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취락지구가 연립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제주도를 중심으로 - = The Effect of Settlement District on the Price of Row houses - Focused on Jeju-d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2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취락지구가 제주도 연립주택의 가격과 가격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연립주택의 가격 결정요인에서 전용면적이 클수록, 거주층이 높을수록 가격이 높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가격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주택 단지의 연면적과 세대당 주차대 수는 가격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잔여 건폐율이 클수록 가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귀포시에 있는 연립주택이 제주시보다 가격이 높고, 취락지구의 연립주택이 비취락지구에 비해 높으며, 도로접면은 광대로에 비해 세로, 중로에 위치할수록 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연립주택의 가격 상승요인에서 준공한 후 오래될수록, 연면적이 클수록, 세대당 주차대수가 많을수록 가격 상승률이 높고 잔여 용적률이 클수록 가격 상승률이 높다. 가격 상승요인에서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취락지구의 연립주택이 비취락지구에 비해 가격 상승률이 높고, 도로접면은 가격 상승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개별공시지가, 개발부담금 등을 산정할 때 취락지구에 대한 가격 배율 반영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수요자 입장에서도 연립주택 취득할 때 취락지구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취락지구가 제주도 연립주택의 가격과 가격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연립주택의 가격 결정요인에서 전용면적이 클수록, 거주층이 높을수록 가격이 높고, 시간...

      본 연구에서는 취락지구가 제주도 연립주택의 가격과 가격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연립주택의 가격 결정요인에서 전용면적이 클수록, 거주층이 높을수록 가격이 높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가격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주택 단지의 연면적과 세대당 주차대 수는 가격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잔여 건폐율이 클수록 가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귀포시에 있는 연립주택이 제주시보다 가격이 높고, 취락지구의 연립주택이 비취락지구에 비해 높으며, 도로접면은 광대로에 비해 세로, 중로에 위치할수록 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연립주택의 가격 상승요인에서 준공한 후 오래될수록, 연면적이 클수록, 세대당 주차대수가 많을수록 가격 상승률이 높고 잔여 용적률이 클수록 가격 상승률이 높다. 가격 상승요인에서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취락지구의 연립주택이 비취락지구에 비해 가격 상승률이 높고, 도로접면은 가격 상승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개별공시지가, 개발부담금 등을 산정할 때 취락지구에 대한 가격 배율 반영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수요자 입장에서도 연립주택 취득할 때 취락지구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ettlement district on the price and price increase rate of the row houses in Jeju-do was analyzed.
      In the price determinants of row houses, the larger the area of exclusive use space and the higher the living floor, the higher the price, and the lower the price over time. The total floor area of the row house complex and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per househo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ice, and the larger the remaining building-to-land ratio, the lower the price. The price of row houses in Seogwipo-si is higher than that of Jeju-si, the price of row houses in the settlement district is higher than that of non-settlement district, and there is a pric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djacent road.
      In the price increase determinants of row houses, the area of exclusive use space did not affect the price increase, and the long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larger the total floor area,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parking per household, the higher the price increase rat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Jeju-si and Seogwipo-si in terms of price increase determinants, and row houses in the settlement district had a higher price increase rate than non-settlement district, and adjacent road did not affect the price increase rat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flection of the price magnification for the settlement district when calculating individual land prices and development charges. In addition, row house consumers need to check whether it is a settlement district.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ettlement district on the price and price increase rate of the row houses in Jeju-do was analyzed. In the price determinants of row houses, the larger the area of exclusive use space and the higher the living floor, the h...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ettlement district on the price and price increase rate of the row houses in Jeju-do was analyzed.
      In the price determinants of row houses, the larger the area of exclusive use space and the higher the living floor, the higher the price, and the lower the price over time. The total floor area of the row house complex and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per househo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ice, and the larger the remaining building-to-land ratio, the lower the price. The price of row houses in Seogwipo-si is higher than that of Jeju-si, the price of row houses in the settlement district is higher than that of non-settlement district, and there is a pric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djacent road.
      In the price increase determinants of row houses, the area of exclusive use space did not affect the price increase, and the long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larger the total floor area,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parking per household, the higher the price increase rat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Jeju-si and Seogwipo-si in terms of price increase determinants, and row houses in the settlement district had a higher price increase rate than non-settlement district, and adjacent road did not affect the price increase rat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flection of the price magnification for the settlement district when calculating individual land prices and development charges. In addition, row house consumers need to check whether it is a settlement distri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만, "헤도닉 가격 모형에 대한 소고"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4 (14): 2008

