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과 평가 역량 점검 =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 and Assessment Competencies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28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assess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This study also analyzes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ies for process-fortified assessment and the factors that i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assess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This study also analyzes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ies for process-fortified assessment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agree on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value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but do not implement it in actual assessment situation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ies, it is found that the expertise of th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assessment results are somewhat insufficient. Competencies in developing standardized assessment items were the most likely factor of explaining teachers' experti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가나, "학생평가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 및 평가 전문성 조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29-46, 2012

      2 박지현, "학교수준 학생평가 운영 실태 및 인식 조사"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29-52, 2017

      3 주세형, "평가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사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15 : 31-50, 2011

      4 주세형, "초등 국어 교사의 문법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35 : 161-191, 2007

      5 박종임, "중등학교 수행평가 정책 실행 모니터링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6 천경록, "읽기 능력의 수행평가" 한국어교육학회 100 : 201-224, 1999

      7 신명선, "우리나라 수행평가 정책의 특징과 발전 방향 연구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행 양상의 원인에 대한 정책적 반추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473-502, 2008

      8 남가영,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121-145, 2013

      9 김봉순, "쓰기 영역의 수행 평가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00 : 173-199, 1999

      10 원진숙, "쓰기 영역 평가의 생태학적 접근-대안적 평가 방법으로서의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10 : 191-232, 1999

      1 박가나, "학생평가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 및 평가 전문성 조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29-46, 2012

      2 박지현, "학교수준 학생평가 운영 실태 및 인식 조사"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29-52, 2017

      3 주세형, "평가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사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15 : 31-50, 2011

      4 주세형, "초등 국어 교사의 문법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35 : 161-191, 2007

      5 박종임, "중등학교 수행평가 정책 실행 모니터링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6 천경록, "읽기 능력의 수행평가" 한국어교육학회 100 : 201-224, 1999

      7 신명선, "우리나라 수행평가 정책의 특징과 발전 방향 연구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행 양상의 원인에 대한 정책적 반추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473-502, 2008

      8 남가영,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121-145, 2013

      9 김봉순, "쓰기 영역의 수행 평가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00 : 173-199, 1999

      10 원진숙, "쓰기 영역 평가의 생태학적 접근-대안적 평가 방법으로서의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10 : 191-232, 1999

      11 남민우, "문학교사의 전문성과 문학수업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78) : 145-178, 2008

      12 주세형, "문법 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양상 연구 -국어과 평가 문항의 이원목적분류표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40) : 161-197, 2009

      13 박영민,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한국작문학회 (13) : 89-116, 2011

      14 김대행, "국어교과학의 목표와 영역"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31-51, 1997

      15 신헌재, "국어과의 생태학적 평가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 33-63, 2004

      16 주세형, "국어과 평가의 타당도 제고를 위한 문법 교육 방향" 한국문법교육학회 8 : 279-330, 2008

      17 최미숙, "국어과 평가의 방향과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21) : 79-105, 2006

      18 박인기, "국어과 평가의 반성과 전망" 국어교육학회 (32) : 5-31, 2008

      19 최미숙, "국어과 평가 정책 연구-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6) : 161-194, 2009

      20 박준용, "국어과 평가 전문가의 문항 개발 전문성 탐색 : 국어과 문항 개발 협의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3 : 57-89, 2013

      21 이도영, "국어과 정의적 영역의 평가 방법" 국어교육학회 11 (11): 47-71, 2000

      22 천경록, "국어과 수행평가와 포트폴리오" 교육과학사 2001

      23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제2015-74호[별책 5])"

      24 천경록, "국어과 교사의 읽기 영역 평가 전문성 기준과 모형" 한국어교육학회 (117) : 323-348, 2005

      25 이성영, "국어과 교사의 쓰기 영역 평가 전문성 기준과 모형" 한국어교육학회 (117) : 349-372, 2005

      26 이충우, "국어 지식 영역 평가 전문성 기준과 모형" 한국어교육학회 (117) : 373-410, 2005

      27 이관규, "국어 지식 교육의 평가 내용과 방법의 현황 및 문제점" 이중언어학회 (23) : 211-226, 2003

      28 노명완, "국어 시험의 현황과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회 (20) : 5-30, 2004

      29 이인제, "국어 교육의 질 향상과 평가 체제 개선" 한국어교육학회 (112) : 6-192, 2003

      30 박인기, "국어 교육 평가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실천" 한국어교육학회 102 : 87-111, 2000

      31 김창원, "국어 교육 평가의 구조화 원리" 한국어문교육학회 27 : 5-37, 2003

      32 한철우, "국어 교육 연구 방법론" 박이정 2012

      33 최숙기, "국어 교사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국어 평가 시행에 관한 국어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171-198, 2016

      34 한철우,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체제 연구Ⅰ:국어과 교육의 역할 및 평가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1990

      35 손영애,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Ⅲ: 예시평가 도구 개발 및 현장 적용" 한국교육개발원 1992

      36 박영목,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1991

      37 김수동,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38 이인제,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과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39 정혜승, "교사의 읽기 평가 전문성 실태: 지필 평가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19) : 307-346, 2008

      40 김재춘, "교사별 학생평가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41 임은영, "교사별 학생평가 도입을 위한 학교단위 학생평가 실태 및 교사별 학생평가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75-104, 2018

      42 고현,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지원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37-1164, 2019

      43 반재천,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05-130, 2018

      44 김정민,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39-859, 2018

      45 교육부,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중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46 이경화,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 26 (26): 819-834, 2016

      47 최숙기,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 방안 연구- 국어 교사의 인식과 국어 교과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68) : 129-176, 2018

      48 박지현,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를 위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49 전경희, "과정 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6

      50 진경애, "고등학교 교과별 수업-평가 연계 방안연구: 수학,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51 주세형, "‘문법 교사의 수업 전문성 평가 모형’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383-416, 2007

      52 최숙기, "Rasch 모형을 활용한 국어 교사 평가 전문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56) : 313-340, 2015

      53 Schafer, W. D., "Assessment literacy for teachers" 32 : 118-126, 1993

      54 Stiggins, R. J., "Assessment literacy" 72 : 534-239, 1991

      55 가은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국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56 한혜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교육부 2017

      57 최윤희,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연구 : 중학교 과학" 교육부 : 대전광역시교육청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