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계적 축소법을 이용한 한반도 미래 기온 예측 = Prediction of Temperature in Korea Using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2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PCC provides climate data predicted by GCM to help the prediction of future climate of earth.
      However, because those data are for a large scale covering entire surface of earth, it is not effective to adopt for local and small scale reg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s, statistical downscaling was utilized fo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in Korean peninsular. Daily average temperature was estimated from 1961 to 2099 at 14 points in Korea where ASOS observations are available. Each point was analyzed and compared for current (1961~2001) and between 2030 and 2099, then the change of temperature during each time period in the entire Korea was mapp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in the future was increased overall, and the rate of the increasing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rbon dioxide emission scenarios.
      번역하기

      IPCC provides climate data predicted by GCM to help the prediction of future climate of earth. However, because those data are for a large scale covering entire surface of earth, it is not effective to adopt for local and small scale regions. In order...

      IPCC provides climate data predicted by GCM to help the prediction of future climate of earth.
      However, because those data are for a large scale covering entire surface of earth, it is not effective to adopt for local and small scale reg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s, statistical downscaling was utilized fo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in Korean peninsular. Daily average temperature was estimated from 1961 to 2099 at 14 points in Korea where ASOS observations are available. Each point was analyzed and compared for current (1961~2001) and between 2030 and 2099, then the change of temperature during each time period in the entire Korea was mapp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in the future was increased overall, and the rate of the increasing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rbon dioxide emission scenario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IPCC에서는 전 지구 순환모델(GCM)을 사용하여 미래 기후를 예측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자료는지구 전체 범위로 추정된 것으로 실제 각 지역별 기후 변화 정도는 다를 수 있다. 이러한 GCM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축소기법이 이용되는데, 축소기법은 GCM을 역학적인 방법 및 통계적인 방법으로 축소하여 특정 지역에 맞는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축소기법을 이용하여 높은 해상도의 한반도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ASOS 관측지점이 설치된 전국 14개 도시를 대상으로 1961~2099년까지의 일평균 예측기온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현재(1961~2001)와 미래(2030~2099)의 각 도시별 평균 기온 변화를 비교·분석하고, 한반도전체의 미래 기온 변화 패턴을 지도를 통해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의 미래 기온은 꾸준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 시나리오에 따라 상승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IPCC에서는 전 지구 순환모델(GCM)을 사용하여 미래 기후를 예측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자료는지구 전체 범위로 추정된 것으로 실제 각 지역별 기후 변화 정도는 다를 수 있다. ...

      IPCC에서는 전 지구 순환모델(GCM)을 사용하여 미래 기후를 예측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자료는지구 전체 범위로 추정된 것으로 실제 각 지역별 기후 변화 정도는 다를 수 있다. 이러한 GCM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축소기법이 이용되는데, 축소기법은 GCM을 역학적인 방법 및 통계적인 방법으로 축소하여 특정 지역에 맞는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축소기법을 이용하여 높은 해상도의 한반도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ASOS 관측지점이 설치된 전국 14개 도시를 대상으로 1961~2099년까지의 일평균 예측기온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현재(1961~2001)와 미래(2030~2099)의 각 도시별 평균 기온 변화를 비교·분석하고, 한반도전체의 미래 기온 변화 패턴을 지도를 통해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의 미래 기온은 꾸준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 시나리오에 따라 상승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미, "한국의 최근 10년의 기온과 강수 변화" 국토지리학회 45 (45): 237-248, 2011

      2 이용원, "축소기법의 비교평가와 기후변화에 따른 우포늪의 수문학적 영향평가" 인하대학교 2010

      3 이준리, "지역기후 모형 결과를 보정한 상세 국지 기온 재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4 이자원, "우리나라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해에 대한 적응기법 개발 동향 연구" 국토지리학회 44 (44): 635-648, 2010

      5 차유미, "역학 및 통계적 규모축소법을 이용한 일평균기온의 재현 실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6 곽민정, "시공간구조를 가지는 확률적 강우 모형" 한국통계학회 27 (27): 475-485, 2014

      7 유호천, "서울과 여수지역에 HadCM3를 적용한 냉 · 난방도일의 변화량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9 (9): 11-16, 2009

      8 박상종, "동아시아 지역재분석자료 생산의 전망" 한국기상학회 21 (21): 173-183, 2011

      9 김세현, "기상청 고해상도 국지 앙상블 예측 시스템 구축 및 성능 검증" 한국기상학회 25 (25): 67-83, 2015

      10 Samadi, S., "Uncertainty analysis of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s using Hadley Centre Coupled Model" 114 : 673-690, 2013

      1 이경미, "한국의 최근 10년의 기온과 강수 변화" 국토지리학회 45 (45): 237-248, 2011

      2 이용원, "축소기법의 비교평가와 기후변화에 따른 우포늪의 수문학적 영향평가" 인하대학교 2010

      3 이준리, "지역기후 모형 결과를 보정한 상세 국지 기온 재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4 이자원, "우리나라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해에 대한 적응기법 개발 동향 연구" 국토지리학회 44 (44): 635-648, 2010

      5 차유미, "역학 및 통계적 규모축소법을 이용한 일평균기온의 재현 실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6 곽민정, "시공간구조를 가지는 확률적 강우 모형" 한국통계학회 27 (27): 475-485, 2014

      7 유호천, "서울과 여수지역에 HadCM3를 적용한 냉 · 난방도일의 변화량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9 (9): 11-16, 2009

      8 박상종, "동아시아 지역재분석자료 생산의 전망" 한국기상학회 21 (21): 173-183, 2011

      9 김세현, "기상청 고해상도 국지 앙상블 예측 시스템 구축 및 성능 검증" 한국기상학회 25 (25): 67-83, 2015

      10 Samadi, S., "Uncertainty analysis of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s using Hadley Centre Coupled Model" 114 : 673-690, 2013

      11 Wilby, R. L., "The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 insights from one decade of application" 33 : 1707-1719, 2013

      12 Kistler R., "The NCEP-NCAR 50-year reanalysis : Monthly means CD-ROM and documentation" 82 : 247-267, 2001

      13 Dibike Y. B., "Temporal neural networks for downscaling climate variability and extremes" 19 : 135-144, 2006

      14 Nakicenovic N.,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A Special Report of Working Group III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5 Wilby, R. L., "SDSM : A decision support tool for the assessment of regional climate change impacts" 17 : 147-159, 2002

      16 장유정, "RCP 기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한반도 미래 기후특성 분석"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2

      17 Maraun D., "Precipitation downscaling under climate change : Recent developments to bridge the gap between dynamical models and the end user" 48 : 1-34, 2010

      18 Wilks, D. S., "Multisite downscaling of daily precipitation with a stochastic weather generator" 11 : 125-136, 1999

      19 김태정, "GCM Multi-Model Ensemble을 이용한 비정상성 시공간적 Downscaling 기법 개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20 Abbasnia M., "Future changes in maximum temperature using the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SDSM) at selected stations of Iran" 2 : 1-7, 2016

      21 Wilby, R. L., "Downscaling general circulation model output : a review of methods and limitations" 21 : 530-548, 1997

      22 Hewitson, B. C., "Climate downscal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 7 : 85-95, 1996

      23 IPCC,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151-, 2014

      24 CCDS, "Canadian Climate Data and Scenarios"

      25 Hassan Z., "Application of SDSM and LARS-WG for simulation and downscaling of rainfall and temperature" 116 (116): 243-257, 2014

      26 Trzaska S., "A review of Downscaling methods for climate change projections"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by Tetra Tech ARD 1-4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