      2 반정환 ; 박교리 ; 남호성 ; 황재훈, "취락지구의 통계적 유형화 및 유형별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청주시를 대상으로" 충북연구원 33 (33): 105-126, 2022

      3 윤기범 ; 홍의동 ; 황희연, "취락지구의 계획기반시설 가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지불의사 분석- 청주시 자연취락지구 지구단위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1-15, 2013

      4 정성훈 ; 김지현 ; 이준규, "주택시장에서의 군집행동연구-연립 다세대 주택의 전·월세시장을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 38 (38): 43-59, 2020

      5 양영준, "제주특별자치도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 분석" 대한부동산학회 40 (40): 5-23, 2022

      6 양영준, "아파트 가격 상승 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20 (20): 203-216, 2022

      7 양영준, "소규모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8 (8): 149-158, 2022

      8 김남현 ; 오세준, "서울시 다세대 주택의 분양가격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도시연구원 10 (10): 171-187, 2017

      9 배상열 ; 이창무, "서울 오피스 용적률과 자본환원율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8 (28): 47-62, 2022

      10 김경환, "부동산경제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2020

      1 이용만, "헤도닉 가격 모형에 대한 소고"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4 (14): 2008

      2 반정환 ; 박교리 ; 남호성 ; 황재훈, "취락지구의 통계적 유형화 및 유형별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청주시를 대상으로" 충북연구원 33 (33): 105-126, 2022

      3 윤기범 ; 홍의동 ; 황희연, "취락지구의 계획기반시설 가치 측정을 위한 사용자 지불의사 분석- 청주시 자연취락지구 지구단위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1-15, 2013

      4 정성훈 ; 김지현 ; 이준규, "주택시장에서의 군집행동연구-연립 다세대 주택의 전·월세시장을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 38 (38): 43-59, 2020

      5 양영준, "제주특별자치도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 분석" 대한부동산학회 40 (40): 5-23, 2022

      6 양영준, "아파트 가격 상승 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20 (20): 203-216, 2022

      7 양영준, "소규모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8 (8): 149-158, 2022

      8 김남현 ; 오세준, "서울시 다세대 주택의 분양가격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도시연구원 10 (10): 171-187, 2017

      9 배상열 ; 이창무, "서울 오피스 용적률과 자본환원율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8 (28): 47-62, 2022

      10 김경환, "부동산경제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2020

      11 공영은 ; 김은정, "보행친화적 근린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주택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원 8 (8): 85-107, 2022

      12 전영훈 ; 박세운, "대형복합쇼핑센터의 개장과 거리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서울롯데월드타워를 대상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33 (33): 245-267, 2020

      13 소성규 ; 오세준 ; 이규태, "단선 일방통행 방식의 지하철과 주택가격의 관계 분석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순환선 구간 주변 연립다세대를 중심으로 -" 한국국토정보공사 49 (49): 39-56, 2019

      14 송선주 ; 황정수, "다세대주택의 매매가격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도시연구원 8 (8): 27-46, 2015

      15 신광문 ; 이재수, "공간 헤도닉 가격 모형을 적용한 소형주택의 임대료 결정 요인" 한국부동산원 5 (5): 49-66, 2019

      16 신광문 ; 김진후 ; 이재수, "경주지진이 연립・다세대주택의 매매가격에 미친 영향" 한국부동산정책학회 21 (21): 199-217, 2020

      17 Chiu On Ki ; Wadu Mesthrige Jayantha, "The Effects of Urban Redevelopment on Neighbourhood Housing Prices" 도시과학연구원 14 (14): 276-294, 2010

      18 최열 ; 김형준 ; 이고은, "Ridge Regression(능형회귀)을 이용한 지가변동 결정요인 분석 - 개발제한구역 우선해제 집단취락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부동산학회 (52) : 313-326, 2013

      19 이탁재, "AHP 분석을 활용한 자연취락지구의 관리계획 요소 우선순위 연구 :의정부시 공원구역에서 해제된 자연취락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재생학회 3 (3): 2017

      20 제주특별자치도, "2025년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관리계획" 2017

      21 제주시, "2025년 제주시 도시관리계획 재정비(변경)"

      22 서귀포시, "2025년 서귀포 도시관리계획 재정비(변경)"

      23 국토교통부, "2023년 표준지공시지가 조사평가 업무요령"

      24 제주특별자치도, "2015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관리계획"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