경 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0(3), 33-63, 2016

      82 김찬종, 유은정, 박명숙,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탈북 대학생들의 학습자 정체성 유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1), 261-290, 2010

      83 김지은, "카자흐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교수요 목 구안",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84 맹재숙, 박수정, "아시아계 외국인 학생의 학습 경험 연구. 충남대 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35(2), 51-77, 2014

      85 오선영, "홍콩학습자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한국어 성취도 평가의 경향",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 논문집, 2014, 301-310, 2014

      86 윤희원, "한국어 교육 방법론의 재검토 : 한국어교수법 연구의 전 제와 방법", 국어 교육 연구, 18, 7-29, 2006

      87 최선주, "입시경쟁체제에서 형성된 시험형 자기주도성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88 강이화, 김아영, 김대현,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들의 학업 적응 경 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8(3), 159-187, 2007

      89 이동성, "생애사 연구동향의 방법론적 검토: 세 가지 방법적 이슈 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6(2), 47-82, 2013

      90 박성희, "여성학 연구를 위한 생애사 연구법 : 네러티브 인터뷰 (narrative interview)", 여성연구논총,1 7, 243-264, 2002

      91 박경호, "전환학습이론: 고등교육기관에서 중년여성학습자의 의미 구조의 변화", Andragogy Today :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12(4), 31-60, 2009

      92 박석준,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 입학 후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9(3), 1-32, 2008

      93 양은아, , 한승희, "홍콩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 구조적 특징 분석 -HKU SPACE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22(2), 161-192, 2016

      94 성문주, 한유리, 이정은, , 손수진,, 문한나,, 김지현, ", 고등교육맥락에 서 본 학습자의 전환학습 경험에 대한 자기 성찰적 보고", Andragogy Today :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16(2), 31-57, 2013

      95 김지영, 이정희, "내용중심 한국어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최고급 단계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14(1), 211-232, 2003

      96 폴리 롱, "홍콩 한국어 입문기 교육에 관한 고찰 – 문법 및 문화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 13(2), 135-165, 2016

      97 유영미, "‘외국어교육표준’에서의 간 문화적인 이해- 미국의 한 국어표준개발의 경우-", 한국언어문화학, 6(1), 29-51, 2009

      98 권주영,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한국어 교실 경험 연구 : 러시아어권 학습 자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9 Clandinin, D., "Jean. 내러티브탐구의 이해와 실천 (염지숙, 강현석, 박세원, 조덕주, 조인숙 역.)", 서울: 교육과학사(원저 2013 출판), 2015

      100 박진욱, "학습역량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 전공 진입 전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01 이수경, "홍콩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전망 : 글로벌 시대 한국 언 어문화 교육의쟁점과 전망", 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 9-26, 2011

      102 Richchard M., "Ryckman. Theories of Personality. 성격심리학 (장 문선, 곽호완, 고재홍, 전종국, 이영순 역)", 서울: 박학사 (원저 2013 출판), 2013

      103 홍석준, "1997년 이후 홍콩인 정체성의 지속과 변화: ‘홍콩인 정 체성 만들기’의 문화적 의미", 인문학논총, 5(2), 171-195, 2006

      104 조은숙,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선 방향에 대하여 : 중국대 학교의 교과 과정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7(3), 257-277, 2011

      105 김영주, 김현진,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문화적응에 관한 질 적 연구 : 한국어 사용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21(4), 201-225, 2015

      106 Ella Kidd, "Seonmin Huh. 한국 사회에서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의 제 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과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6), 527-539, 2017

      107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 20년 발전사와 최근 동향 –1997년 제1회 시험부터 2016년 제52회 시험까지-", 한국어 교육, 28(3), 1-24, 2017

      108 최호성, "미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 동 기 및 한국어 강좌에 대한 인식", 외국어교육연구, 27(1), 261-280, 2013

      109 변애경, 윤창국,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본 여성 노인학습자의 평 생학습참여에 나타난 경험학습의 의미 탐색", 평생학습사회, 13(3), 1-32, 2017

      110 조애리, "담화 주제 중심의 실생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중급 단계의 홍콩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4

      111 조동, "중국대학 한국어 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교환학생 이 경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12 김한나, "한국어 학습 경험에 나타난 학습 동기의 변화와 학습자 의 자율성: 대만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13 김기홍, "삶의 궤적으로서 아이덴티니 형성 과정에 관한 생애사적 내러티 브: 진로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14 차준우,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15 이수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대한 생애 사 연구 – 교실 안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구,16(3), 709-735, 2016

      116 김은주, "항공승무원과 전공자를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 중국 대학을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4

      117 장아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제2언어 학습 동기, 불안 및 자 아 분석 연구: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118 한정심,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울산 광역시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0

      119 김영순, "갈라노바딜노자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인문사회21. 8(3), 547-564, 2017

      120 황소영, "유럽어권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 연구 - 스웨덴․독일․프랑스 학습자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121 김지훈, 이민경, "국인 유학생들의 , 한국유학 동기와 경험 연구 : 서울 A 대학 석사과정 학생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동아연구, 61, 73-101, 2011

      122 안여경,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어교 원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선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123 진흠, "재한 중국유학생의 유학기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124 이은선,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한 해외 대학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헝가리 ELTE대학교 한국학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 교, 2015

      125 박성희, 이경희,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연구 – 사례재구성을 통한 중년여성의 학습개념을 중심으로", 평생교육 학연구, 12(3), 73-95, 2006

      126 Joseph A., "Maxwell.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질적 연구 설계 – 상호 작용적 접근 - (이명선, 김춘미, 고문희 역)", 서울: 군자출판사 (원저 1996년 출판), 2004

      127 이현희,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쓰기 수업이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 는 효과 연구: 홍콩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28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원저: 2013 출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