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융기형 위점막 병변에서 겸자 생검과 내시경적 절제 후의 병리 조직 소견의 비교 = Histological Comparison of Endoscopic Forceps Biopsy with Endoscopic Resection in Gastric Mucosal Elevated Le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38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The correct histological diagnosis of gastric adenoma is important, because it has been reported to be precancerous lesion and associated with focal gastric carcinoma. However, there is some discrepancy between the histology of the fo...

      Background/Aims: The correct histological diagnosis of gastric adenoma is important, because it has been reported to be precancerous lesion and associated with focal gastric carcinoma. However, there is some discrepancy between the histology of the forceps biopsy and that of the endoscopic resec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histologic findings of gastric mucosal elevated lesion between the specimens of forceps biopsy and endoscopic resection.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137 cases of gastric mucosal elevated lesion which had been removed by the resection such as polypectomy o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ll patients had undergone forceps biopsy before endoscopic resection. We compared the histologic findings of the specimens by forceps biopsy with those by resection. Results: The histologic fidings were accordant at 101 of the 137 cases (73.7%), and different at 30 cases (21.9%). Among the 86 cases with adenoma in the biopsied specimens, 10 cases (11.6%) were finally diagnosed as gastric cancer in the resected specimens. Conclusions: Because biopsy specimens may not be presentative of the entire lesion, endoscopic resection of gastric mucosal elevated lesion is needed for accurate histologic diagnosis and treatment if adenoma is suspected.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3;26:68-7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내시경 검사 시에 육안적으로 관찰되는 융기형 병변을 총칭하여 위용종이라 하며, 조직학적으로 이형성을 동반한 경우를 위선종이라 한다. 특히 위선종은 일부에서 국소 암성 병변을 ...

      목적: 내시경 검사 시에 육안적으로 관찰되는 융기형 병변을 총칭하여 위용종이라 하며, 조직학적으로 이형성을 동반한 경우를 위선종이라 한다. 특히 위선종은 일부에서 국소 암성 병변을 같이 동반하고 있으며, 또 암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조직학적 진단이 중요하다. 그러나 겸자 생검과 전체 병변 절제를 이용한 조직소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내시경 검사에서 관찰된 융기형 위점막 병변에서 겸자 생검과 전체 병변 절제 후의 조직소견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2년 7월까지 내시경 검사에서 융기형 위점막 병변이 관찰되어 겸자 생검과 전체 병변 절제를 모두 시행한 1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직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3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61.7±10.2세였고. 병변의 크기는 1.0~1.4 cm이 57명(41.6%)으로 가장 많았다. 병변의 위치는 전정부가 82명(59.9%)으로 가장 많았다. 겸자 생검 결과는 위염 13명(9.5%), 저이형성 51명(37.2%), 고이형성 35명(25.5%), 위선암 13명(9.5%), 과형성 용종 25명(18.2%)이었다. 전체 병변 절제 후 조직소견을 비교하였을 때 겸자 생검과 일치한 경우가 101명(73.7%)이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30명(21.9%)이었다. 일치하지 않았던 경우를 살펴보면 겸자 생검에서 위염 소견만 보인 13명 중 전체 병변 절제 후 조직 소견에서 2명이 저이형성, 1명이 고이형성 소견을 보였다. 그리고 겸자 생검에서 저이형성을 보였던 51명 중 8명이 고이형성, 4명이 국소 암성변화, 1명이 과형성 용종, 2명이 위염 소견을 보였다. 겸자 생검에서 고이형성을 보인 35명 중 6명에서 국소 암성변화를 동반하였고, 2명이 위염, 1명이 저이형성을 보였다. 그리고 겸자 생검에서 국소 암성 변화를 보인 16명 중 3명이 고이형성을 보였다. 결론: 융기형 위점막 병변을 가진 1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겸자 생검에서의 조직 소견과 전체 병변 절제 후의 조직 소견의 일치율은 73.7%였고, 21명(15.3%)의 환자에서 겸자 생검 조직 소견에 비해 전체 병변에서 이형성이 더 심하게 나타났으며, 위선종이 관찰된 86명의 환자 중 10명(11.6%)에서 국소 암성변화가 동반되어 있었다. 따라서 선종이 의심되는 융기형 위점막 병변이 발견된 경우 정확한 진단과 치료 목적으로 용종절제술이나 점막절제술 등의 전체 병변 절제를 통한 조직 소견을 관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