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형 슬로시티의 발전방향에 관한 소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3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appropriate development direction of slow city suitable to Korea by drawing and analyzing implications from oversea’s cases of slow city. The Slow City movement firstly occurred in a small town Greve in Chiantti of Italy, in 1999. Four small towns in Korea had been approved as the first slow city in the Asia from CIN (Cittaslow International Network) on December 2007.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cases in Italy, Japan, and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ree conditions such as 1) local slow food and slow industries, 2) slow tourism, 3) slow life. In addition, the status and features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slow city of Italy and Korea. Since this study has a main goal to suggest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slow city as mentioned, authors suggests ‘Semi Slow City’ called a newly modified concept of slow city.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appropriate development direction of slow city suitable to Korea by drawing and analyzing implications from oversea’s cases of slow city. The Slow City movement firstly occurred in a small town Greve in Chiantti of Italy...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appropriate development direction of slow city suitable to Korea by drawing and analyzing implications from oversea’s cases of slow city. The Slow City movement firstly occurred in a small town Greve in Chiantti of Italy, in 1999. Four small towns in Korea had been approved as the first slow city in the Asia from CIN (Cittaslow International Network) on December 2007.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cases in Italy, Japan, and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ree conditions such as 1) local slow food and slow industries, 2) slow tourism, 3) slow life. In addition, the status and features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slow city of Italy and Korea. Since this study has a main goal to suggest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slow city as mentioned, authors suggests ‘Semi Slow City’ called a newly modified concept of slow c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 대현, "한국에 슬로시티 콘셉도입을 위한 탐색" 2008

      2 "창평삼지천마을 홈페이지"

      3 온영태, "지역만들기의 신조류" 기문당 2008

      4 김흔진, "우산지역 Slow World 주민의식분석 및 발전방안" 서울시립대학교 2008

      5 "완도군 청산면 홈페이지"

      6 오동훈, "신도시건설의 과제와 바람직한 개발방향에 관한 소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31-48, 2008

      7 박희정, "슬로우투어리즘 참가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슬로시티 증도 여행자를 중심으로" 20 (20): 43-62,

      8 신명석, "슬로우 투어리즘의 전망과 과제" 한국관광연구학회 20 (20): 23-38, 2007

      9 신중목, "슬로우 무브먼트 컨셉 도입을 통한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17) : 2005

      10 "슬로시티국제연맹 홈페이지"

      1 손 대현, "한국에 슬로시티 콘셉도입을 위한 탐색" 2008

      2 "창평삼지천마을 홈페이지"

      3 온영태, "지역만들기의 신조류" 기문당 2008

      4 김흔진, "우산지역 Slow World 주민의식분석 및 발전방안" 서울시립대학교 2008

      5 "완도군 청산면 홈페이지"

      6 오동훈, "신도시건설의 과제와 바람직한 개발방향에 관한 소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31-48, 2008

      7 박희정, "슬로우투어리즘 참가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슬로시티 증도 여행자를 중심으로" 20 (20): 43-62,

      8 신명석, "슬로우 투어리즘의 전망과 과제" 한국관광연구학회 20 (20): 23-38, 2007

      9 신중목, "슬로우 무브먼트 컨셉 도입을 통한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17) : 2005

      10 "슬로시티국제연맹 홈페이지"

      11 장희정, "슬로시티 도입을 통한 대안관광 모색" (8) : 2007

      12 "슬로라이프 NPO법인 가케가와 홈페이지"

      13 "세계슬로걷기축제 홈페이지"

      14 남기정, "도서지역의 슬로우시티형 그린투어리즘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37 : 65-94, 2008

      15 "담양군 홈페이지"

      16 조상필, "국제 슬로시티 가입 기본요건 및 지역발전 시사점" 전남발전연구원 2008

      17 박경문, "국내 슬로시티 발전방안 연구" 국토지리학회 42 (42): 237-253, 2008

      18 "가보고 싶은 섬 홈페이지"

      19 Hisashige Tetsunosuke, "日本版スロ-シテ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시행정학보 -> 도시행정학보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3 1.29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