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靑銅器와 동반관계로 본 鐵器의 한반도 流入 年代 = Introducing iron artifact to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association with bronze artif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73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로 철기가 유입되는 시기는 크게 두 번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외부에서 제작된 철기가 들어오는 시기로서 중국의 전국시대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철기를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한반도로 철기가 유입되는 시기는 크게 두 번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외부에서 제작된 철기가 들어오는 시기로서 중국의 전국시대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철기를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시기인데, 한군현 설치 이전으로 보는 설과 이후로 보는 설이 대립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첫 번째의 외부에서 유입된 철기가 정확히 언제부터 들어왔는지를 동반한 청동기를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전국‘ 연’의 화폐인 명도전과 동반하는 사례, 다뉴세문경·한국식동검과 동반하여 출토되는 사례를 확인하였다. 그런데 명도전은 다뉴세문경·한국식동검과는동반하지 않는다. 또한 중국 동북지역의 경우, 명도전과 동반하는 사례는 확인되지만 다뉴세문경· 한국식동검과 동반하는 사례는 없다. 대신 다뉴조문경이나 변형요령식동검과 동반하는 사례가 확인된다.
      결국 한반도에서 철기가 유입되는 시기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명도전이며, 명도전을 기준으로기원전 3세기 후엽 이전에 철기가 유입된 것은 확실하다. 또한 명도전과 동반하는 사례가 없는 한반도 남부에서의 시기 역시 중국 동북지역에서 동반된 유물과의 형태나 조합을 비교해 볼 때, 북부와 같이 3세기 대 이전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중국 本溪 上堡 1호묘에서 변형요령식동검과 철기가 출토되는 양상으로 보아 기원전 4세기대 고조선의 철기문화를 보여주는 것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향후 관심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two perspectives about when the Iron Age star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first is that it did in the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when iron artifacts made outside of the Peninsular first came in. The other is related to the times when...

      There are two perspectives about when the Iron Age star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first is that it did in the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when iron artifacts made outside of the Peninsular first came in. The other is related to the times when, in the course of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the Chinese Han Dynasty, plenty of iron artifacts were made here inside in the Peninsula.
      This article is intended to take a good look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Iron Age in the Peninsula from the first point of view. This, as a result, leads us into finding out that iron artifacts in Korea were excavated alongside with Knife Money of the ancient China, or bronze mirrors with Minute Design and Korean type daggers respectively, but not all together.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is critical fact that Knife Money, which enables us to pinpoint the production years of any artifact, has never been associated with bronze mirrors with Minute Design or Korean type daggers before. In some unearthed cases in Northeast China, we have rather identified a link between Iron artifacts and Knife money or Liaoning type daggers.
      Consequently, we have come to a reasonable conclusion that an estimated time of the introduction of iron into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set approximately in the late 3rd century B.C., based on the production years of Knife money. On the other hand, given that iron was also unearthed from places where bronze mirrors with Minute Design and Korean type daggers were discovered, we might not have been sure about the exact year's validity. However, fortunately, a lot of bronze handles of daggers and Chinese type daggers from the two regions,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China make it possible for us to estimate the years of entering iron from outside as in the late 3rd century B.C. as well, by comparing the artifacts co-excava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淸圭, "遼寧 本溪縣 上堡村 출토 銅劍과 土器에 대하여" 16 : 2000

      2 이양수, "한반도 삼한·삼국시대 동경의 고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3 한국철문화연구회, "한반도 남부지역 초기철기시대 철기문화의 양상" 2014

      4 이건무, "한국 청동기문화와 중국식동검-상림리 유적 출토 중국식동검을 중심으로-, 완주 상림리靑銅劍의 재조명"

      5 이양수, "탕구의 위치로 본 요령식동검의 제작기술과 의미" 부산고고학연구회 (11) : 57-87, 2012

      6 조진선, "초기철기시대 중원식동검의 등장 배경-편년을 중심으로, 완주 상림리 靑銅劍의 재조명"

      7 이창희,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48-101, 2010

      8 김상민, "연하도 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주조철부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84 (84): 5-35, 2014

      9 尹亨準, "삼한 전기사회의 전개양상" 부산고고학연구회 4 : 2009

      10 국립중앙박물관, "북녘의 문화유산 , 특별전시도록"

      1 李淸圭, "遼寧 本溪縣 上堡村 출토 銅劍과 土器에 대하여" 16 : 2000

      2 이양수, "한반도 삼한·삼국시대 동경의 고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3 한국철문화연구회, "한반도 남부지역 초기철기시대 철기문화의 양상" 2014

