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 =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560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와 부모의 변인에 따른 어머니 양육태도·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음악적 발달을 위한 적합한 가정의 양육환경 및 음악적 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배경변인(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모의 취업)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3. 부모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모의 취업)에 따라 가정의 음악적 환경(물리적 환경·음악적 분위기·음악적 흥미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10개 유아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만 4세 유아의 어머니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Slater와 Power(1987)의 PDI( Parenting Dimensions Inventory), Block(1965)의 CRPR(Child Rearing Practices Report), 정계숙(1987)의 KPAAT(Korean Parent As a Teacher) 등을 토대로 천희영(1993)이 개발한 어머니 양육태도척도와 1974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연구실에서 제작한 것을 유애경(1985)과 이영희(1999)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가정의 음악적 환경 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문항간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t검증, chi-square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형과 통제형 모두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라 애정형 양육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통제형 양육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연령,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애정형과 통제형 양육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연령·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물리적 음악환경의 경우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소유하고 있는 악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음악기기와 악기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학력에 따라 물리적 음악환경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물리적 음악환경은 차이가 없었다. 가정의 음악적 분위기는 부모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부모의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는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가족의 음악에 대한 흥미는 부모의 연령,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를 보면 애정형 양육태도는 가정의 물리적 음악환경과 관련이 없었으며, 음악적 분위기, 부모의 음악적 흥미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형 양육태도는 가정의 물리적 음악환경, 가족의 음악적 흥미와 관계가 없었으며, 음악적 분위기와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와 부모의 변인에 따른 어머니 양육태도·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음악적 발달�...

      본 연구는 유아와 부모의 변인에 따른 어머니 양육태도·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음악적 발달을 위한 적합한 가정의 양육환경 및 음악적 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배경변인(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모의 취업)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3. 부모의 배경변인(연령, 학력, 모의 취업)에 따라 가정의 음악적 환경(물리적 환경·음악적 분위기·음악적 흥미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10개 유아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만 4세 유아의 어머니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Slater와 Power(1987)의 PDI( Parenting Dimensions Inventory), Block(1965)의 CRPR(Child Rearing Practices Report), 정계숙(1987)의 KPAAT(Korean Parent As a Teacher) 등을 토대로 천희영(1993)이 개발한 어머니 양육태도척도와 1974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연구실에서 제작한 것을 유애경(1985)과 이영희(1999)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가정의 음악적 환경 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문항간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t검증, chi-square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형과 통제형 모두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라 애정형 양육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통제형 양육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연령,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어머니의 애정형과 통제형 양육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연령·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물리적 음악환경의 경우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소유하고 있는 악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음악기기와 악기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학력에 따라 물리적 음악환경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물리적 음악환경은 차이가 없었다. 가정의 음악적 분위기는 부모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부모의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는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가족의 음악에 대한 흥미는 부모의 연령,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를 보면 애정형 양육태도는 가정의 물리적 음악환경과 관련이 없었으며, 음악적 분위기, 부모의 음악적 흥미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형 양육태도는 가정의 물리적 음악환경, 가족의 음악적 흥미와 관계가 없었으며, 음악적 분위기와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dentify differences i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infants and paren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h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ultimately to create rearing environment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desirable for infants' musical development.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1. Is mothers' rearing attitu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infants (gender, the order of birth)?
      2. s mothers' rearing attitu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the mother' employment)?
      3. Is musical environment at home (physical environment, music atmosphere, musical interest)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the mother' employment)?
      4. In what relationship is mothers' rearing attitude with musical environment at h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3 mothers who had four-year old infants attending 10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capital area, which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easure of Mothers' Rearing Attitude developed by Cheon Hee-yeong (1993) based of CRPR (Child Rearing Practices Report) of Slater and Power (1987), KPAAT (Korean Parent as a Teacher) of Jeong Gye-sook (1987), etc., the Measure of Musical Environment at Home, which was created by the Music Education Research Cente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1974 and revised by Yu Ae-gyeong (1985) and Lee Yeong-hee (1999). To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among questions in the measuring tools, Cronbachs was calculat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 chi-square test, Pearson'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mothers' rearing attitude, both the affection type and the control type appeared not different according to infants' gender,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ffectionate attitude and controll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order of birth of infants.
      Second,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rearing attitude of affection type and that of control type.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with the sub-factors of musical environment at home, the possession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was an element of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ther's age and musical equipment and the number of instru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her's age.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cademic qualification but not according to the mother's employment. Musical atmosphere at hom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ge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Family's interest in music appeared not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ge and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ffectionate attitude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at home, but appeared to be related to musical atmosphere and parents' musical interest. Controlling attitude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family's musical interest, but appeared to be related to musical atmosphere.
      번역하기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dentify differences i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infants and paren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he music...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dentify differences i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infants and paren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h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ultimately to create rearing environment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desirable for infants' musical development.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1. Is mothers' rearing attitu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infants (gender, the order of birth)?
      2. s mothers' rearing attitu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the mother' employment)?
      3. Is musical environment at home (physical environment, music atmosphere, musical interest)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the mother' employment)?
      4. In what relationship is mothers' rearing attitude with musical environment at h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3 mothers who had four-year old infants attending 10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capital area, which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easure of Mothers' Rearing Attitude developed by Cheon Hee-yeong (1993) based of CRPR (Child Rearing Practices Report) of Slater and Power (1987), KPAAT (Korean Parent as a Teacher) of Jeong Gye-sook (1987), etc., the Measure of Musical Environment at Home, which was created by the Music Education Research Cente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1974 and revised by Yu Ae-gyeong (1985) and Lee Yeong-hee (1999). To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among questions in the measuring tools, Cronbachs was calculat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 chi-square test, Pearson'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mothers' rearing attitude, both the affection type and the control type appeared not different according to infants' gender,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ffectionate attitude and controll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order of birth of infants.
      Second,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rearing attitude of affection type and that of control type.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ge,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with the sub-factors of musical environment at home, the possession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was an element of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ther's age and musical equipment and the number of instru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her's age.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cademic qualification but not according to the mother's employment. Musical atmosphere at hom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ge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Family's interest in music appeared not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age and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mother's employment.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ffectionate attitude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at home, but appeared to be related to musical atmosphere and parents' musical interest. Controlling attitude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physical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family's musical interest, but appeared to be related to musical atmosphe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감사의 글 = ⅰ
      • 논문개요 = ⅱ
      • 목차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감사의 글 = ⅰ
      • 논문개요 = ⅱ
      • 목차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5
      • 3. 용어의 정의 = 6
      • Ⅱ. 이론적 배경 = 7
      • 1. 양육태도 = 7
      • 1) 양육태도의 개념 = 7
      • 2) 양육태도의 유형 = 8
      • 3)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0
      • 2. 환경과 음악 = 13
      • 3. 가정의 음악적 환경 = 16
      • Ⅲ. 연구 방법 = 21
      • 1. 연구대상 = 21
      • 2. 측정도구 = 23
      • 3. 자료분석 = 24
      • Ⅳ. 결과 및 해석 = 26
      • 1. 유아변인과 어머니 양육태도 = 26
      • 2. 부모변인과 어머니 양육태도 = 27
      • 3. 부모변인과 가정의 음악적 환경 = 32
      • 4. 어머니 양육태도와 가정의 음악적 환경과의 관계 = 50
      • Ⅴ. 논의 및 결론 = 52
      • 1. 요약 및 논의 = 52
      • 2. 결론 및 제언 = 57
      • 참고문헌 = 59
      • 부록 = 72
      • 영문 인준서 = 81
      • ABSTRACT =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