      4 이건무, "한국 청동기문화와 중국식동검-상림리 유적 출토 중국식동검을 중심으로-, 완주 상림리靑銅劍의 재조명"

      5 이양수, "탕구의 위치로 본 요령식동검의 제작기술과 의미" 부산고고학연구회 (11) : 57-87, 2012

      6 조진선, "초기철기시대 중원식동검의 등장 배경-편년을 중심으로, 완주 상림리 靑銅劍의 재조명"

      7 이창희,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48-101, 2010

      8 김상민, "연하도 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주조철부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84 (84): 5-35, 2014

      9 尹亨準, "삼한 전기사회의 전개양상" 부산고고학연구회 4 : 2009

      10 국립중앙박물관, "북녘의 문화유산 , 특별전시도록"

      11 강인욱, "동아시아 동검문화의 전개 속에서 본 완주 상림리-東周式劍의 매납과 청동기 장인의 이주를 중심으로, 완주 상림리 靑銅劍의 재조명"

      12 박선미, "동북아시아의 交流史 復原을 위한 明刀錢의 초보적 探討"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93-213, 2009

      13 조진선, "동북아시아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편년의 열쇠 『朝陽 袁臺子–戰國西漢遺址和西周至十六國時期墓葬』(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朝陽市博物館 편, 文物出版社)" 한국고고학회 (80) : 129-145, 2011

      14 郭大順, "동북문화와 유연문명 하" 동북아역사재단 2008

      15 이양수, "다뉴뇌문경의 제작기술과 사회 - 일본 교토국립박물관・고려미술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35 : 23-45, 2010

      16 李陽洙, "다뉴경의 제작-극강의 기술"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17 이양수, "고찰 울산 창평동 810번지 유적 2호 목관묘 출토 한경에 대하여, 蔚山 倉坪洞810番地 遺蹟" 우리문화재연구원 학술조사보고 2012

      18 박선미, "고조선과 동북아 고대화폐" 학연문화사 2009

      19 최몽룡, "고대국가성장과 무역-위만조선의 예, 한국 고대의 국가와 사회" 일조각 1985

      20 李陽洙, "韓國式銅戈로 본 韓·中·日 三國의 交差編年" 國立慶州博物館 3 : 2009

      21 孫明助, "韓國 古代 鐵器文化 硏究" 진인진 2012

      22 국립문화재연구소, "韓·中 鐵器資料集Ⅳ-한반도 남부지역의 초기철기"

      23 국립문화재연구소, "韓·中 鐵器資料集Ⅲ-한반도 북부지역의 초기철기"

      24 국립문화재연구소, "韓·中 鐵器資料集Ⅰ-중국 동북지역 출토 철기"

      25 鄭相石, "錦江流域 細形銅劍文化의 발전과 挑氏劍" 22 : 2001

      26 정인성, "衛滿朝鮮의 鐵器文化" 백산학회 (96) : 39-77, 2013

      27 鄭仁盛, "瓦質土器의 출현과 歷年代 再論, 原三國·三國時代 歷年代論" 학연문화사 2012

      28 金想民, "東北アジアにおける初期鐵器文化の成立と展開" 九州大學大學院 2013

      29 潮見浩, "東アジアの初期鐵器文化" 吉川弘文館 1982

      30 藤田亮策, "朝鮮發見の明刀錢と其遺蹟"

      31 全榮來, "完州上林里出土 中國式銅劍에 關하여-春秋末戰國初, 中國靑銅器文化의 南韓流入問題-" 1976

      32 湖南文化財硏究院, "完州 新豊遺蹟Ⅰ·Ⅱ"

      33 王詞洲, "大連市三處戰國貨幣窖藏" 90 (90): 1990

      34 許明綱, "大漣市近年來發現靑銅短劍及相關的新資料" (2) : 1993

      35 이청규, "多紐鏡型式의 變遷과 分布" 한국상고사학회 67 (67): 45-89, 2010

      36 古兵, "吉林輯安歷年出土的古代錢幣" 57 (57): 1957

      37 강인욱, "古朝鮮의 毛皮貿易과 明刀錢" 한국고대사학회 (64) : 243-284, 2011

      38 申敬澈, "古代韓半島と倭-三韓と弥生-" 2009

      39 町田 章, "中國古代の銅劍" 75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부산고고학연구회 -> 부산고고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Pusan Archaeological Societ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7 1.73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